• 제목/요약/키워드: Red light

검색결과 1,996건 처리시간 0.034초

광질 조절용 전구를 이용한 야파가 잎들깨의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for Night Break on Floral Induction and Growth in Perilla ocymoides L.)

  • 최영환;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현철;김근기;김용철;최인수;이유진;신우정;박영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0-156
    • /
    • 2008
  • 야파의 경비를 절감시키고 실제 농가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광질 조절 전구인 적색등, 청색등 및 삼색등을 구입하여 암기의 중간에 10분 동안 야파한 후 식물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체당 잎의 수와 엽면적 및 생체중은 적색등과 삼색등으로 야파한 경우에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청색등 야파 및 야간의 완전암하에서 가장 적었다. 초장과 줄기의 직경은 적색등, 청색등 및 삼색등으로 조사하였을 경우에 야간의 완전암보다는 신장생장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줄기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삼색 등으로 야파하였을 때에 가장 무거웠으며, 적색등 및 청색등의 순으로 생육이 촉진되었다. 적색등과 삼색등을 이용한 야파는 100일 후에까지 전혀 개화하지 않았으며, 야간의 완전암하에서는 약 85%, 청색광 야파는 31% 개화하였다. 야파후 개화에 소요되는 일수는 야간의 완전암하에서는 야파처리 약 60일 후, 청색광야파는 약 80일이었다. 야파 처리 80일 후에 광합성 율은 적색광으로 야파하였을 때에 가장 높았고 다음은 청색광이었으며, 삼색광하에서 가장 낮았다. 광보상점은 삼색등으로 야파한 경우에는 $20\;{\mu}mol\;m^{-2}{\cdot}s^{-1}$이하로서 낮았는데, 적색광과 청색광하에서는 $20\;{\mu}mol\;m^{-2}{\cdot}s^{-1}$ 이상으로서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파장별 LED광이 딸기의 생장 특성과 생리 활성 물질 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Phytochemical Production of Strawberry Fruits during Cultivation)

  • 최효길;권준국;문병용;강남준;박경섭;조명환;김영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56-64
    • /
    • 2013
  • 지구 온난화에 따른 최근의 이상기후는 일조량의 부족을 야기하여 농업 피해의 일차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하우스 재배에서 LED광은 일조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종종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LED 인공광원을 이용한 폐쇄형 생장실에서 생육 중인 성숙한 딸기 '대왕' 품종 과실의 생장 특성 및 기능성 식물화합물 형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공광원으로는 청색 LED광(448nm), 적색 LED광(634nm 및 661nm), 그리고 청색과 적색이 3대 7로 조합된 혼합 LED광을 사용하였으며, 태양광이 없는 폐쇄형 생장상에서 주간 16시간 및 야간 8시간의 광주기와 함께 $200{\pm}1{\mu}mol{\cdot}m^{-2}{\cdot}s^{-1}$의 광도로 LED광을 처리하였다. 청색과 적색 파장이 혼합된 LED광에서 자란 딸기 과실의 생산량이 다른 LED광 처리보다 높았다. 유리당 중의 하나인 과당은 혼합 LED광에서 증가되었다. 안토시아닌 함량 역시 다른 LED광 처리에 비하여 혼합 LED광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ED광 처리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반면, 청색 LED광에서 자란 딸기 과실은 다른 LED광처리에 비하여 빨리 익었다. 적색이나 청색의 LED광에서 생육한 과실의 항산화 활성이 혼합 LED광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온실에서의 딸기 생육 시 부족한 태양광의 보충광원으로서 청색과 적색의 혼합 LED광을 사용하면 과실의 생산량과 유리당 함량의 증진에 유용하리라고 판단되며, 식물공장에서 딸기 재배 시 성숙시기의 조절이나 당 함량 및 항산화제 증진과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LED 파장의 선택적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자극의 효과 (The Effect of Photomodula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김미나;곽택종;강내규;이상화;박선규;이천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5-331
    • /
    • 2015
  • 피부는 낮 동안 태양빛과 인공 빛에 끊임없이 노출되어 있으며, 그중 5%는 UV 영역, 50%는 가시광선, 나머지 45%는 적외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자외선의 피부에 대한 영향은 많은 연구가 되어 왔으나, 나머지 영역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가시광선에서 적외선 사이의 파장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광처리에 의한 효과는 광파장, 처리 시간, 광세기, 광조합 등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의해 그 효능이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콜라겐 합성과 관련된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광처리 조건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 사이의 6개의 파장을 처리한 결과, 레드(630 nm)와 그린(520 nm) 파장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광처리 시간은 콜라겐 합성량 증가를 위해서는 10 min의 광처리가 30 min의 광처리 보다 적합한 조건이었다. 광세기는 $0.05{\sim}0.75mW/cm^2$에서 6개의 광세기로 분할하여 실험한 결과, 레드 $0.3mW/cm^2$와 그린파장 0.15, $0.3mW/cm^2$ 세기가 type I collagen의 mRNA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두 개 파장을 순차적으로 조합 처리하였을 때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레드와 그린파장의 조합 조건은 섬유아세포의 수적증가를 목적으로 할 때 효율적인 방법이며, 콜라겐 합성에는 레드 단독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광처리 조건을 이용시 피부 세포의 성장이나 콜라겐 합성에 긍정적 영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재생 및 피부 미용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색광에 대한 조피볼낙의 반응 (Response of Rockfish to the Colored Lights)

  • 양용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3
    • /
    • 1985
  • 색광에 대한 조피볼낙 Sebastes schlegeli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조피볼낙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대체로 L 자형과 U 자형으로 나타났다. 2. 양색광원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13.50\%(0.70{\sim}31.65\%)$였고, 주간($17.03\%$) 보다 야간($9.98\%$)에 적었다. 3. 조피볼낙이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청색, 백색, 황색, 적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황색, 청색,n 백색, 적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심했으며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다. 5. 두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비교적 뚜렷하였는데 야간보다 주간에 더 뚜렷하였다.

  • PDF

색광에 대한 쥐노래미의 반응 (Response of Rock Trout to the Colored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1호
    • /
    • pp.6-10
    • /
    • 1984
  • 색광에 대한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쥐노래미의 구간별분포곡선은 양단구조에 다소 많이 모여 대체로 U자형이 되었다. 2. 양색광원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6.00%(0.50~20.80%)였고, 주간(4.68%)보다 야간(7.31%)에 더컸다. 3. 쥐노래미가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백색, 황색, 적색, 청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적색, 황색, 청색, 백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적었으며 비교적 안정하게 변동했다. 5. 두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비교적 뚜렷하였다.

  • PDF

통발용 형광 미끼통의 유인 효과 개선을 위한 자외선 조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V illuminance to improve on attraction effect of fluorescent bait cage for pots)

  • 장호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4호
    • /
    • pp.316-326
    • /
    • 2011
  • In this study, the entrapped number is investigated on the UV light with different illuminance to fluorescent bait cage for swimming crab in order to find the appropriate illuminance which has the best attraction effect of fluorescent bait cage for pots. In addition, preference to the light, arrival time and residence time at light area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fluorescent bait cage and non-fluorescent bait cage for American lobster at the UV light and ordinary l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condition. Pot with red non-fluorescent bait cage at the no lighting (<0.01lux), pot with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20W UV lighting (0.16lux) and pot with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30W UV lighting (0.22lux) were soaked for 6 hours and the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 was examined.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 in pot with red non-fluorescent bait cage at the no lighting (<0.01lux) was 1.0, but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 in pot with blue fluorescent bait cages at the 20W UV lighting (0.16lux) and 30W UV lighting (0.22lux) were 1.4 and 0.4, respectively (P<0.05). The rate of preference to the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UV lighting shows 1.6-4.8 times higher than that of preference to the red non-fluorescent bait cage at the ordinary lighting. In addition, The rate of preference to the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UV lighting is higher when the illuminance of ordinary light is same as or is lower than that of UV light (P<0.05). However, the preference to the light depending on gender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arrival time to UV light area of lobster is shown as 1.2-2.4 times faster than that to ordinary light area. Generally, it is shown that arrival time to UV light area is faster than the arrival time to ordinary light area when the illuminance of ordinary light is the same as or lower than that of UV light (P<0.05). However, arrival time to the light area depending on gender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residence time at UV light area of lobster is 1.2-1.7 times longer than that at ordinary light area. The residence time depending on different illuminance of ordinary light and gend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LED광원의 광파장 특성에 따른 식물의 성장도 평가 (Evaluation of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racteristics of the LED Light Source)

  • 황종대;고동수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98-106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lant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racteristics of LED light 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d, green, blue and white LEDs were arrayed in a rectangle array consisting of LED modules which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is can facilitate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from monochromatic red, green, blue and white LEDs or mixed LEDs for plant growth. Experiments to evaluate the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racteristics of the LEDs with several plants, in this case ice plants, lettuce, barley, broccoli and chives, were performed.

가시광통신 시스템에서 2색 LED를 이용한 잡음광의 영향 감소 (Reducing the Effects of Noise Light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wo Color LEDs)

  • 이성호
    • 센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29-433
    • /
    • 2012
  • In this paper, we reduced the optical noise interference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wo color LEDs. In the transmitter, the original and the inverted signals of the transmitted data modulated a red LED and a blue LED, respectively. In the receiver, a differential detector which is composed of two photodetectors and an optical red filter detected the mixed signal radiated from the two LEDs. In an environment that the optical noise from a fluorescent lamp exists,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is system was improved by about 20dB compared to that in the conventional system which uses a single LED and a single photodetector.

예광제 조성이 연소 불꽃의 스펙트럼 및 광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cer Composition on Spectrum and Intensity of Burning Flame)

  • 권순길;황준식;이상무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90-96
    • /
    • 2006
  • Computer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racer composition of a high performance to be able to be observed by not only the naked eye but also the thermal imaging system attached to the weapon system.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show that the optimum Mg content among the trace compositions is about 40% and the formulation consisted of Viton A has a higher flame temperature compared with that of chloride compound. But the only use of Viton A radiates a yellow light and the composition adding a chloride compound radiates the red light. The light intensity of the tracer composition involving Viton A is higher than that of chloride compound. The tracer composition involving Viton A shows more clear images in case of all tests.

Effects of Light on Spinach Glycolate Oxidase Gene Expression

  • Park, Yang-Seo;Jin, Yun-Hae;Kim, Young-Chang;Choi, Jung-Do;Cho, Nam-Jeong
    • BMB Reports
    • /
    • 제28권3호
    • /
    • pp.271-274
    • /
    • 1995
  • Glycolate oxidase is one of the key enzymes in the pathway of photorespi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ght on the expression of the spinach glycolate oxidase gene. Continuous exposure to white light resulted in a gradual increase in the steady-state level of glycolate oxidase mRNA within a time period of 2~24 h in both etiolated and dark-adapted green seedlings. A short white light pulse also increased the level of glycolate oxidase mRNA in etiolated seedlings. The mRNA level reached a maximum at 6~8 h after the pulse and decreased by 24 h after the pulse. The induction patterns of the glycolate oxidase gene by white light appeared similar to those of the rbcS gene, indicating that a common or coordinating regulatory system may b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the glycolate oxidase and rbcS genes. A red light pulse induce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glycolate oxidase mRNA and this effect was reversed by a subsequent far-red light pulse, suggest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 glycolate oxidase gene is regulated by phytochr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