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hanus sativus L.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2초

수수 줄기에 함유(含有)된 타감물질(他感物質)의 용매(溶媒)와 pH에 따른 특성구명(特性究明)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in Sorghum Stem by Different Organic Solvents and pH)

  • 김상열;에스 케이 디다타;알 피이 로블레스;김길웅;이상철;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2-48
    • /
    • 1994
  • 수수 줄기에 함유된 타감물질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서 극성, 비극성 용매로 분획한 결과 사용한 용매에 따라 억제 효과가 달리 나타났는데 ethyl ehter 분획에서 억제작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또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에서도 8mg/ml과 16mg/ml 농도에서 상당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나 hexane과 남은 수용층 분획에서는 거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Ethyl ether 분획을 pH에 따라 알칼리성, 중성 및 산성으로 다시 분획한 결과 산성 분획에서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수 줄기와 함유하고 있는 타감물질은 비극성이며 산성 특성을 가진 물질이라 추측된다.

  • PDF

HepG2 cell을 이용한 한인진, 울금, 나복자 복합물(ACR)의 이상지질혈증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및 항산화 효능 평가 (Inhibition of gene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and Antioxidative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Curcumae Radix and Raphani Semen(ACR) on HepG2 cell model)

  • 차지윤;유호룡;김윤식;설인찬;조현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58
    • /
    • 2017
  • Objectiv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nd hypolipidemic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韓茵蔯), Curcuma longa L. (鬱金) and Raphanus sativus L. (蘿?子) (ACR). Method: We enriched Artemisiae Capillaris, Curcumae Longae and Raphani Semen compound with alcohol. ACR extract is treated to HepG2 cell. Cell groups are devided into 3 groups: normal, control and ACR treated group. We measured polyphenol, flavonoid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OS, glutathione, GSH peroxidase, GSH reductase, SOD, catalase, free fatty acid, lipid peroxidation and suppression of ACAT1 and HMG-CoA reductase expression on mRNA level. Results: 1. ACR contained polyphenol and flavonoids and increased GSH significantly in HepG2 cell. 2. ACR increased GPx, GR, and catalase activity significantly in HepG2 cell. 3. ACR increase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 HepG2 cell and decreased ROS. 4. ACR decreased free fatty acid and MDA significantly in HepG2 cell. 5. ACR suppressed ACAT1 and HMG-CoA reductase expression on mRNA level in HepG2 cel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CR has antioxidative and hypolipidemic effect and might be effectiv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yslipidemia.

Evaluating Plant Uptake of Veterinary Antibiotics with Hydroponic Method

  • Park, Saet Byel;Kim, Sun Ju;Kim, Sung 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2-250
    • /
    • 2016
  • Veterinary antibiotics (VAs) has been used to treat animal disease and to increase animal weight as growth promoter. However, abused usage of VAs can cause produc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ARGs) in the environment and additionally, residual of VAs in soil can be transferred into crops. Therefor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bioaccumulation of VAs in sprouts (red cabbage, Brassica Olearacea L. var. Capitata f. rubra and red radish, Raphanus sativus) with hydroponic method. Total of 7 VAs in 2 different classes of VAs (tetracyclcines: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sulfonamides: sulfamethoxazole, sulfamethazine, sulfamethiazole, macrolides: tylosin) were evaluated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solid phase extraction (SP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HPLC/MS/MS). Initial spiked concentration of 7 VAs was $5mg\;L^{-1}$ and cultivation period was 8 days. Result showed that growth of sprouts was inhibited about 23-27% when VAs was introduced. Amount of bioaccumulated VAs was also differed depending on class of VAs. The highest amount of bioaccmulated VAs was tetracycline and sulfamethoxazole in each class with a concentration of 4.05, $7.73mg\;kg^{-1}$ respectively. Calculated transfer ratio of VAs into crops was also ranged 0.38-54.27%. Overall, bioaccumulation of VAs in crops can be varied depending on crop species and class of VAs. However,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bioaccumulation of VAs in crops in the soil environment.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Urban Garden Design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Farming Method Gyeonjongbeop from the Joseon Period: Focused on Imwongyeongjeji Bolliji

  • Hong, In-Kyoung;Yun, Hyung-Kwon;Chae, Young;Lee, Sang-Mi;Jung, Young-Bin;Lee, Mi-R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3-432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raditional farming is winning recognition as a sustainable alternative farming method. As urban farming increases in South Korea, it is crucial to develop more sustainable farming techniques. Gyeonjongbeop is the traditional farming method introduced in the Joseon peri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productive garden model suitable for urban farm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farming methods contained in Imwongyeongjeji Bolliji and to test the model on an actual field. Methods: Using the design and cropping system of Gyeonjongbeop as the research materials, we reviewed its tillage and cultivation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We proposed a modified method by extracting parts applicable to urban farming. According to the methods, we created a garden with ridges and furrows, cultivated proper vegetables, and evaluated their growth. Results: Raphanus sativus, Allium fistulosum L., Brassica juncea, and Spinacia oleracea grown on ridges showed higher growth than those grown on a conventional flat field. The growth of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and Triticum aestivum L. on furrows was also slightly higher. This proved that the method could make up for the deficiencies of barley and wheat that are weak against winds and cold and are easily destroyed by the spring rains. Conclusion: Ridge and furrow cultivation derived from Gyeonjongbeop can be an efficient urban farming system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in flat fields. The system can use fallow lands in winter for year-round urban farming.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farming system can enhance the humanistic value of urban farming.

열처리 방법이 적무 새싹종자(Raphanus sativus)의 미생물 저감화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microbial reduction and germination rates of red radish sprout seeds (Raphanus sativus))

  • 전소윤;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4-548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인 새싹채소류의 고품질화를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살균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국내산 적무 종자의 다양한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미생물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 열수처리는 60, 65, 70, 75, 80, $90^{\circ}C$에서 각각 30, 60초간 실시하였고, 건열처리는 70, 80, 90, $100^{\circ}C$에서 5분간 실시하였다. 열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의 제어효과는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7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총세균수는 3 logs 이상의 감소를 보였으며,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건열처리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00^{\circ}C$에서 5분간 처리한 후 총세균과 L. monocytogenes 수는 3 logs 이하 감소하였다. 열수처리에 따른 발아율의 변화는 처리 전과 후 모두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75^{\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한편, 열수처리 후 침지시킨 종자에서 발아가 더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열처리에 따른 발아율은 $8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건열처리한 후 증류수에 3시간 침지시킨 종자의 발아율은 $9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적절한 열처리는 $75^{\circ}C$, 30분 이상의 열수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무 새싹채소의 종자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열풍 건조 무청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림;이용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80-785
    • /
    • 2006
  • 무청별 무청의 성분분석과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건조조건에 따른 무청 고유의 색도, 칼슘, 철분, 비타민 등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품종이 다른 미농단백무(RL5)를 제외하고는 품종 간에 회분, 단백질, 지방, 칼슘 및 철분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건물량으로 환산한 비타민류, 클로로필 함량, 색도에는 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한편 중심합성 실험계획에 따라 건조한 미농단백무 무청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 클로로필 함량 및 색도차이를 나타내는 ${\Delta}E$ 값은 건조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칼슘, 철분함량은 각각 $31.41{\sim}35.80\;mg,\;0.21{\sim}0.29\;mg$으로 시료 간 유의성이 없었다. 무청의 건조조건을 독립변수로 하고,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던 종속변수인 수분, 클로로필 및 색도 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R^2$값이 0.97 이상으로 높았다. 또 회귀분석한 모델식중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도시한 결과 총 클로로필 함량은 독립변수인 건조시간보다는 건조온도의 영향이 더 컸으며 무청의 고유 초록색을 유지하면서도 수분 감소효과를 얻기 위한 최적조건은 약 $70^{\circ}C$에서 $5{\sim}6$시간 정도로 예측할 수 있었다.

무우바이러스병과 매개진딧물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rus Diseases and Aphid Vectors in Radish Fields)

  • 최홍규;소인영;박건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36
    • /
    • 1984
  • 무우의 바이러스 이병율과 매개진딧물 비래밀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전주지방에 무(Raphanus sativus L. var. Chungsu gungjung)를 파종하고 1982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진딧물 비래밀도는 황색수반으로 채집하고, 바이러스 이병율은 병징을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전주지방의 진딧물 비래밀도는 5월 하순과 10월 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냈으며 매개진딧물의 비래분포도 같은 경향이었다. 무우의 바이러스병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ticae), 무우테두리 진딧물(Lipaphis erysimi), 목화진딘들(Aphis gossypii),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이 채집되었고, 전체진딧물 대 매개진딧물의 비율은 $62.82\%(39.260/62.499)$이었다. 매개진딧물중 복숭아혹진딧물이 $82.53\%(32.401/39.260)$로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급상승하며 높은데 비하여 추계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완만하면서 낮았다. 매개진딧물의 밀도상승과 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는 춘계는 $r=0.7414^*(\hat{Y}=8.1444+0.0551X)$, 추계는 $r=0.9117^{**}(\hat{Y}=10.2590+0.463X)$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매개진딧물의 비래와 바이러스 병징발현간에는 약 15일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병의 이병주 보존구가 이병주 제거구보다 발병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통합 혐기소화액별 폭기처리에 따른 화학적 성분 변화와 무의 발아효과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 on Germination of Radish Seed from Aeration of Co-digestate Fertilizers)

  • 변지은;이홍주;류종원;황선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508-517
    • /
    • 2020
  • 본 시험은 혐기소화액의 폭기처리 기간에 대한 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혐기소화액을 액비로 이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숙완료 시기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혐기소화액은 돈분 혐기소화액(SS AD),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을 이용하였으며, 공기량은 1 ㎥당 0.1 ㎥/air/min를 30분 유입, 15분 중단되도록 설정하였다. 1. pH는 모든 혐기소화액 처리구에서 폭기처리 3일차에 폭기처리 전보다 급격히 높아졌으며, 돈분 혐기소화액(SS AD)은 9일차 후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은 15일 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27일과 36일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급격히 낮아졌다. 27일과 36일 사이의 급격히 낮아진 pH는 부숙기간 동안 발생한 질산태 질소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2. 전기전도도(EC)는 모든 혐기소화액이 폭기처리가 진행 될수록 감소하였으며, 48일차에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이 16.0 mS/cm로 가장 높았다. 3. 용존산소(DO)는 모든 혐기소화액이 폭기처리 전보다 폭기처리 시작 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다. 48일차에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가 3.93 mg/L로 혐기소화액 중 용존산소가 가장 높았지만 돈분 혐기소화액(SS AD),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도 각각 3.24 mg/L, 3.69 mg/L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었다. 4. 총질소량(T-N)과 암모늄태 질소(NH4-N)는 폭기처리가 진행될수록 모든 혐기소화액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질산태 질소(NO3-N)는 돈분 혐기소화액(SS AD)의 경우 24일차까지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 후 36일차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고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은 36일차까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그 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돈분 사과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SS + AP AD)은 폭기처리 후 24일차까지 감소하였으나 36일차에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5. 환경부고시(제 2018-115호) 퇴비액비화기준 중 부숙도 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의한 원액을 이용한 방법과 Halder et al. (2016)이 제시한 액비발아지표(LFGI)법을 이용하여 서호무(Raphanus sativus cv. Seoho) 종자발아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돈분 혐기소화액(SS AD)은 상대발아율, 뿌리신장률, 발아지수에서 다른 혐기소화액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은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혐기소화액과 비교하여 돈·우분 혼합 혐기소화액(SS + CS AD)은 암모늄태 질소(NH4-N)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Lee & Eue (1999)의 연구에 의하면 배추 종자를 이용하여 종자발아시험을 하였을 때 암모늄태 질소의 농도에 의해 발아지수가 영향을 받았다(Lee & Eue, 1999). 6. pH가 약알칼리성을 띄면서 EC와 암모늄태 질소가 낮아지면 발아지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7. 서호무(Raphanus sativus cv. Seoho) 종자의 발아지수를 통한 부숙도 완료 평가에서 환경부고시(제 2018-115호) 퇴비액비화기준 중 부숙도 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의한 원액을 사용한 방법은 폭기처리 기간에 모든 혐기소화액에서 적절한 수치를 보이지 않았으나 Halder et al. (2016)이 제시한 액비발아지표(LFGI)법을 적용할 경우 60일의 폭기처리에서 70 이상의 적절한 발아지수를 관찰하였다. 혐기소화액 후처리 방법으로 폭기처리를 실시할 경우 최소 60일 이상 진행되어야 부숙완료로 판정될 것으로 보인다.

깍두기의 절임방법이 발효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akdugi Fermentation)

  • 장명숙;김나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7
    • /
    • 1999
  • The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Kakdugi (cubed radish kimchi) fermentation were evaluated. Kakdugi was prepared with various salting methods, salt concentrations, and settling times, and fermented at 10$^{\circ}C$ for up to 52 days. Radish (Raphanus sativus L.) cubes (2 cm size) were salted by using the following methods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5% which was known appropriate for the organoleptic quality of Kakdugi: 1) Treatment S-1: applying dry salt uniformly onto the radish cubes, with a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5% (w/w) and cured for 1 hr, 2) Treatment S-5: applying dry salt uniformly onto the radish cubes, with a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2% (w/w) and cured for 5 hr, 3) Treatment B-1: brining radish cubes in a 8.5% (w/v) salt solution for 1 hr, 4) Treatment B-5: brining radish cubes in a 4.0% (w/v) salt solution for 5 hr. As the fermentation continued, the initial high decrease in pH has been retarded in all the treatments, of which the delaying extent was more significantly noted from B-1 and B-5 than S-1 and S-5. The pH of the Kakdugi which showed a good eating quality dropped to 4.3∼4.8 with the accumulation of total acids. Total vitamin C increased sharply at the palatable period of Kakdugi during the initial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following a sigmoidal changing pattern. The reducing sugar levels were also influenced by salting methods and fermentation as sugars are converted into acids. High initial contents of reducing sugars and their subsequent rapid decrease were observed in “S” group than “B” group during fermentation. For nonvolatile organic acids, lactic acid increas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fermentation while malic acid, which was high at the initiation of fermentation, decreased rapidly afterwards at the palatable period of Kakdugi.

  • PDF

Effect of Enzyme-Treated Radish Leave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Diet

  • Kim, Yu-Na;Ku, Kyung-Hyung;Kang, Sin-Kwon;Choi, Jeong-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zyme-tr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Rat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a high fat diet group (HF group), a high fat diet with 10% radish leaf powder-supplemented group (MA group), a high fat diet with 5% enzyme-treated radish leaf powder-supplemented group (MB group) and a high fat diet with 10% enzyme-treated radish leaf powder-supplemented group (MC group).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enzyme-treated radish leaves were greater than untreated radish leaves.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of the HF 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e MA, MB and MC groups.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contents in the radish leaf powder-supplemented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HF group, while those values for the MB and MC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HF group. The serum HDL-cholesterol contents of the MB and MC groups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MA, MB and MC groups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In fact,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MB and MC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A group. The hepatic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the MB and MC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HF group. The fecal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the MA, MB and MC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HF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enzyme-treated radish leaves increase the useful fiber contents. Furthermore, it may have a pronounced impact on lipid metabolism of serum and liver in rats fed a high fat di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