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264.7 macrophages

검색결과 919건 처리시간 0.03초

운목향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및 면역조절에 대한 효과 (Anti-inflammatory and Immune Regulatory Effects of Aucklandia lappa Decne 70% Ethanol Extract)

  • 김민선;김남석;권진;김하림;이다영;오미진;김홍준;이창현;오찬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8
    • /
    • 2018
  • Background: Thi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nd immune regulatory effects of Aucklandia lappa Decne (AL). Methods and Results: We measured cytotoxicity, nitric oxide (NO) content, mRNA expression (iNOS, IL-1${\alpha}$, IL-$1{\beta}$, and TNF-${\alpha}$), protein expression (iNOS, COX-2, and $I{\kappa}B$) and phagocytic activity in RAW264.7 cells. Male BALB/c mice were fed 100 mg/kg AL (Aucklandia lappa Decneon 70% ethanol extract) and 250 mg/kg AL for 4 weeks; thereafter, we observed B/T or $CD4^+/CD8^+$ lymphocyte subpopulation change, and expression patterns of $CD4^+$ and $CD8^+$ lymphocyte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mouse splenocytes and/or thymocytes. To determine the experimental concentration of A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tested at $12.5{\mu}g/m{\ell}$ or less. AL inhibited the levels of NO, lymphokine production (IL-$1{\beta}$, and TNF-${\alpha}$), and mRNA (iNOS, IL-1${\alpha}$, IL-$1{\beta}$, and TNF-${\alpha}$) and protein (iNOS, and COX-2) expression. Additionally, the levels of $I{\kappa}B$, phagocytic activity, and splenic and thymic T lymphocytes, especially $T_H$ and $T_C$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 administered mice. The immuno-reactive density of $CD4^+$ and $CD8^+$ lymphocytes was stronger in AL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AL stimulated NO, iNOS, and COX-2, and regulated IL-1${\alpha}$, IL-$1{\beta}$, TNF-${\alpha}$, and $I{\kappa}B$ in macrophages treated with LPS (lipopolysaccharide). In addition, AL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and the immunity of mouse T ($T_H$, and $T_C$)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 might show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the suppression of various inflammatory markers and immuno-regulatory activity.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 양현모;임순성;이연실;신현경;오양석;김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2-34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세기에 걸쳐 발기부전(impotence), 정액루(spermatorrhea), 유뇨증(enuresis), 천식(asthma) 및 알레르기 관련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토종 복분자 (R.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R. occidentalis)의 항염증활성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토종 복분자의 에탄올 추출물이 외래종 복분자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교해 LPS 처리에 의한 NO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NO와 $PGE_{2}$ 생합성효소인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 또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LPS 유도에 의한 $TNF-{\alpha}$와 IL-6의 생성억제 효과도 토종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이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에 비해 탁월함이 관찰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토종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이 macrophage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반응의 매개물질인 NO, $PGE_2$, 염증성 cytokine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항염증활성을 갖는 복분자 추출물의 성분을 동정하는 연구가 더욱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토종 복분자가 천연 항염증활성을 갖는 제품 개발에 있어 유용한 식물자원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식세포가 β-tricalcium Phosphate 뼈이식제의 생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crophage on Biodegradation of β-tricalcium Phosphate Bone Graft Substitute)

  • 김영희;;변인선;오익현;민영기;양훈모;이병택;송호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618-624
    • /
    • 2008
  • Various calcium phosphate bioceramics are distinguished by their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osteoconductivity. Especially, the exceptional biodegradability of $\beta$-TCP makes it a bone graft substitute of choice in many clinical applications. The activation of osteoclasts, differentiated from macrophage precursor cells, trigger a cell-mediated resorption mechanism that renders $\beta$-TCP biodegradable. Based on this evidence, we studied the biodegradation process of granular-type $\beta$-TCP bone graft substitute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Raw 264.7 cells treated with RANKL and M-CSF differentiated into osteoclasts with macrophage-like properties, as observed with TRAP stain. These osteoclasts were cultured with $\beta$-TCP nano powders synthesized by microwave-assisted process. We confirmed the phagocytosis of osteoclasts by observing $\beta$-TCP particles in their phagosomes via electron microscopy. No damage to the osteoclasts during phagocytosis was observed, nor did the $\beta$-TCP powders show any sign of cytotoxicity. We also observed the histological changes in subcutaneous tissues of rats implanted with granule-type $\beta$-TCP synthesized by fibrous monolithic process. The $\beta$-TCP bone graft substitute was well surrounded with fibrous tissue, and 4 months after implantation, 60% of its mass had been biodegraded. Also, histological findings via H&E stain showed a higher level of infiltration of lymphocytes as well as macrophages around the granule-type $\beta$-TCP. From the results, we have concluded that macroph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iodegradation process of $\beta$-TCP bone graft substitutes.

가시여지잎(Annona muricata L.) 에탄올 추출물과 조다당 분획분의 면역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 김이은;이정희;성낙윤;안동현;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53-458
    • /
    • 2017
  • 본 연구는 가시여지 잎 에탄올 추출물(ALE) 및 조다당 추출물(ALP)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 ALE 및 ALP를 처리하여 세포 증식률, 산화질소 분비능, 사이토카인(종양괴사인자, IL-6, $IL-1{\beta}$) 분비능 및 기전 분석을 통한 신호전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ALE 및 ALP를 큰포식세포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에 관하여 비교하였을 때, 큰포식세포 면역활성의 바이오-마커인 산화질소, 사이토카인의 분비능 및 iNOS의 세포내 발현이 AL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기전분석결과, ALP의 처리는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핵내 이동성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의 높은 면역활성은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감섭영전(加減攝營煎)의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및 Clindamycin과의 병용효과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s of Gagam-seopyoungjeon Aqueous Extracts and Their Combination Effects with Clindamycin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 오자영;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5-80
    • /
    • 2014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s of Gagam-seopyoungjeon aqueous extracts (GGSYJ)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nd the possible synergic combination effects with clindamycin. Methods: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of GGSYJ were detected using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and the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curve were also monitored at MIC and MIC${\times}$2 levels. The combination effects of GGSYJ with clindamycin were observed by checkboard microtiter assay, and the effects of bacterial growth curve treated with GGSYJ MIC+clindamycin MIC, 1/2 MIC and 1/4 MIC, respectively. The effects on the bacterial invasion and intracellular killing of GGSYJ were also observed using human vaginal epithelial (VK2) and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s with combination effects with clindamycin after treatment of GGSYJ MIC+clindamycin 1/2 MIC, 1/4 MIC and 1/6 MIC, respectively. Results: The MIC of clindamycin and GGSYJ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were detected as $0.012{\pm}0.006$ (0.004~0.016)${\mu}g/ml$ and $1.016{\pm}0.524$ (0.391~1.563) mg/ml, respectively. Clindamycin and GGSYJ were also showed marked dosage-dependent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and significant decreases of viable cells were detected in clindamycin MIC+GGSYJ MIC and clindamycin 1/2 MIC+GGSYJ MIC treatment as compared with each of single clindamycin MIC and GGSYJ MIC treatments. And significant decreases of intraepithelial and intra-macrophage viable bacteria numbers were detected in clindamycin 1/2 MIC+GGSYJ 1/2 MIC and clindamycin 1/4 MIC+GGSYJ 1/2 MIC treatment as compared with each of single clindamycin GGSYJ 1/2 MIC treatm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GGSYJ showed slight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but they showed dosag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and VK2 epithelial invasions of bacteria with favorable accelerating effects of intracellular killing activities of macrophages. In addition, combination of GGSYJ also increa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lindamycin on the epithelial invasions of Gardnerella vaginalis and intracellular killing activities of macrophage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s 2-fold higher as compared with clindamycin single treatment, respectively. Therefore, we expected that the clinical dosages of clindamycin can be reduced as 1/2 levels as combination with GGSYJ.

패션 프룻 추출물이 피부에 미치는 새로운 기능적 효과 (New Functional Properties of Passion Fruit Extract on Skin)

  • 정미숙;김순래;한창우;김현진;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7
    • /
    • 2022
  • 본 연구는 패션 프룻(passion Fruit) 열매의 과육과 씨 추출물의 항염증,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의 기능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패션 프룻 열매의 추출물은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 자극 인체적용시험 결과 피부 자극 지수는 0.00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염증매개물질 LPS (Lipopolysaccharides)를 처리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NO를 유발하고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과 반응시켰을 때 LPS만 처리한 그룹의 NO 발생량 보다 현저히 낮은 NO 발생량을 보임으로써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험을 통해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이 5.11%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면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부의 콜라겐 I 형의 합성은 노화와 다양한 피부 질병의 척도인데 인간의 프로콜라겐 I 알파 1 활성도 분석을 통하여 패션 프룻은 프로콜라겐의 합성을 약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 억제 시험을 통하여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는데 대조군으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미백 기능성 성분인 알부틴(arbutin)을 2% 이상 배합한 시료는 월귤나무에서 얻은 히드로 퀴논을 반응시켜 얻은 유기화합물로 일반적으로 백색 분말의 형태로 존재하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효능 효과가 있어 미백 개선의 기능성 성분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연에서 얻은 패션 프룻 열매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효능 확인은 화장품 및 식품의 기능성 원료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in Pepper (Capsicum annuum L.) Breeding Lines)

  • 정미리;황영;김혜영;조명철;황인국;유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2-6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0여종의 육성계통 고추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 및 활성 평가를 함으로써 우수 고추 품종 개발을 위한 database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capsaicinoid의 함량은 0.1에서 204.2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279.1에서 1695.5 mg/100 g으로 넓은 분포 범위를 보였다. Polyphenol 함량은 2.6에서 10.2 mg/g 수준으로, flavonoid 함량은 1.4에서 5.7 mg/g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육성계통 고추 breeding line No. 2500은 다른 계통에 비해 가장 높은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 및 환원력이 다른 육성계통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암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01이 암세포 증식 저해율 84.5%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항염증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32가 75.2%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우수 품종 개량을 위한 성분 및 활성 database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세조류 유래 astaxanthin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 of Astaxanthin Derived from Microalgae)

  • 곽태원;차지영;이철원;김영민;유병홍;김성구;김종명;박성하;안원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377-1384
    • /
    • 2011
  • Astaxanthin (ATX)은 다양한 생명체에서 생성되는 카로티노이드 색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TX가 RAW264.7 cell에서 LPS에 의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nitric oxide (NO), 염증성 사이토카인,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와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 시키는 지 또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이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iNOS와 NF-${\kappa}B$는 immunoblot analysis로, interleukin (IL)-6와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는 ELISA 법으로 분석하였다. NO 양은 nitrite의 양을 측정하였고, ROS는 2',7'-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DCFH-DA) 법으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로 검증하였다. 100 ${\mu}M$의 ATX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NO, IL-6 및 TNF-${\alpha}$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뿐만 아니라 iNOS 및 NF-${\kappa}B$의 발현도 억제되었다. 특히, IL-6 및 TNF-${\alpha}$ 생성에 있어 ATX의 최대 억제율은 각각 65.2% 및 21.2% 이었으며 LPS로 유도된 NF-${\kappa}B$의 전사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세포질에서 핵으로 NF-${\kappa}B$의 전위를 억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25-100 ${\mu}M$의 ATX 농도에서 세포 내 ROS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5 mg/ml 농도의 ATX는 동일농도의 ${\alpha}$-tocopherol에 비해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이 1.33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ATX가 대식세포에서 ROS 생성 및 NF-${\kappa}B$ 활성을 저해하므로 iNOS의 발현,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며, 또한 우수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을 보유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TX가 항염증제 및 항산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야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음료개발 및 생리활성 연구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SanYa) from Fermented Medic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 조은경;송효주;조혜은;최인순;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2-89
    • /
    • 2010
  •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산야 발효액에 대한 보고가 미비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야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산야 발효액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면역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산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산야 발효액의 항산화력은 94.3%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BHA와 비교 했을 때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산야의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산야 발효액의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4.646 mg/g으로 높았으며, 이는 높은 항산화능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야 발효액과 면역활성과의 연관성은 NO 합성률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합성 저해률 분석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산야 발효액은 무려 11배의 높은 NO 합성율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된 NO 합성 저해율은 56%로 나타나 산야의 높은 면역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혈전분해능에 대한 산야 발효액의 분석 결과는 혈전용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고 있다. SOD 유사활성은 42.2%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75.6%로 높게 나타났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73.5%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산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력,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적산의 추출 용매 차이에 따른 염증 및 염증 관련 질환에 대한 효능 비교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Ojeok-san on inflammation and its related diseases)

  • 유새롬;정수진;김예지;임혜선;진성은;전우영;신인식;신나라;김성실;김정훈;하혜경;이미영;김온순;서창섭;신현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8-428
    • /
    • 2012
  • Objectives : Ojeok-san, a traditional herbal formul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ld illness and its related symptoms such as headache, nausea and indiges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effects of water (OJSW) and 70% ethanol extracts (OJSE) of Ojeok-san on inflammation and its related diseases atopy, asthma and obesity in vitro. Methods : We performed HPLC to investigate contents of index components of OJSW and OJ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JSW and OJSE with an in vitro model, using 5 cell lines, specifically RAW 264. 7, HaCaT, MC/9, BEAS-2B and 3T3-L1. Results : HPLC analysis displayed that the contents of index components were higher in OJSE than OJSW.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OJSE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s of interleukin (IL)-6, nitrite and prostaglandin $E_2$ ($PEG_2$). In TNF-${\alpha}$/IFN-${\gamma}$-treated HaCaT keratinocytes, OJSE significantly lowered levels of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 as well as regulated and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OJSE also had a protective effect on inflammatory response by decreasing RANTES secretion in TNF-${\alpha}$-stimulated BEAS-2B cells. Conclusions : We conclude that OJSE could be more appropriate to enhance the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inflammation and its related diseases, and could be applied as a bioactive material for developing the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