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ity Analysis

검색결과 1,882건 처리시간 0.029초

증강현실(AR) 스마트글라스 보건의료 융합 시뮬레이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Perception and Attitude on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 for Healthcare Convergence Simulation)

  • 이영호;최종명;윤효석;김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69-377
    • /
    • 2021
  • 보건의료 환경에서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는 업무의 흐름에 방해 없이 환자나 치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건의료 시뮬레이션에서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의 도입으로 학생들은 원격협업과 실시간 정보활용을 통해 수행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 본 논문은 보건의료 시뮬레이션에서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 활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보건의료 전공 대학생, 컴퓨터 전공 대학생, 개발자 및 교수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을 통해 95명의 데이터를 수집, SPSS 25.0을 활용한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결과 개발자와 교수진 집단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고, 모든 항목에서 보건의료전공 학생이 컴퓨터전공 학생보다 인식과 태도점수가 높게 확인되었다.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 시뮬레이션을 통한 기술 습득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고, 큰 화면과 성능이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었다. 보건의료전공 대학생과 컴퓨터전공 대학생의 인식과 태도의 차이에 대한 자세한 원인분석을 통해 융합 연구를 위한 전략 수립이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 기술의 보건의료에서의 활발한 적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가상현실(VR)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 김만제;길영숙;강셋별;이재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46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적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작업치료 중재의 효과와 적용 방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RISS, DBpia, KCI, Science direct, CINAHL MEDLINE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 '가상현실', '작업치료', '아동', '청소년', 'Virtual Reality', 'Occupational Therapy', 'Child', 'Adolescent'을 사용하였다. PRISMA의 Flowchart 4단계를 거쳐 총 16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16편의 연구에서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용된 VR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중재 대상자는 뇌성마비 유형 중 편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효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 인지, 운동기술, 사회적-상호작용기술, 시-지각 평가이었다. 중재 도구로는 Nintendo Wii와 Microsoft Kinect가 운동기술 및 일상생활 향상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진단과 중재목적에 맞는 VR 도구 선택과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VR중재가 임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통사고 후유장애 치료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Treat the Stress Disorder after Car Accident)

  • 김형래;이상호;노주선;김현택;김지혜;고희동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33-38
    • /
    • 2001
  •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후 경험하게 되는 불안감 및 공포감과 같은 심리적인 후유장애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수행되었다. 가상현실을 통한 교통사고 후유장애 프로그램의 핵심내용이 되는 운전주행 시나리오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완훈련 등의 불안감소 훈련의 효과를 피험자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총 8명의 피험자(정상인 7명, 교통사고 환자 1명)를 대상으로 세 가지 주행상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후 이완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완훈련 후 유의미한 불안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각의 주행상황에 따라서 불안이 증가되는 경향성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주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에도 불안유발 경향성이 나타난 점은 고무적이나 교통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인 증명이 필요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한 이완훈련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효과적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특징점 분석 기반의 마커영상 평가 방법 (Evaluation of Marker Images based on Analysis of Feature Points for Effective Augmented Reality)

  • 이진영;김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9-5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마커기반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하여 영상 내 객체의 분포에 대한 분석과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의 분류를 통한 마커영상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객체의 분포는 영상의 부분적 가림 현상에 따라 객체추적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징점 좌표의 분산을 이용하여 가림 현상에 취약한 마커영상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일반 영상과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의 특징점 기술자 벡터의 분포가 현저하게 다르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객체의 인식 및 추적에 적합한 영상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마커 평가 방법이 가림 현상에 취약한 영상 및 반복 패턴 영상을 구분하는데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커영상에 대한 객체 추적 등의 안정성 측면에서 SURF보다 SIFT 기법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마커영상에 대한 적합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Simulation Program us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Meta-analysis)

  • 최문지;김경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81-388
    • /
    • 2021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논문의 결과를 대상으로 실시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2020년 11월까지 국내·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학술지 논문의 전수를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등의 검색어를 조합하여 총 1,41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비중재연구, 초록이나 단행본, 효과크기 산출이 불가능한 연구를 배제하여 총 3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자료는 R version 4.0.2 program 효과크기 산출, 이질성 및 출간오류분석을 시행하였다.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0.35로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결과변수에서 지식의 효과크기는 0.21, 수행능력의 효과크기는 0.59, 만족도 영역에서는 0.38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은 흥미를 높이고 수행능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으며, 시뮬레이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Virtual Reality Cognitive Evaluation Syste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alysis Evaluation

  • Jeonghan Kwon;Subeen Kim;Jongduk Cho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6-313
    • /
    • 2023
  • Background: As social problems due to the acceleration of the aging era an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re becoming serious, virtual reality (VR)-based healthcare is emerging as an approach for preventing and managing health issues. Objects: This study us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to examine the clinical efficacy that is, the clinical value and usability of a novel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index that we developed. Methods: We developed a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alysis evaluation for individuals aged 65 to 85. After conduc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 (K-MMSE) cognitive evaluation, the evaluation score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wo groups,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grades were categorized into a normal cognitive group (GDS grade 1) and a cognitive impairment group (GDS grades 2 and 3). The data were measured twice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and assess the stability and clinical value of the evaluation system. Results: Our evaluation system had a high correlation of 0.85 with the widely used K-MMSE cognitive evaluation. The system had strong criterion-related validity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Compared to the average score of GDS grade 1 i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the average score of GDS grades 2 and 3 i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while also having strong construct validity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tests-re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3,1), which equaled 0.923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we developed is a valid and reliable clinical tool to distinguish between normal cognitive statu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병렬구조형 차량운전 모사장치의 성능평가 및 분석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arallel typed for a vehicle driving simulator)

  • 박일경;박경균;김정하;이운성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481-1484
    • /
    • 1997
  • The vehicle driving simulator expects vehicle motion with real-time simulation arise from driver's steering, accelerating, stopping and simulates motion of vehicl with visula, audio and washout algorithm. And it gives a vivid feeling to driver in reality. Vehicle driving simulator with vehicle integration control system is used for analysis of analysis of vehicle controllaility, steering capacity and safety in various pseudo environment alike. basides, it analyzeds vehicle safety factor dirver's reaction and promotes traffic safety without driver's own risks. The main proceduress of development of the vehicle driving simulator are classified by 3 parts. first the motion base system which can be generated by the motion queues,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real-time vehicle software which can afford the vehicle dynamics, might be constructed. The third procedure is the integration of vehicle driing simulator which can be interconnected between visual systems with motion base. In this study, we are to study of the motion base for a vehicle driving simulator design and that of its real time control and using an extra gyro sensor and accelerometers to find a position and an orientatiion of the moving platform except for calculating forward kinematics. To drive the motion base, we use National Instruments corp's Labview software. Furthemore, we use analysis module for the vehicle motionand the washout algorithm module to consummate driving simulator, which can be driven by human in reality, so we are doing experimentally process about various vehicle motion conditon.

  • PDF

퇴직급여 현황과 퇴직연금의 연금화 방안 (The reality of benefits for retirement and the measures for annuitization of the occupational pension)

  • 정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165-117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후소득보장의 한 방안으로 퇴직급여 제도의 현황을 조사하고 퇴직연금의 연금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회귀분석 및 교차분석의 실증분석과 외국사례를 사용한다. 교차분석 결과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의 은퇴준비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경우는 개인형퇴직연금의 확대, 저소득층의 경우는 독일의 리스터연금과 같은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퇴직연금의 연금화 방안과 관련하여서는 호주와 영국의 사례를 참조하여 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여자 청소년용 가상모델 개발을 위한 체형구분 및 설계방법 연구 (An Analysis of Young Girls' Somatotype and the Design for Virtual Fitting Model)

  • 강여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09-1123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a somatotype of teenager's that was suitable to improve the reality of a virtual model size. We analyzed 843 teenagers 12-18 years old from the 6th Size Korea data. First, factor analysis was done for abstracting new criteria and dividing the somatotype; subsequently, we selected the waist height proportion to stature (body proportion) and drop (torso shape). Next, the cluster analysis was done with these criteria; subsequently, 5 body proportion types and 7 torso shapes were distinguished. A virtual model size for 4 somatotype with more than 50 persons was also designed by a regression analysis that constituted sizes for each factor. The designed model size was compared with body size as well as with Clo's virtual model size. The research model showed a high similarity in sizes with body as well as improved reality over the Clo model that presented size problems such as low waist height, bigger bust, and smaller thigh circumference than the real body.

메타분석을 통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가상현실 중재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Through Meta-analysis)

  • 권재성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7-22
    • /
    • 2021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손상된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가상현실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하여 최근 10년 동안의 국내·외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연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검색을 위한 학술 데이터베이스로는, 영어로 작성된 연구의 검색을 위해 PubMed와 MEDLINE, CINAHL을 사용하였고, 국문으로 작성된 연구의 검색을 위해서는 DBpia와 한국학술정보, 스콜라 학지사·교보문고, 학술교육원을 사용하였다. 정보의 추출은 PICO 방식으로 시행하였다. 계량적 메타분석을 위하여, 결과변인의 하위그룹을 전반적인 인지기능, 집중력과 기억력, 실행기능으로 분류하여 결과변인을 합성하였다. 결과 : 최종 9편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이 선정되었고, 참여대상자의 총인원은 실험군이 140명, 대조군이 131명이었다. 효과크기는 랜덤효과모델로 산출하였다. 하위그룹들에 대한 가상현실 중재의 효과크기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0.422(95% CI: 0.101~0.742; p=0.010)로 중간효과크기에 가까웠고, 집중력과 기억력이 0.249(95% CI: -0.107~0.605; p=0.170)로 작은효과크기, 실행기능은 0.666(95% CI: 0.136~1.195; p=0.014)으로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결론 : 가상현실 환경의 다양한 자극과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가상현실 중재는 통합적인 인지기능에 대한 중재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통적인 뇌졸중 인지재활 중재와 더불어 추가적인 중재로 활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