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M-ANOV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가변부하 및 탄성부하를 이용한 저항성 기구 운동 시 발현되는 상지근육의 근 활동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uscle Activities for Upper Extremity During Resistance Exercises Using Variable and Elastic Loads)

  • 임영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7-44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and compare EMG activities of the pectoralis major, 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and brachioradialis muscles during biceps curls using a VRT device and an elastic tubing. Fifteen 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s subjects and they performed 10-RM and 20-RM biceps curls. For each load and device condition, the mean and peak normalized EMG levels during different phases of a biceps curl were computed. For each load and phase, paired t-test (p.05) was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devices.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also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hases in terms of EMG values for each muscle. For each load and device condition, the peak and mean EMG levels during different phases of a biceps curl were compu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vices were found in biceps brachii for EA, MD, LD phases, and triceps brachii muscles for all phases, respectively.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phases for any muscle. This indicated that elastic band could have a similar characteristics of VRT. High antagonistic muscle activity as a function of injury prevention which found particularly in VRT device may suggest that elastic tubing can be a safer training device than VRT. This also imply that elastic tubing could be very effective as a home exercise tool for rehabilitation patients and elderly people.

Effect of Difference in Warm-Up Intensity During 75%1RM Bench Press Exercise on Number of Repetitions, Total Work, and RPP

  • Jeong, Hwan Jong;Kim, Ki H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130-13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tensity of warm-up exercise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exercise performance during resistance exercise. For this purpose, 8 male college students with at least 1 year of experience in resistance movement were selected. The warm-up condition was set to NON condition (preparatory exercise not performed), 3 set condition, 6 set condition, and 9 set condition, and the intensity was different for each set. After warm-up, 75% 1RM of main exercise was performed, and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measure RPP.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otal work for each condition were measured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momentum during the main exercise.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As a result,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te Pressure Product according to the warm-up conditions,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otal amount of exercise showed the highest in the 3-set condi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number and intensity of warm-up exercises should be set appropriately during resistance exercise, and warm-up of 3 sets or more during resistance exercise is thought to decrease exercise performance.

일회성 스쿼트 운동 후 40m 달리기 기록의 변화 (Changes in 40m sprint times after acute squat exercise)

  • 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02-3807
    • /
    • 2010
  • 경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많은 체력 요소 중 스피드는 운동 동작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근력 및 근파워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스쿼트 운동은 하지 근파워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잘 알려져 있지만 단거리 선수의 기록 향상을 위한 최적의 운동강도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회성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객관적인 최적의 운동강도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육상 단거리 전국대회출전 경험이 있는 10명의 S고등학교 단거리 달리기 선수들이다. 총 5가지의 스쿼트 운동강도 (최대근력의 0%, 30%, 50%, 70%, 90%)를 설정하였으며, 다른 운동강도에서의 스쿼트 운동을 실시한 후 40m 달리기 기록을 측정하였으며 repeated-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측정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최대근력의 50% ($5.27{\pm}0.13$, p<0.0001) 및 70% ($5.26{\pm}0.15$, p<0.0001) 운동강도에서의 스쿼트 운동은 고등학교 남자 100m 달리기 선수들의 40m 달리기 기록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최대근력의 70%에서 40m 달리기 기록 가장 많이 단축되었다. 따라서 현장의 지도자 및 선수들은 본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준비운동 후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여 단거리 달리기 기록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탁수조건에 따른 피라미 치자어의 생존률 비교 (Comparison of Larval Fish Survival of Pale chub (Zacco platypus) Exposed to Different Levels Turbidity)

  • 문운기;배대열;정명숙;이상돈;김재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14-3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탁수농도에 따라 생물서식지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지수를 활용하여 탁수에 대한 어류영향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에서 우점비율이 가장 높은 피라미를 대상으로 발생단계별로 탁수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발생 초기단계에서는 탁수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게 나타났지만 성체단계에 이르면서 고탁수에 대한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어종에 대한 탁수반응은 어종별 내성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생태 건강성평가와 연계하여 하천의 건강성상태를 결정한 후, 평가등급에 따라 탁수에 대한 농도와 배출 허용기간을 적용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파크골프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Park Golf Participation of Physically Disabled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Happiness)

  • 김동원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187-205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파크골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은 만 40세 이상 남자 지체장애인 총 24명을 실험집단 12명(절단장애 7명, 지체기능장애 5명)과 통제집단 12명(절단장애 6명, 지체기능장애 4명, 관절장애 2명)으로 참여하였다. 실험기간은 12주간으로 주 3회(월, 수, 금), 50분간 실시하였으며, 실험 장소는 A시에 소재한 강변 파크골프장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자료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파크골프 참여가 지체장애인들의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2-way[2] RM AN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파크골프 참여에 따른 두 집단의 심리적 웰빙에서 운동 참여 전과 후 집단 간 비교에서는 즐거움, 몰입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 집단 내에서는 즐거움, 유능감, 자아실현, 몰입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파크골프 참여에 따른 두 집단의 주관적 행복감에서는 운동 참여 전과 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체장애인의 파크골프 참여는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표면법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의 최대토크밀도와 최저토크리플을 위한 최적설계 (Optimum Design Criteria for Maximum Torque Density & Minimum Torque Ripple of Flux Switching Motor using RSM & FEM)

  • 김영현;이중호;김남훈;구본삼;김찬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3호
    • /
    • pp.549-554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optimum design criteria for maximum torque density & minimum torque ripple of Flux Switching Motor (FSM) using RSM & FEM.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find a design solu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orque density and torque ripple according to rotor shape variations. And then, a central composite design(CCD) mixed resolution is introduced,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itted regression model.

복합운동 강도가 기숙형학교 여고생의 신체조성, HOMA-IR 및 HbA1c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tensity of Combine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OMA-IR and HbA1c of Female Students of a Boarding High School)

  • 권선옥;정선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4-132
    • /
    • 2010
  • B시 소재 기숙형특목고 K고교 학생 중에서 %fat이 30% 이상인 비만여고생 32명을 3그룹(운동군 2그룹,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1일 65분, 주 3회, 총 8주간 weight training (WT)과 step box training (SBT)을 조합한 복합운동을 A group은 WT 70-80%$RM{\times}3$ sets+SBT (RPE 11-13)${\times}1$ set로, B group은 70-80%$RM{\times}1$ sets+SBT (RPE 11-13)${\times}3$ set로 실시하여 신체조성(soft lean mass, %fat, WHR), HOMA-IR 및 HbA1c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료처리는 집단 내는 paired t-test를, 집단 간은 측정 전 후의 변화율(%diff.)을 이용, one-way ANOVA (Duncan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조성에서, 집단 내의 SLM은 운동군은 증가하였으나 통제군은 변화가 없었고, WHR은 A group은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증가하였다. %fat은 운동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증가하였다. 집단 간의 SLM은 A그룹이 B그룹과 통제군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고, WHR은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고, %fat은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다. HOMA-IR은 집단 내에서는 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다. HbA1c는 집단 내에서는 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통제군은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에서는 A그룹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운동을 할 때 유산소운동 형태보다는 저항운동의 비율을 높여주는 것이 신체조성과 대사관련 인자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복합운동의 강도는 WT의 비중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가 중년여성의 인슐린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and Acaiberry Ingestion on Insulin and Glycated Hemoglobin in Middle-aged Women)

  • 김도진;김종혁;권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17-424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가 인슐린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아사이베리 섭취군, 아사이베리 섭취+복합운동군, 복합운동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운동은 8주 동안 주 3회,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포함한 60분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HRmax 50-60%으로 20분간 트레드밀 걷기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저항운동은 1RM기준 50-60% 강도로 20분간 실시하였다. 아사이베리 섭취는 아침과 저녁 식사 전 5g의 아사이베리 파우더를 물에 녹여 섭취하였다. 자료처리는 아사이베리 섭취군, 아사이베리 섭취+복합운동군, 복합운동군의 비교를 위하여 2-way RGRM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8주간 복합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는 당화혈색소를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향후 보다 장기간의 처치를 하고 섭취량과 섭취방법, 운동강도 등도 철저하게 통제하면서 진행을 한다면 인슐린과 당화혈색소의 보다 명확한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D TV 시청에 있어서 시청 피로 (Visual fatigue in Watching 3 Dimension Television)

  • 윤정호;이익한;김대현;김재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52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장시간 3D TV 시청 경험과 단시간 TV 시청 경과에 따른 시청피로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98명의 성인(여자12 명과 남자86명)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나이는 $33.5{\pm}5.5$세(22세~51세)였다. 대상자는 52인치 2D와 3D LED TV(shutter glasses 방식)를 2.7 m 거리에서 대상자가 주로 착용하는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65분간 2D TV와 3D TV를 각각 시청하게 하였다. 시청피로도 평가를 위해 3D와 2D를 시청하는 동안 11개 항목, 눈의 당김, 눈의 통증, 눈건조, 눈의 따끔거림, 눈물, 눈부심, 흐림, 복시, 눈피로, 두통, 어지럼 등을 0에서 3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시청피로의 평균점수는 3D 시청시작 후 5분, 25분, 45분, 65분에서 각각 $2.08{\pm}2.14$, $3.19{\pm}3.02$, $3.40{\pm}3.37$, $3.53{\pm}3.07 $으로 나타났고, 2D 시청 시작 후는 각각$0.40{\pm}1.03$, $0.22{\pm}0.70$, $0.22{\pm}0.58$, 그리고 $0.17{\pm}0.52$으로 나타났다. 3D TV 시청 시 시청피로가 2D TV 시청 시 피로 보다 전체 영역에서 유의적인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paired t-test, p < 0.001). 3D TV 시청 피로는 65분간 유의적인 수준에서 증가하였으며(RM-ANOVA, p < 0.001), 25분까지는 유의적 수준에서 증가하였고(paired t-test, p < 0.001), 그 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시청경험과 시청피로에 있어서 눈부심, 복시, 흐림, 어지럼은 시청 경험의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NOVA, all F(1, 96) = 4.500, all p <0.05) 다른 증상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1,96) = 0.033, all p >0.05) 결론: 3D TV 시청에 있어서 시청피로는 2D에서 보다 높았으며, 25분까지 증가하였다. 3D 시청 경험과 자각증상 정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자각증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신체활동 중재가 초등학생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스마트폰 게임 참여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Smartphone Game Time in Children)

  • 사석은;김원현;김용근;이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479-486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12주 신체활동 중재가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스마트폰 게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27명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신체활동 중재는 런닝과 줄넘기를 1일 60분, 주당 3회 실시하였고, 운동 강도는 50%에서 시작하여 70%까지 증가시켰다. 집단간 통계적 검증은 이원변량분석(two-way RM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만과 대사증후군 지표, 스마트폰 게임 참여시간에 있어 신체활동 중재에 여부에 따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주 신체활동 중재는 비만을 비롯한 대사증후군에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스마트폰 게임 참여와 같은 부정적인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