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e of Adding Water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5초

PdO 나노입자를 이용한 니트라민 폭발물 분해반응에 대한 1H NMR 반응속도연구 (1H NMR Kinetic Studies for Degradation of Nitramine Explosives Using PdO Nanoparticle)

  • 계영식;;김동욱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302-308
    • /
    • 2022
  • 사격장 피탄지에 잔류되는 고폭화약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면적이 큰 나노입자를 사용한 분해반응을 연구하였다. 수질오염을 가상하여 물에 용해시킨 research department explosive (RDX)와 high melting explosive(HMX) 니트라민 폭발물에 PdO를 첨가하여 313 K에서 분해반응시켰다. 폭발물의 분해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반응 초기부터 종료시까지 시료 손실없이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스펙트럼을 통하여 반응의 진행 정도를 관찰 가능한 1H NMR을 사용하였다. NMR 피크의 chemical shift 및 peak intensity 분석으로 유사 1차 분해반응이 일어남을 확인하였으며, 측정된 RDX와 HMX의 분해반응 속도상수는 각각 2.10 × 10-2과 6.35 × 10-4 h-1이었다. 본 연구로부터 산화금속 PdO 나노입자는 니트라민 폭발물 분해반응연구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보리 유묘기의 염처리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 of Winter Barley to Salt Stress at Seedling Stage)

  • 최원열;권용웅;박종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4-538
    • /
    • 1997
  • 보리 품종들의 염해반응의 생리적 특성과 품종간 차이를 이해하여 간척지에서의 재배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NaCl용액으로 염해를 유발하여 생장저해정도, 엽록소 및 유리 proline 함량, 그리고 엽수분 potential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품종간 생육저해 정도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는데 대조구에 비해 NaCl용액(Ψ/sub π/ =-20bar) 처리의 경우 초장은 2∼22%, 유묘건물중은 25∼39%가 감소되었다. 2. 엽록소함량은 대조구에 대하여 염분처리구에서 33∼49% 감소되었고 엽건물 g당 유리 proline 함량은 대조구가 0.2∼0.3mg이나 염분처리 구는 9.6∼14.7mg으로 32∼74%나 증가되었다. 3. 엽수분 potential은 대조구가 -3.0 ∼ -4.1bar이나 염분처리구에서는 -7.4 ∼ -11.2bar와 -15.0 ∼ -17.9bar로 낮아졌으나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많지는 않았다. 4. 품종별로 엽생존율은 백동>밀양1002>올보리>두루보리>향맥의 순으로 높았으나 유묘 건물중 감소율은 백동>올보리>향맥>밀양1002>두루보리 순이었다. 5. 염처리구에서 제2엽의 유리 proline 증가율은 밀양1002>향맥>백동>두루보리>올보리의 순이 었다.

  • PDF

황기를 첨가한 발효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lcoholic Beverage with Astragali Radix Added)

  • 최지호;박지혜;김소라;이충환;박신영;김택중;정석태;최한석;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51
    • /
    • 2012
  • 황기뿌리 분쇄물을 전분질 원료대비 0.5~2.0% 첨가한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DPPH free radical 소거능, 폴리페놀 함량, 기호도평가를 실시하였다. 술덧 발효 초기의 pH는 3.9~4.1 였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시작 6일차까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발효 종료 시점에서 4.67 까지 상승하였다. 총산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한 후 2차담금시 전분질 원료와 물의 첨가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소폭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술덧 발효 중 황기 첨가량 및 첨가시기에 따른 pH 변화와 총산함량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아미노산도는 황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알코올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황기 첨가에 따른 처리구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색도에 있어서, L값은 첨가량과 첨가 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a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 있어서 황기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는 53.6%의 활성을 보였으며, 황기 첨가시 0.52~6.9%의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폴리페놀류는 대조구에서 1.05 mg/mL 함량을 보였으며, 미미하지만 황기 첨가시 폴리페놀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황기 무첨가구에서 비교적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으며($5.0{\pm}1.0$), 0.5% B 처리구 또한 좋은 반응을 얻었다($4.5{\pm}1.3$).

Effect of Different Rates of Ethanol Additive on Fermentation Quality of Napiergrass (Pennisetum purpureum)

  • Zhang, Lei;Yu, C.Q.;Shimojo, M.;Shao,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5호
    • /
    • pp.636-642
    • /
    • 2011
  • The effect of different rates of ethanol additive on fermentation quality of napiergrass (Pennisetum purpureum) and residual water soluble carbohydrate were studied in the experiment. The addition rate of ethanol was 0%, 1.5%, 2.5%, 3.5%, 4.5% on fresh weight of napiergrass. The laboratory silos were kept in the room, then were opened on 1, 3, 5, 7, 14, 30 days after ensiling and the changes of silage quality were analyzed, respectively. There was a fast and large reduction in pH from the 5th day of ensiling to below 4.2 except for the 4.5% treatment. After five days the pH of silage decreased slowly and the pH of the ethanol additions was lower than the control. Lactic acid content of ethanol treatment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from the 5th day of ensiling, reaching the highest value on either the 7th day or 14th day. The ethanol additive inhibited the break down of silage protein and the ammonia nitrogen content of ethanol addition silag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control after 30 days of ensiling. Within the initial first day of ensiling the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declined quickly. The efficiency of water soluble carbohydrate usage was higher in silage with ethanol than in the control. The acetic acid of ethano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control on first and 14th da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among the ethanol addition silages. The volatile fatty acids content of silage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first day of ensiling and reached the peak on 14th day or 30th day and the content of ethanol addition treatment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control.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adding ethanol inhibited the use of protein and water soluble carbohydrate of aerobic bacteria and reduced the silage losses during the early stage of ensiling and thus supplied more fermentation substrate for lactic acid bacteria and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of napiergrass.

상수원수의 유기물 특성에 따른 염소처리시 THMs 및 HAAs의 생성특성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Ms and HAAs in Chlorination of Raw Water of Different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 오순미;김승현;이민규;허미란;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8호
    • /
    • pp.785-797
    • /
    • 2006
  •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s (THMs) and haloacetic acids (HAAs) were investigated in chlorination of raw water of different organic mallet characteristic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hydrophobic (N-HPO) and hydrophilic fraction (N-HPI) (which were concentrated and separated from Nakdong river water), and humic acid (HA) (which is known as a strong hydrophobic acid) as a reference organic matter, the specific UV absorbance (SUVA) of which was 2.19, 1.15 and 7.92,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chlorine contact time, THMFP and HAAFP (the formation potential of THMs and HAAs) increased, but their increas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ganic mallet characteristics (i.e., for N-HPI, THMFP was higher than HAAFP, but the inverse result was obtained for N-HPO and HA and the ratio between them was greater for HA), and the mainly formed chemical species were CHCI$_3$ in case of THMs and dichloroacetic acid (DCAA) and trichloroacetic acid (TCAA) in case of HAAs for N-HPO and HA (and the ratios of CHCI$_3$ to total THMs and DCAA and TCAA to total HAAs for HA were higher than those for N-HPO), but for N-HPI, the ratio of brominated THM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CHCI$_3$ and the ratio of DCAA and TCAA to total HAAs was lower than that of N-HPO, although they are main chemical species in case of HAAs. Comparing THMFP and HAAFP with the increase in bromide concentration added with those in not adding it, the former increased greatly and its increase was higher for the organic mallet with stronger hydrophobicity, but the latter was lower for N-HPO and N-HPI and was similar for HA. The main chemical species with increasing bromide concentration were CHBt$_3$ in case of THMs regardless of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and dibromoacetic acid (DBAA) for N-HPO and N-HPI, DBAA and tribromoacetic acid (TBAA) for HA in case of HAAs. With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and pH, THMFP and HAAFP increased for the former, but for the latter, THMFP increased and HAAFP decreased, although the rate of increase or decrease was different with organic mallet characteristics.

수처리 티탄염 응집 슬러지에서 생산한 산화티탄의 제조와 특성 조사 (Prepar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Titanium Dioxide Produced from Ti-salt Flocculated Sludge in Water Treatment)

  • 손호경;;;박준;조동련;김종범;박희주;김종호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41-250
    • /
    • 2009
  • 지난 수 년간 본 연구팀은 새로운 티탄염 응집제를 이용하여 폐수를 응집한 후 생산된 슬러지에서 산화티탄을 생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티탄염의 응집 효율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철염과 알루미늄염 응집제와 비슷하였으며 슬러지를 소성하여 제조한 산화티탄은 상용 산화티탄보다 더 넓은 표면적과 높은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티탄의 광촉매 활성 향상과 pH를 높이기 위해 응집보조제로서 철, 알루미늄, 칼슘을 사용하여 광촉매 활성이 높은 Fe, Al, Ca 도핑 산화티탄을 제조하였다. 이 기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색폐수 파일럿 장치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유기물 제거 능력과 빠른 응집체 형성이 확인되었다. 염색폐수 슬러지에서 제조한 산화티탄은 높은 유기물 제거 광촉매 활성과 물 광분해에 의해 수소를 생성하였다. 티탄염 응집제와 슬러지에서 제조한 산화티탄의 독성을 D. magna로 조사한 결과, 낮은 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총설은 미래의 슬러지 재활용 기술로 높은 적용 가능성을 가지는 티탄염으로 제조한 산화티탄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스팀 고속건조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Feedstuff of Food Garbage by the Rapid Steam Drying)

  • 김남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2호
    • /
    • pp.69-78
    • /
    • 1995
  • 함수율이 77.8~82.8%되는 종합병원의 음식물쓰레기만을 스팀건조공법에 의해 4시간동안 건조시켰을때 1.3%의 함수율로 80%의 감량을 보였으며, 소비전력은 2.4kw였다. 건조물은 갈색의 페렛트 상태로서, 조단백질은 27.77%, 조섬유는 3.19%고, 양돈용 사료로서의 조지방과 조회분함량은 약간 부족했으나 보조사료로서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5%비율로 분쇄왕겨를 혼합해서 건조시켰을때 1시간이 단축되었고, 76%의 감량율에 전력소모도 약 42% 정도 절약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약 2배 정도 증가되었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에 분쇄왕겨를 3.4% 비율로 혼합해서 건조시키고, 그 건조물에 새로운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해서 연속적으로 건조기를 운전했을때 감량율은 점점 적어졌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증가되는 반면에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점점 감소되었다. 한편, 부페식 음식쓰레기는 건조시간도 빠르면서 전력소비도 적었고, 사료화 성분에서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양돈용 배합사료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 PDF

표고버섯 물 추출물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Lentinus edodes Water Extract)

  • 정경임;최영주;오정환;이정임;박소영;김혜란;전병진;김동민;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55-9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물 추출물 0%, 1%, 3%, 5% 및 7%를 첨가한 쿠키의 항산화활성과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손실률은 표고버섯 물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p<0.05), pH는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p<0.05), 퍼짐성과 팽창률 및 수분 함량은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쿠키의 L값과 b값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a값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쿠키의 기계적 특성 평가에서 경도는 7%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씹힘성과 파쇄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표고버섯 물 추출물을 첨가한 쿠키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쿠키의 관능적 특성 평가에서 외관과 색 및 맛은 무첨가군, 향과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1%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고버섯 물 추출물 1~3%를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는 관능적인 기호도와 항산화활성을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소금종류별에 따른 첨가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Salt on the Quality of Wet Noodles)

  • 이정미;김소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76-1780
    • /
    • 2011
  •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생면을 제조하여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 pH,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은 소금을 첨가(2%)한 것이 소금을 첨가하지 않은 조리면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탁도는 죽염, 구운소금, 제간수 천일염이 각각 0.484, 0.489, 0.489로 정제염 조리면이 0.508로 나타난 것과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소금의 종류 별 소금물과 조리 전 생면, 조리국물의 pH를 측정한 결과는 소금물의 pH가 알칼리에 가까웠던 죽염, 구운소금, 천일염이 조리 전 생면과 조리국물의 pH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생면을 제조하여 조리 후 rheometer에 의한 기계적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소금을 첨가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은 증가시켰으며, 소금 종류별 조직감에서는 특히, 죽염, 구운소금, 천일염이 탄력성과 응집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면의 관능검사결과는 외관, 향,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죽염이 조리 후 면의 외관, 냄새,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 결과, 생면의 제조 시 소금의 첨가는 생면의 품질 및 관능을 우수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소금 종류에서는 죽염($1{\times}$)이 중량, 수분흡수율, 조직감, 관능평가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화학합성배지 및 곡물을 이용한 Phellinus igniarius의 균사체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 for the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igniarius on Chemically Defined Medium and Grains)

  • 정인창;김선희;권용일;김소연;이종숙;박신;박경숙;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33-142
    • /
    • 1997
  • Phellinus igniarius의 화학합성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의 최적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곡물에서 담자균사체를 배양하는 고체재료 발효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기능성식품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ellinus igniarius의 최적 영양배지로는 malt extract 7.0%, bacto soytone 0.3%, yeast extract 0.2%의 조합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버섯 영양배지에 공통으로 첨가되는 무기염류$(KH_2PO_4,\;0.046%,\;K_2HPO_4\;0.1%,\;MgSO_4{\cdot}7H_2O\;0.05%)$의 첨가는 균사생장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장의 최적 배양온도는 $28^{\circ}C$였으며, 균사생장 최적 pH는 7.0으로 나타났다. 담자균사체의 대량배양 조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냉침에 의해 최대수화에 도달한 곡물을 배양용기에 담고, 액체배양 후 균질화한 담자균사체를 곡물에 접종함으로써 접종초기 짧은 시간에 균사가 완전히 활착 되도록 할 수 있었다. 또한 균사 배양중기에 멸균 증류수를 첨가함으로써 균사의 활력을 유지시킬 수 있었다. Phellinus igniarius가 배양된 곡물에서 균사체량을 나타내는 glucosamine의 함량은 율무>보리>흑태>밀>메주콩>현미>수수>찹쌀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