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arlic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18초

홍마늘의 숙성 단계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d Garlic During Processing)

  • 강민정;윤환식;정성훈;성낙주;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98-906
    • /
    • 2011
  • 생마늘과 흑마늘의 중간 특성과 성상을 지니는 홍마늘을 개발하고 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홍마늘의 제조공정을 온도 변화에 따라 4단계로 나누고 각 제조 단계에서 얻은 홍마늘의 이화학적 특성을 생마늘 및 흑마늘과 비교 분석하였다. 홍마늘의 외부색과 내부색은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생마늘에 비해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생마늘에서 가장 높았고, 흑마늘이 가장 낮은 반면 홍마늘은 숙성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단단해지는 경향이었다. 숙성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홍마늘의 수분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생마늘과 유사한 범위를 나타내었고 조단백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다. 홍마늘의 pH는 생마늘과 차이가 적었으나 숙성기간에 따라 갈색물질의 생성이 진행되면서 $6.78{\pm}0.02$에서 $6.02{\pm}0.02$로 산성화되었다. 산도는 pH의 변화와는 상반되는 경향으로 흑마늘이 가장 높았고 홍마늘에서는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홍마늘은 생마늘에 약 1.3배 흑마늘은 2.5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다. 마늘 중의 유기산은 총 6종이 검출되었는데 홍마늘과 흑마늘로 숙성되면서 검출되는 유기산의 종류는 감소하였으나 총량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생마늘에 비해 홍마늘에서 월등히 증가하였으나 흑마늘에서는 오히려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숙성단계를 거치면서 홍마늘의 SAC 함량은 점차 증가하여 step 4에서는 $18.05{\pm}0.53$ mg/100 g으로 생마늘($14.11{\pm}0.30$ mg/100 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홍마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항비만 및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d Garlic Extract for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in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 이수정;김라정;류지현;신정혜;강민정;김인수;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1-220
    • /
    • 2011
  •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흰쥐에 15 brix의 홍마늘 열수추출물을 1%, 3%, 5% 및 7%로 식이 중에 혼합급이하여 체내 지질 함량 및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였다. 비만지수와 체지방량은 3% 이상의 홍마늘 추출물의 급이시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내장 지방 및 부고환 주변 지방 함량은 홍마늘 추출물의 급이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은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도 감소되었다. ALT 및 AST 활성은 홍마늘 추출물 급이시 대조군에 비해감소되었다. 간 조직 중 총 지질 함량은 5-7%의 홍마늘 추출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홍마늘 추출물의 5% 이상 급이시 분변 중에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설이 증가되었다. 혈청 중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5-7%의 홍마늘 추출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7%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따라서 홍마늘 추출물은 분변으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출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 지질 저하 및 항비만 효과를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숙성 홍마늘의 생리활성 (Antioxidants Activity of Aged Red Garlic)

  • 이수정;신정혜;강민정;정우재;류지현;김라정;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75-781
    • /
    • 2010
  • 흑마늘의 진한 흑색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생마늘보다는 생리활성이 높은 마늘 가공품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적갈색 마늘(홍마늘)을 제조하여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생마늘 및 흑마늘과 비교하였다. 홍마늘의 색도는 생마늘과 흑마늘의 중간 색도를 보였으며, 갈색도는 흑마늘보다는 생마늘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홍마늘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total pyruvate 및 thiosulfate 함량도 생마늘과 흑마늘의 중간수준이었다. DPPH, ABTs 및 NO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의 측정 결과 홍마늘은 생마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흑마늘보다는 낮은 활성을 보였다.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은 홍마늘과 흑마늘이 비슷한 활성으로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중심으로 한 생리활성의 측정에서 홍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더 높았으나 흑마늘에 비해서는 더 낮아 열처리를 통한 갈변물질의 생성정도가 숙성마늘의 생리활성 발현의 주요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석막으로 분리한 가공마늘 갈변물질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Browning Compounds from Processed Garlics Separated by Dialysis Membrane)

  • 신정혜;강민정;김라정;류지현;김미주;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7-365
    • /
    • 2011
  • 마늘 및 숙성을 통한 가공마늘 갈변물질의 생리활성을 규명하고자 생마늘, 중간숙성 마늘인 홍마늘 및 흑마늘의 수용성 갈변물질을 투석막을 이용하여 투석내액 및 외액으로 분리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항산화활성을 중심으로 생리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생마늘 및 홍마늘 투석액의 pH는 내액에서 더 높았으나 흑마늘은 이와 상반되게 투석외액의 pH가 더 높았고, 갈변물질은 생마늘, 홍마늘 및 흑마늘 모두 투석외액에서 더 높은 함량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투석내액의 경우 홍마늘에서 가장 낮았고 흑마늘에서 가장 높았으나, 투석외액에서는 홍마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흑마늘 투석내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total pyruvate의 함량은 생마늘과 홍마늘의 경우 투석외액에서 더 높았으나 흑마늘은 이와 상반된 결과였다. Total thiosulfinate의 함량은 흑마늘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홍마늘, 생마늘의 순서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생마늘과 흑마늘의 경우 투석내액이, 홍마늘은 외액에서 더 활성이 높았고, tyrosinase 저해활성은 홍마늘 투석액이 생 마늘 및 흑마늘에 비해 더 활성이 높았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투석내액이 외액보다 높았으며, 저농도에서 홍마늘은 생마늘보다 활성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과 홍마늘의 항산화 활성은 투석외액에서 더 높으며, tyrosin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투석내액에서 더 높았고, 이들에 비해 갈변 반응이 더 많이 진행된 흑마늘의 경우 투석내액의 생리활성이 더 높아 마늘의 갈변정도에 따라 생리활성에 기여하는 갈변물질의 분자 크기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에서 김치재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n Rabbits Fed Cholesterol Diet)

  • 송영옥;권명자;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89-1196
    • /
    • 1998
  • The antiatherogenic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was studied in terms of antioxidative effect against Newzealand white rabbits that fed 1% cholesterol. Experimental groups was fed 8% Baechu (Brassica pekiinensis), or 1% red pepper(Capsium annum), or 1% garlic(Allium sativum) for 12 weeks. Blood samples were drawn every 2 weeks to analyze vitamin E, POV, and TBARS.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vitamin E, and carotene concentration also were measured. Plasma TBARS and POV level were markedly lowered in both red pepper and garlic fed rabbits(p<0.05) compared to control. Hepatic POV and protein carbonyl values were lowered in the rabbits fed kimchi ingredients compared to control(p<0.05). Plasma vitamin 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e rabbits fed red pepper and garlic compared to control(p<0.05). Hepatic vitamin 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red pepper and garlicfed rabbits compared to control. For the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citivity, catal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d pepper and garlic fed rabbits compared to control. Therefore, Baechu, red pepper, and garlic exert an antioxidative effect against rabbits fed 1% cholesterol for 3 months.

  • PDF

Antiobesity Effect of Major Korean Spices (Red Pepper Powder, Garlic and Ginger) in Rats Fed High Fat Diet

  • Yoon, Ji-Young;Jung, Keun-Ok;Kil, Jeung-Ha;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58-63
    • /
    • 2005
  • Commonly used spices in Korean cooking (red pepper powder, garlic, ginger) were evaluated for anti-obesity properties and effects on triglyceride (TG) and cholesterol in blood and adipose tissues in rats fed a high fat (20%) diet. SD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on either a normal diet (ND, based on the AIN-93M diet), high fat diet (HFD, supplemented with 16% lard oil in the ND), or diets containing 5% red pepper powder (RPP), garlic or ginger. These spices significantly decreased weight gain compared to HFD, but garlic and ginger showed a greater effect on reducing weight gain than RPP. The weights of liver and epididymal and perirenal fat pads in garlic and ginger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s (p < 0.05). The garlic and ginger also decrease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tents in liver and epididymal and perirenal fat pad, reversing the higher levels seen in HFD. RPP, garlic and ginger supplemented diets were effective in lowering serum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p< 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arlic and ginger more effectively suppressed the effects of HFD on body fat gain and lipid values of adipose tissues and serum than RPP.

Influence of Garlic and Red Pepper on the Microflora of Kajami Shik-hae

  • MoussaSouane;Lee, Cherl-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6.1-516
    • /
    • 1986
  • Kajami Shik-hae processing consists of the fermentation of low salted Kajami (6% NaCl maximum) coated with a vegetable mixture, composed with cooked millet, red pepper, garlic and ginger. Lactic bacteria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microflora. In order to determine their eventual selective role on the microflor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and red pepper was tested with some strain of bacteria and molds isolated from Shik-hae and Shik-hae raw materials. And the influence of their concentration in Kajami Shik-hae on the microflora was also checked. At the concentration of 10% garlic have no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actic bacteria but on strains of Bacillus, Micrococcus and Aspergillus niger. At the concentration of 20% red pepper showed a slight inhibitory activity on two strains of Bacillus. These results shows that red pepper and garlic are not only flavoring ingredients but they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the microflora growth and composition during Kajami Shik-hae fermentation.

  • PDF

통고추를 이용한 보리고추장 양조시 마늘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on the Quality of Barley Kochuzang Brewed with Whole Red Pepper)

  • 이갑상;문정옥;백승화;김동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5-232
    • /
    • 1986
  • 보리고추장 양조시 고추씨 및 마늘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숙성과정중의 효소활성도와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숙성 중 효소의 활성은 전분액화·당화효소, 중성 protease, lipase모두 증가되었고 전분액화효소를 제외하고는 숙성후기에도 효소의 잔존활성이 높았으며, 고추씨의 첨가도 효소 활성유지에 효과적이었다. pH와 적정산도는 고추씨의 첨가로 변화가 적었고, 마늘의 첨가도 숙성후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총질소, 아미노태질소, 총당, 환원당은 고추씨나 마늘의 첨가로 증가되었으며, 암모니아태질소는 이들의 첨가로 숙성중기에 증가하나 숙성후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의 생성은 고추씨나 마늘의 첨가로 적었으며, 조지방은 고추씨의 첨가로 증가하였다. 10주 숙성 고추장의 맛, 향기 및 색은 전반적으로 마늘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따라서 통고추를 이용한 보리고추장은 원료에 2%의 마늘을 첨가하므로써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 PDF

붉은 양배추와 마늘종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평가와 냉장저장 중 돈육패티에 이용 (Evaluation of Antioxidan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Stem and Red Cabbage, and Their Application to Pork Patti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민들레;박성용;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1-297
    • /
    • 2010
  • 본 연구는 마늘종과 적양배추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이화학적 성상,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알아보고, 마늘종과 적양배추 추출물을 돈육패티에 첨가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향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에탄올로 추출한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마늘종 추출물이 3.13 g/100 g 적양배추 추출물이 3.99 g/100 g값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들의 전자공여능은 마늘종은 47.2-86.6%, 적양배추는 47.4-75.8%의 범위로 나타났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0.05% 범위에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Iron chelating 활성은 추출물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0.5% 미만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활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1%농도에서의 chelating 활성은 마늘종 추출물과 적양배추 모두 EDTA와 비슷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마늘종과 적양배추 추출물이 첨가된 돈육 패티의 냉장저장중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명도 및 황색도는 마늘종 첨가구와 적양배추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적색도는 적양배추 처리구가 마늘종 첨가구에 비해 높았고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TBARS의 값은 마늘종과 적양배추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마늘종보다 적양배추에서 뛰어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능력은 적양배추를 첨가한 TRT2(적양배추 0.5%)>TRT3(마늘종 0.25%+적양배추 0.25%)>TRT1(마늘종 0.5%) 순서대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늘종과 적양배추 단독 혹은 복합처리구의 항균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마늘종 추출물과 적양배추 추출물 모두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항산화제로서 기능성 식육가공품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향미성 Natto 제조과정중 당류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 (Changes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in Natto Added with Spice during Fermentation)

  • 김복란;박창희;윤복만;정민철;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120
    • /
    • 1995
  • Natto is a Japanese traditional food made from whole soybenas by fermentation of Bacillus natt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taste of Natto. Natto was compared with the changes in the various chemical properties after it had been produced by the addition of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the remained content of total sugar fo Natto added with red pepper oleoresin decreased than other groups during 24hours fermentation. The remained content of reduced sugar of Natto added with garlic, red pepper oleoresin increased than other groups. The amount of total free sugar showed almost no differences in the case of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added. Amino type nitrogen content increased gradually after 24 hour fermentation in all samples. Fre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in conventinal Natt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