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retrac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제II급 치조 전돌 환자에서 설측 견인 장치를 이용한 급속 견치 견인술 (Rapid canine retraction in a Class II bialveolar protrusion case using a lingually extended distraction screw)

  • 안광석;주억;박주영;유영규;차인호;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8-320
    • /
    • 2006
  • 견인골 신장술의 개념을 치주인대 조직에 적용한 Liou의 급속 치아 이동 술식은 이동할 견치의 원심부 골 삭제에 의한 치조골 저항의 최소화 및 근심부의 치주조직 견인에 의한 골 형성으로 요약된다. 이는 주로 제1소구치 발치 후 견치의 견인을 요하는 환자들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견인 중 견치의 경사 및 정출 등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견인이 완료될 때까지 치체이동을 유도하며 경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이러한 급속견인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측으로 연장된 견인스크류를 순측의 견고한 안내선과 병행 적용하였다. 발치 직후 미리 제작된 견치 치근 모델을 적용하여 발치와의 깊이를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미니스크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고정원을 보강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골격성 II급 관계 및 전치 돌출을 보이는 성인 여환에서 효과적인 견치 및 전치부 견인을 통해 치료기간을 13개월로 단축할 수 있었다. 우려했던 치수의 실활 혹은 치주조직의 병소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치료 후 10개월 유지 시에도 양호한 교합관계 및 치주조직의 건강상태를 보였다. 본 증례에서 소개된 방법을 통하여 급속 견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보다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효율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sseous outgrowth on the buccal maxilla associated with piezosurgery-assisted en-masse retraction: A case series

  • Tuncer, Nilufer Irem;Arman-Ozcirpici, Ayca;Oduncuoglu, Bahar Fusun;Kantarci, Alpdog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7-62
    • /
    • 2018
  • Piezoelectric surgery is a novel surgical approach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for rapid tooth movement. This paper presents a case series wherein osseous outgrowths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piezosurgery-assisted en-masse retraction. Sixteen patients requiring upper premolar extractions were treated with miniscrew-supported en-masse retraction and received minimally invasive decortication via piezosurgery. Computed tomography (CT) of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outgrowths. In 8 of the 16 patients, hemispheric or disc-shaped osseous outgrowths were observed on the sites where piezosurgery was performed during retraction. CT images revealed that these outgrowths were alveolar bone. This case series presents a previously unreported osseous response to piezosurgery-assisted tooth movement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response is mostly transient and is observed in 50% of the treated patients, suggesting a bone turnover that can be assess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정중구개봉합의 급속확대술에 의한 Angle씨 3급부정교합의 교정치험예 (A CASE REPORT OF ORTHODONTIC TREATMENT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BY RAPID MIDPALATAL EXPANSION)

  • 강봉기;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39
    • /
    • 1977
  • The patient, 18-year-old girl, had a class III malocclusion with the lateral compression of the maxilla due to the premature loss of the canines, mild mandibular prognathism, and mouth breathing habit. The treatment plan consisted of 1) rapid maxillary expansion 2) a period of retention 3) extraction of the first mandibular premolars instead of surgical correction 4) comple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with multibanded system. The maxilla was separated in the midline by the application of orthopedic forces via a cemen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device. After 18 months, She gained functional overbite-overjet relationship, good interdigitation of buccal segments, and facial harmony due to the retraction of lower anterior teeth.

  • PDF

Anaphylactic reaction after local lidocaine infiltration for retraction of retained teeth

  • Kim, Hyerim;Lee, Jung-Man;Seo, Kwang-Suk;Kwon, Seok Min;Row, Hyung Sang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3호
    • /
    • pp.175-180
    • /
    • 2019
  • Although allergic reactions are not rare complications in drug use, anaphylaxis or anaphylactoid reactions to some widely used drugs can embarrass clinicians because anaphylaxis is not easily diagnosed at the time of the event and treatment is unfamiliar to many. Lidocaine is a very popular drug in dental procedures and anaphylactoid reaction to it has been rarely reported. Clinicians who use lidocaine daily should, however,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anaphylaxis after its use. Once it occurs, anaphylaxis can be fatal, but if it is quickly diagnosed or suspected, treatment is simpler than most clinicians believe. An 86-year-old woman experienced an anaphylactic reaction 30 min after local infiltration of lidocaine for retraction of retained teeth. The dentist called an anesthesiologist for assistance. Fortunately, an anaphylactic reaction was quickly suspected and after subsequent rapid treatment with the administration of fluid and drug therapy,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치주인대 신장에 의한 치아의 급속 견인 시 성견 치주조직의 변화 (Histological Periodontal Tissue Reaction to Rapid Tooth Movement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Dogs)

  • 장영일;김태우;최희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55-46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periodontal distraction을 통해 급속 견인된 치아의 치조골과 치주인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 치주조직이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4 마리의 성견을 대상으로 하여, 좌우 상악 제2소구치를 발치 후에 상악 제1소구치 원심측 치간골에 홈을 주는 치조골 수술을 통해 골 저항을 약화시키고 제1소구치와 제3소구치에 periodontal distraction 장치를 장착하였다. 장치는 0.225mm씩, 하루에 2회 활성화시키며 상악 제1소구치를 발치와 공간으로 급속 견인하였다. 치아의 급속 견인은 5 일, 10 일, 20 일간 시행하였으며, 20 일간 견인한 대상에서는 2 주, 4 주, 8 주 후까지 유지기간을 두었다. 20 일간의 periodontal distraction을 통해 상악 제1소구치는 평균 5.02mm 원심 이동하였고, 고정원인 제3소구치는 0.58mm 근심 이동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distraction된 치주인대 공간에서는 골 재생과 개조가 빠르게 일어나, 견인 10일에 유골조직이 치아의 견인방향에 평행하게 생성되었고, 새로운 골 조직의 형성과 골 개조를 통한 골 성숙은 periodontal distraction 방향을 따라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는 다른 골의 distraction osteogenesis에서 나타나는 결과와 비슷하였다. 급속 견인된 치아의 치주인대는 상당히 넓게 나타났고, 교원섬유와 치아간의 정상 관계는 급속 견인이 끝난 후 2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8주에 거의 회복되었다. 그러나, 치주인대의 골 쪽에서는 치아 급속 견인 후 8주까지도 새로운 골이 계속 형성되고 있었고, 교원섬유속이나 Sharpey 섬유는 보이지 않았다. 고정원으로 이용된 치아 주위의 조직반응은 통상적인 교정치료에서와 같이 압박 측에서의 골 흡수와 신장 측에서의 골 형성 소견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periodontal distraction을 통한 치아의 급속 견인 시, 치주인대 조직은 잘 반응하여 치주조직의 재생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견인 시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Pulp and periodontal tissue changes following rapid tooth retraction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young adult dogs)

  • 이종진;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1-363
    • /
    • 2007
  •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 과정을 통해 급속 견인 후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유성견의 상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고 제3소구치 근심의 치간골을 부분 제거하였다. 견인장치는 6일 동안 하루에 2번씩 견인하고, 강화기 동안 0주, 1주, 3주, 5주, 7주, 9주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장된 치주인대 내에서 견인 직후부터 4주까지 활발한 골밀도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2-3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강화기 0주에 압박측 치조골의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1주의 신장측 치주인대에서 특징적인 골형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신생골 형성은 1주와 3주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9주에는 성숙골로의 대치 및 치주인대의 재생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의 발현은 치수, 치주인대 내의 염증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0주, 1주에 압박측 치주인대에서 증가하였다가 5주 이후에는 감소하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은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 이동이 정상적인 골 재형성 과정을 도모하는 새로운 치아이동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방하 피부절개를 통한 개심술 (Bilateral Submammary Skin Incision for Open Heart Surgery)

  • 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6호
    • /
    • pp.1095-1098
    • /
    • 1988
  •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CCAM] is a rare disease that cause respiratory distress in the newborn and infants, but is one of the two causes along with lobar emphysema. This malformation has the pathologic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forms of diffuse cystic disease, i.e. CCAM is marked proliferation of the terminal bronchioles and that can enlarge rapidly by air trapping in cystic areas. The CCAM has a clinical importance because of rapid worsening respiratory distress, with tachypnea, subcostal retraction and cyanosis. This is a strict surgical condition and after operation[lobar, segmental resection or pneumonectomy] the symptoms relieved obviously. We experienced 6 cases of CCAM from July, 1980 to September, 1987 at the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Severance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The male patients were two and female patients were four.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premature to 10 year old. One of them was 27 weeks gestational premature female who was borne dead. The other 5 patients were performed on thoractomy[1 case pneumonectomy and 5 cases lobectomy]. The postoperative courses were good and no complications were seen.

  • PDF

Treatment of the Superior Sagittal Sinus Thrombosis with the Mechanical Thrombectomy Using Stent-Retriever Device

  • Kim, Hoon;Kim, Seong Rim;Park, Ik Seong;Kim, Young W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5호
    • /
    • pp.518-520
    • /
    • 2016
  •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is an uncommon entity and its clinical presentations are highly variable. We present the case of superior sagittal sinus thrombosis. Although it was medical refractory, successfully treated with mechanical thrombectomy using the Solitaire FR device. A 27-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venous infarction accompanied by petechial hemorrhage secondary to the superior sagittal sinus (SSS) thrombosis. Due to rapid deterioration despite of anticoagulation therapy, the patient was taken for endovascular treatment. We deployed the Solitaire FR device ($4{\times}20mm$)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thrombosed SSS, and it was left for ten minutes before the retraction. Thus, we removed a small amount of thrombus. But the sinus remained occluded. We therefore performed the thrombectomy using the same methods using the Solitaire FR ($6{\times}20mm$). Thus, we were successful in removing larger clots. Our case highlights not only that the mechanical thrombectomy using the Solitaire FR is effective in achieving revascularization both rapidly and efficiently available, but also that it might be another op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who concurrently had rapid clinical deterioration with devastating consequences.

수술 중 뇌동맥류 파열에 대한 임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Intraoperative Rupture of Cerebral Aneurysms)

  • 백원철;고현송;김윤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1호
    • /
    • pp.73-78
    • /
    • 2001
  • Objective : Intraoperative rupture of an intracranial aneurysm can interrupt a microsurgical procedure and jeopardize the patient's chance to favorable out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nd evaluate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and render ideal prevention and management to intraoperative rupture. Patients and Methods : The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sed the results of 609 patients who underwent cerebral aneurysm surgery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0. Results : 1)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occurred in 73 of 609 consecutive aneurysm surgery, so the incidence was about 12.0% and it 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reports. 2) Aneurysms arising from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ppeared more prone to intraoperative rupture. 3) The size of aneurysm and timing of operation didn't influence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and temporary clipping didn't reduce the incidence of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4)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occured during three specific periods : (1) dissection stage in 61%, (2) clip application stage in 29 %, (3) predissection stage in 10%. 5) In the patients with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surgical outcome was relatively goo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 compared with unruptured group. Conclusion : Our suggestion for prevention methods of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are as follows : 1) minimal brain retraction, 2) sharp and careful aneurysmal neck dissection, 3) gentle clipping with proper clip selection etc. Management methods after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are as follows : 1) strong aspiration of bleeding point, 2) rapid application of temporary and/or tentative clip, 3) following rapid dissection of neck and proper clip application, 4) use of encircling clip etc.

  • PDF

양악성 치조 전돌 환자의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 후 경조직 및 연조직 측모 변화 (Hard and soft tissue profile changes following anterior subapical osteotomy in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patients)

  • 한언애;김정환;윤태호;박재억;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75-483
    • /
    • 2003
  • 본 연구는 입술 및 치아 돌출을 주소로 내원한 교정 환자를 소구치 발치와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로 전치부의 최대 후방 이동을 도모한 증례들에서 이로 인한 수술 전후의 측모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양악 전돌증을 동반한 골격성 제 I급 부정 교합 환자 20명의 수술 전과 후 측모 두부X-선 사진을 중첩하여 경조직 및 연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 전치부는 후방으로 치체 이동하였고, 하악 전치부는 후방으로 약간의 경사 이동하였다. 2. 수평 방향의 연조직 변화는 Nt와 Sn를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이 유의성 있게 변화하였고, 수직 방향으로는 Ls는 하방으로, Li는 상방으로 유의성 있게 변화하였다. 3. 경조직변화에 대한 연조직변화의 상관 관계는 ${\Delta}HId/{\Delta}HLi,\;{\Delta}HId/{\Delta}LL-Eline,\;{\Delta}Hpt.B/{\Delta}HILS,\;and\;{\Delta}UI-FH/{\Delta}NL$에서 높게 나타났다. 4. Ricketts' E-line에 대해 상순변화에 비해 하순의 더 많은 후방 이동을 보였다. 상악 전치 변위에 대한 상순 변위 비율은 $50\%$였고, 하악 전치 변위에 대한 하순 변위 비율은 $60\%$였다. 위에서 언급된 결과로서,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은 심한 치조 전돌 환자에게 효율적인 치료법으로서 빠른 외모 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수술적 접근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