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hanus sativus L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4초

Peroxidase Activity Boosting by Various Nitrogenous Compounds

  • Lee, Dong-Joo;Kim, Soung-Soo;Lee, Mi-Young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312-316
    • /
    • 2000
  • Effects of various nitrogenous compounds on the peroxidative activity of Korean radish (Rophanus sativus L.) isoperoxidase $A_1$ were examined by using anilino substrates, such as dianisidine and phenylenediamine. We also used phenolic substrates such as guaiacol,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and esculetin. The peroxidation of dianisidine was stimulated by adenine and imidazole as much as 5 fold and 11 fold, respectively at pH 8. Moreover, about 4.8 fold and 8 fold stimulation of phenylenediamine peroxidation occurred by adenine and imidazole, respectively at pH 8. The stimulation by adenine and imidazole did not occur at the acidic pH range. The peroxidations of phenolic substrates, such as guaiacol,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and esculetin, were not boosted greatly by any of the nitrogenous compounds tested. Notably, ammonium salt, which has been known for the excellent booster of horseradish peroxidase, did not affect the peroxidation of the Korean radish isoperoxidase $A_1$. The kinetic studies of dianisidine peroxidation with imidazole, as a model of boosting reaction, showed that neither the affinity of imidazole against dianisidine, nor the activation energy of dianisidine peroxidation changed during the activity boosting of isoperoxidase $A_1$.

  • PDF

안개에 기인하는 무우(Raphanus sativus L.)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Radish(Raphanus sativus L.)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김상철;국용인;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7-205
    • /
    • 1995
  • 본 연구는 무우(Raphanus sativa L.)를 공시작물로 하여 안개 및 비안개조건하에서의 생육 차이를 밝히고, 전형적인 잡초종(피를 비롯한 7종의 밭잡초)과의 경향양상과 한계수준을 구명하는 동시에 상이한 수종제초제에 대한 약해 및 약효반응차이를 밝혀 안개상습지에서 무우의 잡초방제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안개제조장치가 설치된(Auto foggy system: SAE KI RTN Co.) 온실내 tray 시험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개조건하에서 각 공시품종(Long skirt, Delicious altari, Green mascot)의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생육초기(파종 후 8-38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55일에 증가하였다. 지하부 생체중은 Green mascot 품종에서만 안개조건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엽록소 함량은 전 공사품종의 안개조건에서 높았다. 2. 안개조건하에서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무경합구(0)와 20일 경합구에서 증가하고, 지하부 생체중은 0, 20, 35일 경합구에서 증가하였으나, 50일 이상의 경합구에서는 안개와 비안개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3. 각 공시약제(Napropamide, Alachlor, Linuron) 처리 후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에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Alachlor는 파종 후 65일에 안개조건에서 지하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4. 각 공시약제의 방제효과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차이가 없엇으나, 자귀풀의 방제효과는 안개조건에서 낮았다.

  • PDF

Development of Gene-based Markers for the Allelic Selection of the Restorer-of-fertility Gene, Rfo, in Radish (Raphanus sativus)

  • Kim, Sunggil;Lim, Heerae;Cho, Kang-Hee;Park, Pue Hee;Park, Suhyung;Sung, Soon-Kee;Oh, Daegeun;Kim, Ki-Taek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4-204
    • /
    • 2009
  • Cytoplasmic male sterility (CMS) and fertility restoration have been utilized as valuable tools for $F_1$-hybrid seed production in many crops despite laborious breeding processes. Molecular markers for the selection of CMS-related genes help reduce the expenses and breeding times. A previously reported genomic region containing the Ppr-B gene, which is responsible for restoration of fertility and corresponds to the Rfo locus, was used to develop gene-based or so-called "functional" markers for allelic selection of the restorer-of-fertility gene (Rfo) in $F_1$-hybrid breeding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Polymorphic sequences among Rfo alleles of diverse breeding lines of radish were examined by sequencing the Ppr-B alleles. However, presence of Ppr-B homolog, designated as Ppr-D, interferes on specific PCR amplification of Ppr-B in certain breeding lines. The organization of Ppr-D, resolved by genome walking, revealed extended homology with Ppr-B even in the promoter region. Interestingly, PCR amplification of Ppr-D was repeatedly unsuccessful in certain breeding lines implying the lack of Ppr-D in these radishes. Ppr-B could only be successfully amplified for analysis through designing primers based on the sequences unique to Ppr-B that exclude interference from Ppr-D gene. Four variants of Rfo alleles were identified from 20 breeding lines. A combination of three molecular markers was developed in order to genotype the Rfo locus based on polymorphisms among four different variants. These markers will be useful in facilitating $F_1$-hybrid cultivar development in radish.

연잎, 상엽, 건조 무 혼합 추출물의 지표성분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의 분석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for Wogonin, Quercetin, and Quercetin-3-O-glucuronide in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Morus alba L., and Raphanus sativus Mixture)

  • 장길웅;박은영;최승현;최선일;조봉연;심완섭;한웅호;조현덕;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9-295
    • /
    • 2018
  • 본 연구는 연잎, 상엽, 건조 무 혼합 추출물의 wogonin, quercetin, quercetin-3-O-glucuronide의 함량 분석 및 해당 표준물질들의 동시 분석법의 개발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통하여 분석법의 신뢰성을 검증했다. HPLC를 이용한 분석방법에서 표준용액의 머무름 시간과 연잎, 상엽, 건조 무 혼합 추출물 중 quercetin-3-O-glucuronide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해 분석법의 특이성을 검증하였다.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의 검량선은 상관계수 값이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 모두 0.9999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 정밀성과 정확성은 농도를 아는 시료에 인위적으로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의 표준물질을 첨가해 계산하였다. Wogonin, quercetin, quercetin-3-O-glucuronide의 정밀성은 일간 정밀성, 일내 정밀성으로 확인했으며 세 가지 성분들의 일간 정밀성은 각각 0.76~1.24%, 0.90~1.40%, 0.74~1.87%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일내 정밀성은 0.12~1.06%, 0.28~1.12%, 0.52~0.92%로 5% 이하의 우수한 정밀성을 보였다. 정확성의 측정 결과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의 일간 정확성은 99.99~107.97%, 99.96~115.88%, 99.73~111.91%를 나타냈고 일내 정확성은 100.36~108.88%, 99.77~114.81%, 99.91~112.44%로 우수한 수준의 정확성을 보였다.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의 검출한계는 각각 $0.16{\mu}g/mL$, $0.09{\mu}g/mL$, $0.15{\mu}g/mL$로 측정됐으며 정량한계는 각각 $0.48{\mu}g/mL$, $0.26{\mu}g/mL$, $0.45{\mu}g/mL$로 나타나 저농도에서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법 검증결과, 확립된 분석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가 모두 우수한 분석법임이 검증됐으며,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해 연잎, 상엽, 건조 무 혼합 추출물의 wogonin, quercein, quercetin-3-O-glucuronide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wogonin과 quercetin은 검출이 되지 않았지만 quercetin-3-O-glucuronide는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 결과 에탄올로 추출한 11번(EM11) 샘플에서 quercetin-3-O-glucuronide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한 샘플들이 함유하고 있는 quercetin-3-Oglucuronide의 함량은 불검출~50.95 mg/dry weight g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는 결과를 보였다.

열처리 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 이상훈;황인국;이연리;정은미;정헌상;이희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0-495
    • /
    • 2009
  • 열처리에 따른 무의 성분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무를 110, 120, 130, 140 및 $15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용매분획을 실시하고 각각에 대한 색도, 갈변도, 유리당, 총 폴리페놀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열처리 무 에탄올 추출물의 색도는 열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갈변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fructose와 glucose 모두 열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50^{\circ}C$ 처리에서 $256.26{\pm}9.6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대조구: $27.90{\pm}1.28$ mg/100 g),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150^{\circ}C$에서 $1.34{\pm}0.004$ mg/mL으로 가장 낮았고(대조구: $34.93{\pm}0.039$ mg/mL),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의 AEAC 값도 $150^{\circ}C$에서 $53.10{\pm}1.155$ mg AA eq/g으로 가장 높았다(대조구: $6.721{\pm}0.122$ mg AA eq/g). 용매분획물의 각 처리온도구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0^{\circ}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33.62{\pm}3.197$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도 $150^{\circ}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0.39{\pm}0.001$ mg/mL로 가장 낮았고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의 AEAC 값은 $140^{\circ}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83.72{\pm}5.929$ mg AA eq/g으로 가장 높았다.

천연보존제로서 한국산 무 및 종자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 항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and Its Seed Protein as a Natural Preservative : The Influences on Anti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 최윤혁;황철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1-565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산 무 및 그 종자단백질을 추출 및 분리하여 3T3 세포주에 대해 항유전독성과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과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3T3 세포주에 직접발암원인 $100{\mu}g/ml$ MNNG를 $10{\mu}l$씩 투여한 후 10mg/ml의 무추출물(RJ)과 1mg/ml의 종자단백질(RSP)을 $10{\mu}l$씩 투여하였을 때, 각각 $43\%$$30\%$의 항유전독성을 보였다. 또한 lactose dehydrogenase (LDH) 정량 분석을 이용하여, 3T3 세포주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RJ 및 RSP를 투여한 후 세포독성을 관찰 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이미 오염된 화장품에 대해 10 mg/ml 의 RJ와 1mg/ml의 RSP를 투여하였을 때, 세균성오염화장품 시료(C1)에 대해서 RSP가 $85\%$의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진균성오염화장품 시료(C4)에 대해서 RSP는 $79\%$, RJ는 $76\%$의 항균활성을 보였다.

부종(浮腫)의 식요방법(食療方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tetic therapy on the edema)

  • 백태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1-16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dietary therapy on the edema based on the literary findings, for clin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edema. Methods : This Research was examined on histories, compositions, applications, and effects of dietetic treatment about 100 cases of dietary therapy of the edema from Chinese literatures. Results : 1. Various vegetables and animals including herbs, grains, vegetables, fruits, food and drink were used for the dietary therapy. 2. Methods of the preparation for use as therapeutics were decoction, pulvis, gruel, cake, tea, paste, gelatin and etc. 3. Frequently used materials were Cyprinus carpio Linnaeus, Cucumis sativus L.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Zea mays, Maydis Stigma, Citrullus vulgaris, Zingiber officinale, Cinnamomum cassia Blume,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Camellia sinensis, Armeniacae amarum Semen, Phyllostachys bambusoides, Luffa cylindrica, Dioscorea batatas Decne, Panax ginseng, Brassica oleracea and Raphanus sativus. Conclusion : Though dietary therapy for the edema is not based on clinical or experimental data, but through experience. It is mostly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visceral manifestation, channels and their collateral channels and Oriental herbal medicine theories. If we use them properly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e method, it will be effective on treating and preventing the edema.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49-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라 추출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그리고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 1.2의 Z2조건에서 각 추출물들이 81.44~89.71%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pH 1.2와 pH 4.0의 조건에서 발아 4일째와 8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추출용매에 따라 소거능의 차이는 보였으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소거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6.0 조건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16.12%의 활성을 보여 발아 12일째 무순의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소거능 효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27.05%의 범위를 보였고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의 활성이 52.15%로 무순 추출물의 활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추출물 중에서는 발아 8일째의 아세톤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15.59%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발아 8일째와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으며, 추출용매는 메탄올 추출물이 62.65~84.89% 측정되어 가장 좋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발아 4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21.26~29.52%로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발아초기에 비해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저해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시기와 추출용매에 따른 ACE 저해능은 12.48~51.78%의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의 에탄올 추출물이 51.78%로 각 추출물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 발굴 및 식품 개발에 있어 연구 활용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일반적으로 섭취하여 큰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무순을 유효성분만을 추출하여 소재화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현행 건강기능식품법에 따르면 물, 주정, 핵산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용매의 종류 및 추출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큰 기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무 유식물의 생장과 Peroxisome 효소 활성에 미치는 트리아콘타놀의 효과 (Effects of Triacontanol on Growth and Peroxisomal Enzyme Activities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lings)

  • 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4호
    • /
    • pp.241-251
    • /
    • 198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acontanol (TRIA) on plant growth and peroxisomal enzyme activities in radish seedling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RIA with respect to radish seedling bioassay was decided to 1.0mg $1^{-1}$. In comparison to untreated controls (including Tween 20 treatment), 1.0mg $1^{-1}$ TRIA treatment caused an increase in seed germination rate and root growth, but no stimulation in hypocotyl growth. Chlorophyll accumulation in cotyledon during carly development stage increased rapidly, and degradation of chlorophyll in later stage due to the cotyledon senesence was noticeably retarded. Increase of soluble protein content in cotyledon at early period of development was observed. Isocitrate lyase and cata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the treated and the untreated plants. But, glycolate oxidase activity was inhibited by TRIA down to 20% against controls. Also,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peroxidase, a leaf-senescence marker enzyme, was continuously retarded over control for 8 days of development. Based on above results, TRIA was found to be active in both the growth and the peroxisomal enzyme activities of radish seedlings.

  • PDF

발아중 빛에 의한 무 유식물의 자엽 Microbody의 활성 변화 (Effect of Light on Developmental Changes and Activities of Microbody in the Cotyledons of Radish Seedlings)

  • 박민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43-254
    • /
    • 1986
  • The enzyme patterns and the food storage changes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cv. Taewang) cotyledons during seedling development were studied. The radish seeds were germinated for 8 days at $25^{\circ}C$ under light (7, 000 lux) or dark condition.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per seed were 4.3 mg and 2.85 mg respectively. In 8-day-old light-grown seedling,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per cotyledon pair were 1.5 mg and 2.08 mg; in 8-day-old dark-grown seedling, they were 0.8 mg and 1.24 mg respectively. The heterotrophic phase of seedlings continued for 3 days after sowing and followed by autotrophic phase (3~6 day) and senescence phase (6~8 day). The food storage function decreased in response to time course. During heterotrophic phase, the activities of glyoxysomal enzymes (malate synthetase, isocitrate lyase, and catalase) were high at 2~3 day. Those patterns were somewhat more prominent in darkness. During the autotrophic phase, the activities of peroxysomal enzymes (glycolate oxidase and catalase) increased at 4~5 d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