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 Condition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3초

초기 함수량을 고려한 침투 모형의 유도 (Derivation of an Infiltration Model at the Non-Zero Initial Moisture Condition)

  • 박햇님;조원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85-294
    • /
    • 2002
  • 침투는 수문 순환에서 물의 분배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며, 이에 대해 다양한 이론들과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나 이들은 주로 침투능보다 큰 강우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하였다. Diskin과 Nazimov (1975, 1996)의 연구에서는 두 개의 요소로 구성된 개념적 침투 모형을 제시하여 단순히 시간의 함수로서 침투를 나타내는 것보다 합리적으로 침투 과정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침투 과정에서 초기 함수량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개념적 침투 모형을 개선하였다. 다양한 초기 함수량 조건에 대해 침투능 곡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본 모형에 의해 보다 합리적으로 침투 과정에 접근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토양형에 대해 호우 사상-수막 시간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 침투 과정에 대한 본 모형의 적용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화강풍화암 및 풍화토층 지역 깍기 비탈면의 안정성 검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of a Cutting Slope Composed of Weathered Granite and Soil)

  • 한공창;류동우;천대성;홍은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4호
    • /
    • pp.289-299
    • /
    • 2008
  • 화강풍화암 및 풍화토층 깍기 비탈면의 붕괴 원인 분석을 위해 수행한 안정성 검토 사례를 통해 화강암을 모암으로 하는 지역에 폭넓게 분포하는 화강풍화암 및 풍화토 깍기 비탈면 설계 시 유념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지질 및 지반 조사를 통한 지반특성 파악하였으며 한계평형해석 및 수치해석을 통한 안전율 검토, 강우 및 파괴 이력 비교 분석 등 일련의과정을 비탈면 안정성 검토를 위해 수행하였다. 대상 지역 깍기 비탈면의 안정성 검토 결과로서 비탈면의 붕괴 원인은 주로 집중 강우 시 지반조건상 연약한 상부 지반에서의 전단강도 감소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하수 유입 경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비탈면의 안정화를 위한 대책공을 제시하였다.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1.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상태 (Ecological Studies on the Asan Reservoir. 1. Physicochemical chracteristics and Trophic Status)

  • 전상호;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81-186
    • /
    • 2002
  •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1월가지 아산호 19개 정점에서 부영양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수온은 의 $8.3{\sim}35.3{\circ}^C$범위였고 여름철에 수온 약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왔으며 용존산소량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투명도는 0.1~1m의 범위로 매우 낮았으며 SS는 11.3~2143.3mg/l의 범위로 강우량과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 농도는 지천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계절적으로는 녹조현상이 일어난 여름과 초가을에 낮았고 초봄과 겨울에는 높았다. Carlson 의한 부양양화도 (Trophic State Index)를 가지고 판정한 아산호의 영양상태는 과영양 상태이었다.

통계자료에 의한 기상과 산불특성의 관련성 -전라남도지방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Forest Fire Characteristics and Weather Phase in Jeollanam-do Region)

  • 이시영;박흥석;김영웅;윤화영;김종갑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29-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변화와 산불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상요소와 산불 발생자료 (시간, 원인)를 분석한 결과, 최고온도 상승과 상대습도 감소로 인해 산불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기후조건이 형성되었으며, 산불은 최고기온 $10{\sim}20^{\circ}C$에서, 상대습도 40~60% 에서, 평균풍속 2 m/s이하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기상조건은 강우 후에 2~3일이면 산불발생 위험이 높은 기상조건이 형성되었다.

한국형 부영양화지수를 이용한 소옥천 유역의 부영양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SoOak River Watershed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 박재범;갈병석;이철구;홍선화;최무진;서희승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0-337
    • /
    • 2018
  • 소옥천 유역 내 본류 8개 지점의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_{ko}$)를 산정하고 COD, T-P, Chl-a에 의해 계산된 인자별 $TSI_{ko}$를 이용하여 하천에 대한 환경특성을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소옥천 유역의 경우 수심이 얕고 강우시 비점오염 유입, 하수처리장 방류수 유입, 체류시간 증가 등으로 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연중 중영양 이상의 영양 상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청호 유입 지점인 추소 지점의 경우 수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어 부영양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소옥천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통해 원인분석과 이에 따른 수질개선대책 수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제보와 죽산보에서 남조류 우점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Cyanobacteria Dominance in Baekje Weir and Juksan Weir)

  • 김성진;정세웅;박형석;조영철;이희숙;박연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7-270
    • /
    • 2019
  • Followingthe Four Rivers Project, cyanobacterial blooms have been frequently observed in the upstream of the installed wei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cyanobacteria dominance in Baekje Weir (Geum River) and Juksan Weir (Youngsan River) based on intensive experiments and systematic data mining methods. The factors related to the cyanobacteria dominance include7-days cumulative rainfall (APRCP7), 7-days averaged flow (Q7day), water temperature (Temp), stratification strength (${\Delta}T$), electronic conductivity (EC), DO, pH, $NO_3-N$, $NH_3-N$, TN, TP, $PO_4-P$, Chl-a, Fe, BOD, COD, TOC, and $SiO_2$. The most highly correlatedfactors to the dominant cyanobacteria were found to be EC, Temp, Q7day, $PO_4-P$ in theBaekje Weir. On the other hand, those dominant in the Juksan Weir were ${\Delta}T$, TOC, Temp, EC and TN. The EC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cyanobacteria dominance in both weirs because a high EC represents a persisted low flow condition. The cyanobacteria dominance was as high as 56 % when the EC was equal or greater than $418{\mu}S/cm$ in Baekje Weir. It was as high as 63% when the ${\Delta}T{\geq}2.1^{\circ}C$ in the Juksan Weir. However, nutrients showed a minor correlation with cyanobacteria dominance in both wei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yanobacteria dominate in astate where the water flow rate is low, water temperature is high and thermal stratification is strengthene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flow regimes is the most important to prevent persistent thermal stratification and formation of cyanobacteria bloom in theBaekje and JuksanWeirs.

패턴분류 방법 적용에 의한 장성호 수문·수질자료의 특성파악 (Characteristics Detection of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Data in Jangseong Reservoir by Application of Pattern Classification Method)

  • 박성천;진영훈;노경범;김종오;유호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94-803
    • /
    • 2011
  • Self Organizing Map (SOM) was applied for pattern classification of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data measured at Jangseong Reservoir on a monthly basis.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better data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For the purpose, two SOMs were configured by a methodologically systematic approach with appropriate methods for data transformation, determination of map size and side lengths of the map. The SOMs constructed at the respective measurement stations for water quality data (JSD1 and JSD2) commonly classified the respective datasets into five clusters by Davies-Bouldin Index (DBI). The trained SOMs were fine-tuned by Ward's method of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On the one hand, the patterns with high values of standardized reference vectors for hydrological variables revealed the high possibility of eutrophication by TN or TP in the reservoir,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the clusters with low values of standardized reference vectors for hydrological variables showed the patterns with high COD concentration. In particular, Clsuter1 at JSD1 and Cluster5 at JSD2 represented the worst condition of water quality with high reference vectors for rainfall and storage in the reservoir. Consequently, SOM is applicable to identify the patterns of potential eutrophication in reservoirs according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data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농경지에서 재배작물이 토양미생물활성 및 군집구성에 미치는 영향 (Crop Effects on Soil Microorganism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 백계령;이정태;지삼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79-389
    • /
    • 2021
  • Soil microorganism activity in an agricultural field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climate conditions,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rop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organism activit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factors using the dehydrogenase activity (DHA) value, which is one of the indicators of soil microbial activity. As a result, the various factors noted above were related to the DHA value. Annual rainfall, soil Mg2+, bacterial and fungal diversities, types of crops, developmental stages, seasons, and cultivation statu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DHA value. Furthermore,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at the type of crop affected soil microbial compositions of both bacteria and fungi. Soil used for soybean cultivation showe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Verrucomicrobia, Planctomycetes, and Acidobacteria but Actinobacteria and Firmicutes had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In the case of soil used for potato cultivation, Actinobacteri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but Proteobacteria had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Armatimonadetes showe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in soil used for cabbage cultivation. Among the fungal communities, Mortierellomycot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soybean cultivation but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for cabbage cultivation; further, Rozellomycota, Chytridiomycota, and Cercozo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cabbage cultivation. Basidiomycota had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for potato cultivation but the lowest relative abundance for soybean cultivation.

보리의 수발아정도 및 탈곡방법이 종자활력 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ing Degree and Threshing Method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in Barley)

  • 이은섭;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5-69
    • /
    • 1991
  • 과맥에서 종자활력의 저하요인을 구명하고자 과맥 2계통(피, 과 isogenic line포함) 및 피맥 1품종의 종자의 수발아를 유도하여 손과 기계탈곡(700 rpm ) 한 종자를 이용하였다. 1. 수발아된 종자를 손 탈곡하여 배부분의 손상이 없어서 발아세, 발아율, TTC치은 수발아 정도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나, 출아력은 수발아가 클수록 감소되었다. 2. 수발아된 종자는 기계탈곡시 배의 부분적인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손 탈곡에 비해서 종자활력에 관계된 형질들이 고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고 효소활력은 크게 증가되었다. 3 손 탈곡구에서 수발아 정도는 효소활력 ( r =0.9 31**, 0.951**) 및 발아력 ( r=0.46*)과 정상관이 있었다.

  • PDF

기존보강사면에 대한 위험도 평가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 (New Approach of the Existing Reinforced Slope Risk Evaluation Method)

  • 김상환;김학문;장경준;고동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1-40
    • /
    • 2009
  • 본 연구는 보강된 기존사면에 대한 새로운 사면 위험도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사면 안정성 및 위험도 평가방법들에서 주요 위험도 영향요소로 구분되는 강우, 암종, 배수상태 항목들에 대하여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면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19개의 주요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Hudson(1991)이 제안한 Interaction matrix 개념의 위험도 분석 모델에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기존사면 위험도 평가방법인 SRI(Slope Risk Index)를 제시하였으며 국내 15개소 사면을 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제시한 기존보강사면의 위험도 평가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