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ctive Fuel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6초

75kW 용융탄산염 연로전지[MCFC] 스택 운전 결과 (The Operating Results of the 75kW MCFC Stack)

  • 강승원;김범주;김도형;이정현;김의환;임희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02-207
    • /
    • 2009
  • A 75kW MCFC stack with the reactive area of 9,600cm$^2$ has been operated and validated in Boryeong thermal power plant. The 75kW MCFC stack was installed at the end of November 28, 2008 and started initial operation on December 23, 2008 after pretreated for about 20 days. At initial load operation, the stack showed the Open Circuit Voltage of 137V, which approaches the theoretical value. At the early stage of rated power operation, the stack displayed the voltage of 104V at the current of 754A and reached the maximum generating power of 78.5kW DC. This stack has been operated for 2,890 hours until April, 2009. In addition, the operation time of rated power records 1890 hours. This Operating result is scheduled to be reflected the design of l25kW stack.

스퍼터링 공정 조건이 산화 구리 박막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puttering Conditions on Properties of Copper Oxide Thin Films)

  • 조재유;허재영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5-19
    • /
    • 2017
  • The fossil fuel power consumption generates $CO_2$, which causes the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Also, the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has accelerated the depletion of the fossil fuels, and renewable energy is attracting attention. Among the renewable energies, the solar energy gets a lot of attention as the infinite clean energy source. But, the supply level of solar cell is insignificant due to high cost of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 comparison with fossil fuels. Thus several researchers are recently doing the research on ultra-low-cost solar cells. Also, $Cu_2O$ is one of the applied materials as an absorption layer in ultra-low-cost solar cells. Cuprous oxide ($Cu_2O$) is highly desirable semiconductor oxide for use in solar energy conversion due to its direct band gap ($E_g={\sim}2.1eV$) and a high absorption coefficient that absorbs visible light of wavelengths up to 650 nm. In addition, $Cu_2O$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non-toxicity, low cost and can be prepared with simple and cheap methods on large scale. In this work, we fabricated the $Cu_2O$ thin films by reactive sputtering method. The films were deposited with a Cu target with variable parameters such as substrate temperature, rf-power, and annealing condition. Finally, we confirme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in films by XRD and SEM.

계통연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특성 (Parallel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System and Revolving Field Type Synchronous Generator)

  • 류연수;유왕진;이철규;문종범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48
    • /
    • 2008
  • Through simulations and field experiment on A.C. parallel operation of both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System and Diesel Engine Revolving Field Type Synchronous Generator, following factors have been found. First, the inverter should be operated in three modes of frequency(mode.1: ${\pm}$0.3Hz, mode.2: ${\pm}$1Hz, mode.3: ${\pm}$2Hz) as default, considering properties of operating Synchronous Generator. Second, as a result of supplying 13.5kW of residual power, it has been found that Synchronous Generator takes the power input only as reactive power, because it was electrically stable with frequency of 60.14Hz and high voltage of 222.3V even when power factor was -0.94. Besides, it was mechanically stable, too, because the quake, noise, and temperature of Synchronous Generator in this case were 7.5mm/s, 97dB, and $6^{\circ}C$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normal load connection of 145.6kW; 11.03mm/s. Thus, load share of Revolving Field Type Synchronous Generator reduces according to the supply of Photovoltaic System to the load power. In this experiment, 200kW of Synchronous Generator and 40kW of Photovoltaic System were operated in parallel. The load share was 20% in maximum. and 11.1lit/hr of fuel was saved.

  • PDF

단상 계통연계 인버터의 SRF 전력제어 방법 (A SRF Power Flow Control Method for Grid-Connected Single-Phase Inverter Systems)

  • 박한얼;김은석;송중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29-135
    • /
    • 2010
  •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분산발전 시스템은 핵심 구성 요소인 PWM 인버터의 전력제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상 계통연계 인버터 시스템의 전력제어를 위해 계통 임피던스를 고려한 SRF(synchronous-reference-frame) 전력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SRF 전력제어 방법은 복잡한 계통 임피던스의 추정 없이 계통 임피던스의 공칭값(nominal value)에 기반해 단상 인버터에 전압 기준값(reference)을 제공하여 독립운전 모드와 계통연계 모드에서 모두 운전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계통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SRF 전력제어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한 SRF 전력제어 방법을 통해 단상 계통연계 인버터 시스템의 전력 흐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이브리드 연소기의 산화제 주입기 배열 특성에 따른 반응유동장 해석 (Reactive Fields Analysis of Hybrid Combustor Under Different Arrangements of Oxidizer Injectors)

  • 조성찬;김수종;이승철;김진곤;구자예;문희장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8-88
    • /
    • 2005
  • 산화제 주입기 배열 변화에 따른 End-Burning 하이브리드 연소기의 연소실 내부 유동장의 특성 및 온도장 분포도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월을 동반하는 하이브리드 연소실내 확산 화염의 주요 거동을 얻기 위해 7가지의 다른 O/F 비를 갖는 연소의 기본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화제 주입기의 위치 변화 및 공급방식이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율을 크게 지배하고 온도분포에도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여러 산화제 주입기 배열중에서 counter rotating 유동을 유발시키는 주입기가 가장 좋은 혼합효율을 보였으나 벽면 근처에서 관찰된 고온부의 발생 문제가 대두되었다.

단면 개방이 ZIRLO 피복관의 염소화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oss-Section Openings on the Chlorination Reaction Rate of ZIRLO Cladding Hulls)

  • 전민구;최용택;이창화;강덕윤;허진목;안도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1-2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산화된 피복관으로부터 염소화 공정을 통해 Zr을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단면이 개방된 ZIRLO 피복관의 염소화 반응 속도식을 열중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산화된 ZIRLO 피복관은 400도 염소화 조건에서 염소 기체와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피복관 한쪽 혹은 양쪽 끝의 새로운 단면이 개방될 경우 ZIRLO의 염소화 반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반응을 완료하기까지 8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는 반응 완료까지 7 시간이 소요된 산화되지 않은 피복관에 비하여 반응시간이 14% 증가한 것이다. Sharp-Hancock 식을 이용하여 단면이 개방된 ZIRLO 피복관과 염소 기체의 반응을 모사하기 위한 구조함수를 도출하였으며, 부피축소 모델이 본 연구 조건에서 가장 적합한 구조 함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ZIRLO 피복관의 표면이 산화되어 있는 조건에서도 단면노출을 통해 염소화 공정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금속 표면 제염을 위한 코발트의 플라즈마 식각 반응 연구 (A Study on Plasma Etching Reaction of Cobalt for Metallic Surface Decontamination)

  • 전상환;김용수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3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제염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CF_4/O_2$, $SF_6/O_2$, $NF_3$ 등의 반응성 플라즈마 기체를 이용하여 원자력 시설의 주요 오염원인 코발트 핵종에 대한 표면 제염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디스크 형태의 금속코발트에 대하여 시편 표면 온도를 변수로 플라즈마 식각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반응율은 $420^{\circ}C$에서 $NF_3$ 기체의 경우 $17.2\;{\mu}m/min.$ 그리고 $SF_6$$CF_6/O_2$ 기체의 경우 각각 $2.56\;{\mu}m/min.$$1.14\;{\mu}m/min.$이었으며, 이들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39.4 kJ/mol, 42.1 kJ/mol, 116.0 kJ/mol이었다. 이와 함께 AES (Auger 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반응 생성물 성분 분석 결과 이들 반응의 주요 반응 기구는 코발트의 불화 반응임이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확보된 $17\;{\mu}m/min.$의 금속 표면 식각율은 주요 반도체 공정의 식각율을 뛰어넘는 높은 식각율로 플라즈마 제 염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고무적인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치료에 대한 반응이 없는 폐렴 (Unresolving Pneumonia)

  • 방도석;정인성;강기만;박범철;윤영걸;김재수;박열;이성훈;홍영철;고경태;박상민;나동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04-608
    • /
    • 2004
  • 외인성 지방성 폐렴은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동물성, 식물성 및 광물성 지방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발견된 예보다 훨씬 빈도가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세한 병력 청취로 원인 물질에 대한 노출을 우선 확인하여 지방성 폐렴을 의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LPG 증기보일러의 배기 배출물에 미치는 요소-SCR 후처리 시스템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Urea-SCR Aftertreatment System upon Exhaust Emissions in a LPG Steam Boiler)

  • 배명환;송병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11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R reactor on the exhaust emission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velop a urea-SCR aftertreatment system for reducing $NO_x$ emissions.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by using a flue tube LPG steam boiler with the urea-SCR aftertreatment system. The urea-SCR aftertreatment system utilizes the ammonia converted from 17% aqueous urea solution injected in front of SCR catalyst as a reducing agent for reducing $NO_x$ emissions. The equivalence ratio, urea injection amount, ammonia slip and $NO_x$ conversion efficiency relative to boiler load are applied to discuss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is experiment, the average equivalence ratio is calculated by changing only the fuel consumption rate while the intake air amount is constantly fixed at $25,957.11cm^3/sec$. The average equivalence ratios are 1.38, 1.11, 0.81 and 0.57 when boiler loads are 100, 80, 60 and 40%. The $NO_x$ conversion efficiency is raised with increasing urea injection amount, and $NH_3$ slip is also booste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the $NO_x$ conversion efficiency relative to boiler load should be examined in combination with urea injection amount and $NH_3$ slip. The results are calculated by 89, 85, 77 and 79% for the boiler loads of 100, 80, 60 and 40%. The appropriate amount of urea injection for the respective boiler load can be not discussed by only $NO_x$ emission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NO_x$ conversion efficiency, $NH_3$ slip and reactive activation temperature simultaneously. In this study, the urea amounts of 230, 235, 233 and 231 mg/min are injected at the boiler loads of 100, 80, 60 and 40%, and the final $NH_3$ slips are measured by 8.48, 5.58, 11.97 and 11.34 ppm at the same conditions. THC emission is affected by the SCR reactor under other experimental conditions except 100% engine load, and CO emission at only 40% engine load. The rest of exhaust emissions are not affected by the SCR reactor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파편화 효과와 결정립 가변 전환시간을 고려한 Crackling Core Model의 개선 : UO2 구형 입자의 산화거동으로의 적용 (Revised Crackling Core Model Accounting for Fragmentation Effect and Variable Grain Conversion Time : Application to UO2 Sphere Oxidation)

  • 이주호;조용준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1-420
    • /
    • 2018
  • 공기 분위기하 $UO_2$의 독특한 산화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기존 Crackling Core Model (CCM)을 개선하였다. $UO_2$$U_3O_8$으로 전환될 때 시간-전환율 곡선에서 나타나는 실험적 sigmoid 거동을 근사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모델 개선에 파편화 효과로 인한 반응 표면적 증대 및 결정립 가변 전환시간 개념을 고려하였다. $UO_2$$U_3O_7$을 거쳐 $U_3O_8$으로 전환되며 최종 결정립 산화소요 시간은 초기 결정립 산화 소요 시간의 10배에 해당한다는 가정을 도입했을 때, 개선된 모델은 599 - 674 K에서의 $UO_2$ 구형 입자의 실험적 산화거동과 근사한 계산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핵종성장모델(Nucleation and Growth Model) 및 자촉매반응모델(AutoCatalytic Reaction Model)과 비교할 때 가장 작은 오차를 보여주었다. 개선된 모델을 통해 $U_3O_8$으로의 100% 전환시 계산된 활성화에너지값은 $57.6kJ{\cdot}mol^{-1}$로 자촉매반응모델로 계산된 값인 $48.6kJ{\cdot}mol^{-1}$보다 크며, 외삽에 의해 결정된 실험값에 더 근사함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