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0.5

검색결과 2,196건 처리시간 0.032초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DAF 공정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solved air flotation (DAF) process control using decision algorithm)

  • 정우식;안주석;박지영;오현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09-414
    • /
    • 2017
  •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process operation scenarios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raw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We will select and operate the process operation scenario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water. The number of algae in the DAF treated water has been analyzed to be less than 100 cells/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AF process is effective in removing the algae. In addition, the scenario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decision algorithm of the DAF process was developed. DAF pilot plants ($500m^3/day$) process has shown a constantly sound performance for the treatment of raw water, yielding a significantly low level of turbidity (DAF treated water, 0.21~1.56 NTU).

DICOM 영상에 의한 STL 파일 구조가 보청기 이어 쉘 제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ereoLithography File Structure on the Ear Shell Production for Hearing Aids According to DICOM Images)

  • 김형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121-126
    • /
    • 2017
  •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영상과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보청기 이어 쉘 제작기술을 연구하였다. 이는 기존에 없는 새로운 적용방법이며 보청기 수요자의 안전, 감염, 제작시간, 진행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적용기술이다. 연구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영상으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파일을 만들기 위한 0.5 mm, 1.0 mm, 2.0 mm의 볼륨으로 획득한 값을 3차원 프린터로 출력 전과 후의 과정에서 형상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출력 전에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파일구조에 대해 상대적 관계를 비교하였고, 출력 후에는 이어 쉘 형상표면의 적층구조 간격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비교하였다. 스테레오리소그래피 파일구조 분석에서 0.5 mm, 1.0 mm, 2.0 mm의 순으로 삼각형 꼭지점, 5개 이상의 교차점, 최대 교차점의 개수가 많았으며 외이도 형상 자체의 굴곡도에 따라 Bending, Angle, Crest 영역 순으로 삼각형 구조가 조밀하게 분포하였다. 디지털 현미경에 의한 이어 쉘 형상표면은 2.0 mm, 1.0 mm, 0.5 mm 순으로 적층구조 간격이 두껍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리소그래피 표면구조는 3차원 이어 쉘 형상의 굴곡도가 불규칙하고 스테레오리소그래피 파일을 만들기 위한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데이터의 볼륨 값이 작을수록 교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삼각형 구조는 조밀함을 알 수 있었다.

생사비균일섬도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f Raw Silk Size Nonuniformity.)

  • 최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65-74
    • /
    • 1967
  • 본 연구는 생사의 비균일성 섬도발생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견사형성에 관련되는 잠체기관의 해부학적 조사를 하였고 나아가서 그 비균일성을 개선하는 방안을 연구한 것이며 다음의 결과를 보았다. 1. 잠아의 토사관구조자체가 견사형성에 있어서 견사단면형태를 결정할뿐 아니라 견사선내의 견물질이 토사진행과 더불어 감소될 때 압출근육의 작용으로 섬도가 점차 가늘어져서 비균일성의 소인이 된다. 2. 우리나라 고치는 품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견사종합섬도편차가 평균 0.58d로서 생사로 될 때 부득이 비균일성의 소인이 되고 있다. 3. 견사섬도가 생사목적섬도에 적합하지 못할때 더욱 비균일성이 악화된다. 4. 제사과정에서 작업부주의가 생사섬도의 비균일성에 크게 미치고 있으며 어느 조사법이 든간에 30% 이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5. 생사섬도 비균일성을 개선하는 데는 짐품종 선정을 심중히 하여 적절한 견사섬도를 택하여야 한다. 6. 정섬도조사법은 정립조사법에 비하여 섬도비균일성을 개선하게 되며 최소한 20% 향상을 기할 수 있다. 7. 다조조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섬도감지기를 고안하여 시험조사한 결과 일반조사법에서 21 중사의 섬도편차가 1.57d인데 반하여 시험구는 1.30d이였으며 등급상으로 2격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2. 함질소엑스성분 및 무기성분의 비교- (Comparision of Food Components in the Raw, Cooked Meat and Cooked Meat Extracts of Cookie Shell -2. Nitrogenous compounds and minerals-)

  • 김귀식;하봉석;배태진;진주현;김현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9
    • /
    • 1993
  • 최근 생산량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연간생산량 중 거의 절반이 남해안의 전남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새조개의 맛에 기여하는 맛성분을 구명하기 위하여 여수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새조개를 시료로 하여 생육과 자숙육, 그리고 자숙액즙의 함질소엑스화합물 및 무기성분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생육과 자숙육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rginine, lysine, leucine 및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자숙액즙에는 glutamic acid의 용출율이 가장 높아 $21.7\%$였고 cystine의 용출율이 가장 낮아 $7.3\%$였다.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 유리아미노산 조성중 필수아미노산은 lysine, arginine 및 leuc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methionine, histidine 및 tryptophane의 함유율이 낮았다 그리고 비필수 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및 alan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proline, tyrosine, serine 및 cysteine의 함유율이 낮았다. 핵산관련물질은 생육과 자숙육 모두 ATP,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숙액즙에는 미량의 ATP, ADP, AMP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자숙함에 따라 ATP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약간 증가하였다. TMA 함량은 생육에 $0.3mg\%$이었던 것이 자숙시 $0.8mg\%$로서 다소 증가하였고 TMAO 함량은 생육에 $5.2mg\%$이었던 것이 자숙시 $4.5mg\%$로 다소 감소하였다. betaine함량은 매우 적었다. 무기성분중 P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K, Ca 및 Zn의 순이었고 Fe, Zn의 함량은 다른 패류에 비해 높았다. 자숙액즙에는 P, Zn 및 Na의 용출율이 높아 각각 $15\%,\;12.2\%$$11.9\%$였다.

  • PDF

단기 숙성 생햄의 저온 및 실온저장 과정 중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Cured and Short-Ripened Raw Hams During Storage at 10 and 25°C)

  • 이근택;이연규;이정표;이정우;손세광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21
    • /
    • 2007
  • 20개의 돼지 등심육을 각각 1주일씩 건염과 습염을 한 다음 2주일간 숙성하여 생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10과 $25^{\circ}C$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및 관능학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생햄의 10과 $25^{\circ}C$에서 저장 중 식염 함량은 모두 약 5.1%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등 일반성분의 함량에 있어서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시료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BA와 VBN값은 저장기간 중 계속 증가함으로써 지방과 단백질의 분해가 진공포장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pH, 수분활성도, 물성, TBA와 VBN값, 그리고 관능학적 품질 변화는 $10^{\circ}C$에서보다 $25^{\circ}C$에 저장된 시료에서 더 크게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이 연장될수록 경도, 부서짐성, 탄성, 응집성, 검성 및 점착성 등과 같은 조직감에서의 유의적인 품질 저하가 관찰되었다(p<0.05). 색은 10과 $25^{\circ}C$ 시료 간, 그리고 저장구간별 큰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따른 생햄의 저장수명은 10과 $25^{\circ}C$에서 각각 75와 45일로 추정되었다.

RAW 264.7 Cell에서 납에 의한 NO 생성의 조절에 미치는 Glutathione의 효과 (Effect of Glutathione on Lead Induced Modulation of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

  • 오경재;권근상;윤욱희;신새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69-274
    • /
    • 2002
  •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Abelson leukemia virus (A-MuLV)를 주입하여 발생시킨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의 배양조건에 납과 NAC및 BSO를 첨가하여 세포생존율과 NO 및 ATP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납을 처리한 기본배양조건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은 각 농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의 생성량은 $0.5{\mu}M$의 납농도에서부터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TP의 생성량은 각 농도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NAC을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 및 ATP의 생성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BSO를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의 생성량은 납만 처리했을 때와 달리 각각의 농도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ATP생성량은 역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TP의 생성량은 변화가 없으면서 NO가 감소하는 것을 볼 때, 납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의 억제기전은 수은 및 카드뮴 등과 같이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쳐 ATP생성이 억제됨으로 L-arginine-NO경로에서 ATP를 필요로 하는 iNOS가 작용을 못하여 NO 생성이 저하되는 기전과는 다른 기전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iNOS의 조효소인 세포내 GSH를 증가시키는 NAC을 전처리했을 때 NO의 생성량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고 세포내 GSH를 감소시키는 BSO를 전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NO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납의 농도에서조차 NO 생성의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볼 때 GSH는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을 저하시키는 납의 독성에 보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Lipopolysaccharide로 활성화된 RAW264.7세포에서 염증반응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Epigallocatechin gallate의 억제효능연구 (Suppressive Effec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Pretreatment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RAW264.7 Cells Activated by Lipopolysaccharide)

  • 서은지;고준;김지은;고은경;송성화;성지은;박찬규;이현아;김동섭;손홍주;이충열;이희섭;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961-969
    • /
    • 2015
  •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녹차(Camellia sinensis, green tea)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카테킨(Catechin)으로, 당뇨(diabetes),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s), 암(cancer),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비만(obesity) 등의 다양한 임상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왔다. 본 연구에서는 EGCG가 LPS (Lipopolysaccaride)로 자극된 RAW264.7 세포의 염증억제과정에서 Nitric oxide (NO)관련인자와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NO농도, inducible NO synthase (iNOS) 발현량, TNF-α, IL-1β, IL-6, IL-10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먼저, EGCG (100-400 μM)를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특이적인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Raw264.7 세포에 4가지 다른 농도(0.1, 0.5, 1.0, 5.0 μg/ml)의 LPS를 처리한 후 MTT분석, NO농도분석, IL-6농도분석을 실시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최적 LPS 농도를 1 μg/ml로 설정하였다. NO농도를 분석한 결과, LPS를 처리한 그룹이 No그룹에 비하여 급속히 증가하여 63 μmol/l까지 증가하였으나 400 μM EGCG를 처리한 그룹에서만 68.2% 정도 감소하였으며, 동시에 iNOS 발현 양상은 200, 400 μM EGCG/LPS 처리 그룹에서 각각 12.3%, 17.4% 감소하였다. 또한, 감소비율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IL-1β, TNF-α)과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IL-10)의 발현은 EGCG/LPS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IL-6단백질과 mRNA 농도는 Vehicle/LPS 처리 그룹과 EGCG/LPS 처리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EGCG가 LPS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세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냄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사이토카인들이 서로 다르게 특이적 반응을 중계함을 제시하고 있다.

고추장 숙성 전복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lone Meat Aged in Kochujang)

  • 고소미;김해섭;조영철;강성국;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73-779
    • /
    • 2009
  • 전복의 대량 양산 체제에서 전복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복 가공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의 형태로 전처리하고 얇게 슬라이스를 한 후 이를 고추장과 함께(1:3 w/w) 섞어 제조한 후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각각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을 첨가한 고추장을 1일 숙성 후, 고추장에서만의 수분(43%)은 각각 57.9%, 53.7%, 50.8%로 증가하였고, 2주후에는 모든 제품에서 수분함량이 약 $53{\sim}54%$에 도달하였다. 고추장의 색도는 밝기에 해당하는 L-값과 적색도인 a-값, 황색도인 b-값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추장 숙성전복제품의 초기일반미생물은 고추장에서 각각 5.74, 5.70, 5.83 log CFU/g로 검출되었고, 숙성 28일후에는 0.28, 0.30, 0.11 log CFU/g 정도만 증가하였다. 고추장 숙성 증숙전복에서 전복육의 산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의 저하와 함께 14일째는 5.40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원료인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육의 초기 휘발성염기질소는 각각 약 1.4mg%, 0.9 mg%, 2.7 mg%로 나타났으나, 고추장전복을 제조하여 숙성 1일 후에 전복에서는 각각 14.0 mg%, 13.8 mg%, 11.6 mg% 나타났다. 숙성 8일 후 전복육의 휘발성염기질소는 각각 15.5 mg%, 13.3 mg%, 11.3 mg%로 보통 선도의 어육에 해당되는 값을 나타내었고, 증숙전복육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고추장전복을 제조할 때 전처리 가공방법은 증숙전복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아 생식을 이용한 비만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Improve Obesity with Sprout Raw Grains and Vegetables)

  • 서정숙;방병호;여인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60
    • /
    • 2001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자직원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사람 11명과 체질량지수 25이상인 7명을 선정하여 4주간의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 인체 계측과 혈당, 혈청 지방질 변화를 보기 위해 triglycerides,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주간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 비비만군의 평균체중은 54.2kg에서 51.7kg으로 (P<0.001) 비만군은 평균체중 69.1kg에서 65.6kg으로 (P<0.001) 모두 유의적 감소율을 보였다. 2. 피하지방 두께 변화는 삼두박근의 경우 비비만군에서 21.6mm에서 19.95mm로, 비만군에서도 35.4 mm에서 32.1mm로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0.01, P<0.05) 또한 신체둘레에 있어서는 허리둘레가 비비만군이 69.7cm에서 66.8 cm로 현저히 감소하였고(P<0.0001)비비만군도 84.2cm에서 80cm로 감소하여 유의성을 보여 (P< 0.017), 발아생식은 복부비만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3. 비만군, 비비만군 모두 혈당,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의 감소를 가져왔고, HDL-cholesterol은 비비만군에서 3.3%, 비만군에서 5.8%의 상승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4주간 발아생식을 섭취한 후에 체중과 피하지방 두께의 감소, 혈당 및 혈청지방질 성분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발아생식 제품은 고른 영양소를 함유하여 일상생활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체중감량과 혈액 조성이 이상적으로 유도되어 감을 보여주는 다이어트식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만으로 동반될 수 있는 당뇨병이나 동맥경화, 심장병, 고혈압, 통풍 등 혈액질환이나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적인 부작용까지도 극복하고 개선될 수 있는 새로운 비만개선 식이로써 좀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식품의 개발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특히 발아생식을 실시했을 때 복부 비만자에게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Freeze-Dried Pork Powder for Meat Emulsion Gel

  • Lee, Seonmin;Choi, Yun-Sang;Jo, Kyung;Jeong, Hyun Gyung;Yong, Hae In;Kim, Tae-Kyung;Jung, Samooe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997-1011
    • /
    • 2021
  •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freeze-dried pork powder as raw meat for comminuted meat produ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reeze-thawed pork. The tertiary structural properties, oxidation, and solubility of proteins in the freeze-dried pork powder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roperties of the emulsion gels manufactured with freeze-dried pork powder (GFD) and freeze-thawed pork (GFT) at 1.5% and 2.0% NaCl were evaluat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and intrinsic tryptophan fluorescence intensity of myofibrillar proteins between the freeze-dried pork powder and freeze-thawed pork were similar. However, freeze-dried pork powder had higher carbonyl compounds and lower solubility of sarcoplasmic and myofibrillar proteins than freeze-thawed pork (p<0.05). GFD had higher cooking loss than GFT in 2.0% NaCl, and lower hardness and a* value of GFD were observed regardless of NaCl level (p<0.05). Moreover, GFD had higher malondialdehyde content than GFT at the two NaCl concentrations (p<0.05). Therefore, our study demonstrated that freeze-dried pork powder has lower functional properties than freeze-thawed pork as raw meat for comminuted mea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