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 Structure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5초

Short-term Distributed Rainfall Prediction using Stochastic Error Field Modeling

  • 김선민;다치카와 야수토;다카라 카오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5-229
    • /
    • 2005
  • 이류모형을 이용한 단기예측 레이더 강우자료와 관측 레이더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얻어진 예측오차를 분석하였다. 임의 시점까지의 예측오차 장에 나타나는 확률분포 형태와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들 특성을 반영하는 추후의 예측오차 장을 모의할 수 있었다. 모의된 예측오차 장과 합성된 단기예측 강우 장은 이류모형을 이용한 예측에 따른 불확실성 을 추계학적으로 반영한 예측강우를 제공한다.

  • PDF

KLAPS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집중호우의 3차원 분석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Heavy Rainfall Using KLAPS Re-analysis Data)

  • 장민;유철환;지준범;박성화;김상일;최영진
    • 대기
    • /
    • 제26권1호
    • /
    • pp.97-109
    • /
    • 2016
  • Heavy rainfall (over $80mm\;hr^{-1}$) system associated with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occurred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n 27 July 2011. To investigate the heavy rainfall system, we used three-dimensional data from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KLAPS) reanalysis data and analysed the structure of the precipitation system, kinematic characteristics,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 The existence of Upper-Level Jet (ULJ) and Low-Level Jet (LLJ) are accelerated the heavy rainfall. Convective cloud developed when a strong southwesterly LLJ and strong moisture convergence occurring around the time of the heavy rainfall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such continuous produc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ed high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of over 355 K at low levels, and low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of under 330 K at middle levels, causing vertical instability. The tip of the band shaped precipitation system was made up of line-shaped convective systems (LSCSs) that caused flooding and landslides, and the LSCSs were continuously enhanced by merging between new cells and the pre-existing cell. Difference of wind direction between low and middle levels has also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avouring the occurrence of precipitation systems similar to LSCSs. Development of LSCs from the wind direction difference at heights of the severe precipitation occurrence area was also identifie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production and development mechanisms of heavy rainfall and can be used in applied research for prediction of severe weather.

TRMM/PR 관측에 의한 한반도에서의 여름철 호우의 특성 : 사례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in Summer over the Korean Peninsula from Precipitation Radar of TRMM Satellite : Case Study)

  • 박혜숙;정효상;노유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4
    • /
    • 2000
  • 열대 강우 관측 위성(TRMM: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에서 관측된 자료가 한반도에서 발생한 호우 특성을 얼마나 잘 나타내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과 1999년 여름철 호우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집중 호우를 동반한 비 구름대의 높이, 강수형태, 비 구름의 수직 분포 및 수평 단면도 상의 강우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TRMM/PR 관측 강우 강도와 지상에서 관측된 자동기상관측 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에서 관측된 값을 비교하였다. GMS-5 IR1과 AWS 지상관측 자료와 비교해 볼 때, TRMM/PR 관측자료는 기존의 자료로는 알 수 없는 강수 형태, 비 구름대의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제공해 주었으며 특히 비 구름대 내부에서의 강우강도 분포와 연직 발달 정도를 잘 묘사했다. 또한 위도-경도별 강우강도의 단면분포에서는 지형 효과에 의한 강우 특성도 알 수 있었다. TRMM/PR 관측 강우강도 값은 AWS 관측치에 비해 6 mm/hr 이하에서 더 많이 관측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지상 관측에 비해 적게 관측되는 경향을 보였다.

추계학적 강우변동생성 기법과 GIS를 연계한 2차원 침수해석 (Two-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Using Stochastic Rainfall Vari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진영;조완희;한건연;안기홍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1-113
    • /
    • 2010
  • 최근에 발생하는 강우양상은 강우일수는 감소하고, 강우강도는 증가해 홍수발생 빈도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를 반영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수공구조물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할 때 가능최대강우량을 도입하거나, 설계빈도를 높이는 등의 확정론적 방법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렇게 설계기준을 상향 조정한 경우, 설계빈도의 강우가 발생하지 않으면 수공구조물의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또한 수공구조물의 규모가 클수록 인근 주민과의 마찰이 커지고, 환경 문제의 발생 역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설계빈도의 무조건적인 상향조정에 의존하기보다 추계학적 방법을 도입한 수문량의 확충 및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수공구조물 설계 시에 고려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발생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제내지에서의 침수범위를 GIS상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log-ratio 방법, Johnson 시스템, 직교변환을 활용한 다변량 Monte Carlo 기법으로 추계학적 시간에 따른 강우변동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강우변동 결과를 토대로 수문분석, 홍수위 분석 등을 실시하고 FLUMEN 모형을 적용하여 해당유역에 대한 홍수범람시 침수범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강우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어 시 공간적 강우특성이 반영된 유역별 주민대피지도, 홍수위험지도 등을 제작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APPI 반사도의 오차구조 및 지구곡률효과로 인한 거리오차 보정 (The Error Structure of the CAPPI and the Correction of the Range Dependent Error due to the Earth Curvature)

  • 유철상;윤정수
    • 대기
    • /
    • 제22권3호
    • /
    • pp.309-319
    • /
    • 2012
  • It is important to characterize and quantify the inherent error in the radar rainfall to make full use of the radar rainfall. This study verified the error structure of the reflectivity and corrected the range dependent error in the CAPPI using a VPR (vertical profile of reflectivity) model. The error of the CAPPI to display the reflectivity data becomes bigger for the range longer than 100 km. This range dependent error, however,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corrected the CAPPI data using the VPR model.

Kalman Filtering 이론에 의한 하천 유출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treamflows by the Kalman Filtering Theory)

  • 박종권;박종구;이영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studied and investigated to prediction algorithms of the Kalman Filtering theory which are based on the state-vector description, including system identification, model structure determination, parameter estimation. And the prediction algorithms applied of rainfall-runoff process, has been worked out. The analysis of runoff process and runoff prediction algorithms of the river-basin established, for the verification of prediction algorithms by the Kalman Filtering theory, the observed historical data of the hourly rainfall and streamflows were used for the algorithms. In consisted of the above, Kalman Filtering rainfall-runoff model applied and analysised to Wi-Stream basin in Nak-dong River(Basin area : $472.53km^2$).

  • PDF

장목만에서 여름철 영양염 특성 변화가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Property Changes on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Jangmok Bay)

  • 장풍국;장민철;이우진;신경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97-111
    • /
    • 2010
  • Phytoplankton production is affected by various physico-chemical factors of environment.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generally accepted as controlling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s nutrients. It has recently been found that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groups and spec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ambient water including nutrient limitation and their ratios. In Jangmok Bay, silicate and nitrate are primarily supplied by rainfall, while phosphate and ammonia are supplied by wind stress. Typhoons are associated with rainfall and strong wind stress, and when typhoons pass through the South Sea, such events may induce phytoplankton blooms. When nutrients were supplied by heavy rainfalls during the rainy season and by summer typhoons in Jangmok Bay, the dominant taxa among the phytoplankton groups were found to change successively with time. The dominant taxon was changed from diatoms to flagellates immediately after the episodic seasonal events, but returned to diatoms within 3~10 days. Pseudo-nitzschia spp. were dominant mainly in the presence of low phosphate levels during the first of the survey which included the rainy season, while Skeletonema costatum was dominant when phosphate concentrations were high due to the strong wind stres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typhoon. The competition between S. costatum and Chaetoceros spp. appeared to be regulated by the silicate concentration. S. costatum preferred high silicate and phosphate concentrations; however, Chaetoceros spp. were able to endure low silicate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implied that, in coastal ecosystems, the input patterns of each nutrient supplied by rainfall and/or wind stress appeared to contribute to the summer succession of phytoplankton groups and species.

카오스를 이용한 일 강우자료의 시간적 분해 (Chaotic Disaggregation of Daily Rainfall Time Series)

  • 경민수;벨리시바쿠마르;김형수;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9호
    • /
    • pp.959-967
    • /
    • 2008
  • 분해기법은 일 단위 강수시계열 자료를 시간단위로 분해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단위 자료는 홍수예측을 위하여 주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대부분의 분해기술은 강우데이터가 추계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기본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형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강우자료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를 각기 다른 해상도로 변환하는데 따른 가중치의 동역학적 거동이 카오스 특성을 보이는지와 카오스적 분해가 가능한지를 비선형의 확정론적 방법(카오스이론)을 이용하여 규명하는 방안을 소개하였다. 우선, 기상청 산하 서울지점을 대상으로 24h-12h, 12h-6h, 6h-3h으로 해상도를 변환하는데 따른 가중치를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가중치 시계열자료의 카오스 특성을 규명하는 데는 상관차원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부분근사화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를 분해하였다. 서울 지점의 모든 해상도 변환에 따른 가중치는 저차원의 상관 차수를 가지는 카오스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분해결과 실제 관측치와 유사한 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높은 상관계수와 작은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임). 또한 강우의 일반적인 경향성(총량, 강우의 발생 시점)은 보존되나 극값의 경우 대부분 과소 추정됨을 알 수 있었다.

확률강우량의 공간분포에 대한 불확실성 해석: CEM과 SGS 기법의 비교 (Uncertainty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Probability Rainfall: Comparison of CEM and SGS Methods)

  • 서영민;여운기;이승윤;지홍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1호
    • /
    • pp.933-9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확률강우량에 대한 공간분포 추정에 있어서 공간변동성에 따른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구통계 학적 추계모의기법인 CEM과 SGS 기법을 비교하였다. CEM과 SGS를 이용한 추계모의에 있어서 공간상관구조의 재생성, 확률강우량에 대한 불확실성 평가측도로서 실현치에 대한 통계치(표준편차, 변동계수, 사분위수 범위 및 범위)의 공간분포, 유역평균강우량의 불확실성 분포의 경우 두 기법이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모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CEM이 SGS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ainfall induced instability of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embankments

  • Roy, Debasis;Chiranjeevi, K.;Singh, Raghvendra;Baidya, Dilip K.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권3호
    • /
    • pp.193-204
    • /
    • 2009
  • A 10.4-m high highway embankment retained behind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walls is under constructio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Indian state of Bihar.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with compacted, micaceous, grey, silty sand, reinforced with polyester (PET) geogrids, and faced with reinforced cement concrete fascia panels. The connections between the fascia panels and the geogrids failed on several occasions during the monsoon seasons of 2007 and 2008 following episodes of heavy rainfall, when the embankment was still under construction. However, during these incidents the MSE embankment itself remained by and large stable and the collateral damages were minimal. The observational data during these incidents present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nd calibrate a simple procedure for estimating rainfall induced pore water pressure development within MSE embankments constructed with backfill materials that do not allow unimpeded seepage. A simple analytical finite element model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The modeling results were found to agree with the observational and meteorological records from the site. Thes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threshold rainwater infiltration flux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pore water pressure within an MSE embankment is a monotonically increasing func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backfill. Specifically for the MSE embankment upon which this study is based, the analyt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stabilities could have been avoided by having in place a chimney drain immediately behind the fascia pa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