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Contents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기록을 이용한 중환자실 간호업무 조사연구 (Analysis of the Nursing Practice in a Medical ICU Based on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 송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83-89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ntity of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s through analyzing nursing statements described by electronic nursing records in a MICU. Methods: 176,459 nursing statements of 188 patients during a 6 month-stay were analyzed statement by statement according to the nursing process(nursing phenomena, nursing diagnosis, & nursing activity) and 21 nursing components of Saba's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Results: Among 176,459 single statements, the statements of nursing activity ranked first in number. The contents of the statemen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main themes. Among 489 categorized themes, the number of themes of nursing phenomena statements was the highest. When analyzed by Saba's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the nursing statements mainly included a physiological component. Among 21 components, the respiratory component ranked in the first position in nursing phenomena,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activity. The extra statements not included in the 21 components were 9,294(15.1%) in nursing phenomena and 21,949(22.7%) in nursing activity. Most are statements related to tests and the doctor. Conclusion: The entity of MICU nursing practice expressed by electronic nursing records was mainly focused on physiological components and more precisely on respiratory components.

지수(指數)치를 이용(利用)한 중국(中國) 성인여성(成人女性)의 체형(體型) 유형(類型)에 관한 연구(硏究) - 연령(年齡).지역(地域을)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Chinese Women according to Index - According to Region and Age Group -)

  • 김은희;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5호
    • /
    • pp.136-154
    • /
    • 2007
  • This aims to improve match of clothes for export by offering material information about Chinese women's shape. Therefore, this categorizes the shape by where they live or how they are old and understands the tendency of spread of the shape. To categorize the subject by not size factor but form factor,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mainly with index based on measurement of the body. This selected specimen as 1,381 of Chinese women from 19 to 50 selected in random sampling in Shanghai and Beijing from 23th, June to 7th August in 2004. 1. Body shapes categorized by regional and age base are hardly different in its contents. The younger they are,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front side factors is, the older they are,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shoulder and back side factors is, so this shows tha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degree of importance. 2. This is categorized by equal formations in regional and age base in all groups. Normal shapes record highest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fat and skinny shapes record highest and lowest in the forties, respectively. Normal, fat and skinny show its range as respectively decreasing order in Shanghai and Beijing.

전거용 MARC 포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C Format for Authorities)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8
    • /
    • 1996
  • 본고는 전거용 MARC 포맷의 3요소로 일컬어지는 구조와, 내용표지법, 레코드의 내용에 대해 UNIMARC와 USMARC, KORMARC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레코드의 구조와 내용표지 법은 ISO 2709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대부분 서지용포맷과 동일하다. 다만 데이터필드의 구조와 블록구분은 USMARC와 KORMARC가 전통적인 목록의 전거카드형식을 따르고 있고 UNLMARC는 GARE의 일반적 구조를 따르고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정길이필드의 레코드의 내용에는 USMARC와 KORMARC의 경우에 표목의 선정과 상태 및 범위,총서에 관련된 사항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UNIMARC에는 국제적 상호교환에 관련된 요소들이 추가되어 있다. 가변길이필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KORMARC의 한자데이터 처리와 관련하여 별도의 서브필드$(\blacktriangledown\;j)$를 설정할 것과, 총서에 대한 청구기호와는 별도의 분류기호필드를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소장데이터용 MARC 포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C Format for Holdings Data)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86
    • /
    • 1999
  • 본고는 소장데이터용 MARC 포맷의 일반적 특성과 개발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MARC 포맷의 3요소로 일컬어지는 구조와, 내용표지법, 레코드의 내용을 이미 개발된 USMARC과 KORMARC 포맷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레코드의 구조와 내용표지법은 서지용 및 전거용포맷과 대부분 동일하다. 데이터필드는 기본적으로 기능별블록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현재는 0XX, 5XX, 8XX 필드만이 사용되고 있다. 008 필드의 레코드 내용에는 수서와 보유정책 등 자료의 소장에 관련된 요소들이 추가되어 있다. 가변길이필드의 내용은 번호와 코드, 주기, 소재와 접근, 소장데이터 필드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소장데이터필드는 다시 캡션과 패턴, 권호와 연대, 문장형식소장정보 자료정보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각 필드별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 PDF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Metadata and Developing Standard Elements to Establish Oral History Archives)

  • 이정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3-184
    • /
    • 2009
  • 본 연구는 문헌사를 대치하는 구술사에 관하여 기록물로서의 중요성을 제시하면서 구술사 기록물을 구조화 할 수 있는 표준 메타데이터 모형과 설계 요소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술사 기록의 내용과 형태를 정보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표준 메타데이터 기술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구술 아카이빙 구축을 위하여 프로젝트, 관리, 레코드 그리고 관련 레코드 영역으로 메타데이터 모델링을 설계 하였다. 또한 기본 요소와 세부 요소, 구분 요소의 설계 원칙에 의하여 실제 구술사 기록물을 대상으로 구현을 통해 적용 해 보았다.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에 수록된 이종준(李宗準) 의안(醫案)에 대한 연구 (Study on Jong-jun Lee's Medical Records in Sinsuntaeeuljagumdan)

  • 김재은;최달영;정한솔;신현종;신상우;하기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62
    • /
    • 2011
  • Sinsuntaeeuljagumdan is a medical book written by Jong-jun Lee, who was an government official in Yonsan-gun period in Chosun dynasty. This book has importance in medical history, as it was the first privately published medical book in early Choson dynasty, and written by an bureaucratic gentry, not by a professional doctor. Three versions of this book remain, among which Sungam version is printed and closest to the original, while Kyoto version is facsimile manuscript of the Sungam version. The contents of the book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sections, i.e. constituents and making instructions, applicable symptoms and adminstration directions, and medical records and episodes. The medical records, of these three sections, are total 8 cases, with a great value as the first ever medical record in korean history.

The 26 september 2019 Istanbul Earthquake, its characteristics and reminders

  • Gullu, Ahmet;Yuksel, Erc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3권1호
    • /
    • pp.75-85
    • /
    • 2022
  • The megacity Istanbul was struck by an earthquake on September 26, 2019, with a moment magnitude (Mw) of 5.8. The mainshock was followed by many aftershocks. Although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of the mainshock was as low as 0.08 g, its effect has been more than expected. The intensive reconnaissance studies were accomplished in the highly populated Zeytinburnu and Pendik districts of Istanbul. While the earthquake (EQ) was relatively smaller concerning record-specific intensity measures; the damages such as concrete spalling in reinforced concrete (RC) members, detachment and diagonal cracking of infill walls in RC frames as well as cracks in masonry structures were reported from non-engineered and some engineered buildings. Many studies in the literature state that record-specific intensity measures are not sufficient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ructures. The structure-specific intensity measures, soil characteristics, as well as significant duration, energy, and frequency content of EQ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Dependently, the frequency and energy contents of the Istanbul Earthquake are evaluated to discuss the possible reasons for the perceived effects and the damages. It is concluded that the EQ caused resonance effects on a variety of structures because of its complex frequency content as well as rather low building quality.

단위수량 변화에 따른 혼화제 종류 및 첨가량별 콘크리트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Concrete Characteristics by Admixing Agent and Additive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Unit-Water)

  • 류현기;우종권;조명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39-1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crete characteristics by admixing agent and additive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unit-water to identify its effect on compressive strength. First of all, as for flesh concrete, overall unit-wat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component inclusion rate of admixing agent was increased. In addition, air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by increasing WR, WB, NP series admixing agent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air content was gentle by around $1.5{\pm}0.5%$ for S, T, M series agents. Bulk density showed an inverse proportion to the change of air content. As for hardened concrete, expression rate of 3-day age compressive strength was generally decreased for S, T, WR, WB, NP, M series admixing agent component. Also, expression rate of 7-day age compressive strength showed an excellent record for S, M series agents, and expression rate of 28-day age compressive strength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more than plain on the whole.

시간 경과에 따른 자기장 노출 유·무 환경에서 열형광선량계의 글로우 곡선 및 피폭 방사선량 분석 (TLD's Glow Curve and Radiation Exposure Amount Analysis at Environment with/without Magnetic Field Exposure as Time Passing)

  • 이재헌;고성진;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19-426
    • /
    • 2016
  • 본 연구는 PET-MRI를 다루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효과적인 피폭관리와 경과시간(24시간, 1주, 2주, 3주, 4주) 및 자기장에 따른 개인피폭선량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룹화된 TLD에 열처리 수행 및 방사선을 조사하여 각기 다른 노출 환경에 보관한 후 실험이 종료되면 판독을 수행하여 글로우 곡선 및 피폭 방사선량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24시간 경과한 TLD 그룹에서 글로우 곡선 및 방사선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자기장 노출로 인한 변화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에 노출되지 않은 TLD 그룹의 평균 피폭 방사선량은 15.41 mSv로 나타났으며, 자기장에 노출된 TLD 그룹의 평균 피폭 방사선량은 14.83 mSv로 나머지 그룹보다 가장 크게 감소(3.80%)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ET-MRI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가 개인피폭선량계로 TLD를 사용하는 경우, 정기 판독주기에 맞게 TLD 판독 시 자기장 노출로 인한 실제 피폭 방사선량과의 차이는 크게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나 정기 판독이 아닌 중간 판독을 수행하였을 경우, 실제 피폭 방사선량보다 낮은 피폭선량 값을 나타낼 것이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A Study on Record Selection Strategy and Procedure in Dataset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 조은희;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251-291
    • /
    • 2009
  • 행정정보시스템은 계속 숫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시스템이 노후화되거나 새로 개발되는 경우 기록이 손실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록관리를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록의 특성과 요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기록관리 선진국에서는 정부차원에서 데이터세트 기록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데이터세트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사례도 있고, 보존을 위한 관리체계나 보존포맷에 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도 있다. 우리나라도 데이터세트에 대한 기록관리 체제와 개별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수행되고 있으나 공식적인 관리 체계가 수립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에 기본 하여 전자정부 추진 전략의 틀에서 데이터세트 식별체계의 수립과 기록관리기준의 설정 전략을 제안하였다. 행정정보시스템 기록화를 위한 데이터세트 선별 절차를 (1)기록화 대상 데이터세트 결정, (2)데이터세트 기록 건 식별 단계, (3)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계층 구성 단계로 나누어 정리해보았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에 대한 보존포맷이나 데이터세트 아카이브 단계에서의 관리절차 등 아카이빙 단계의 문제는 연구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