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MAC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잔여 에너지 기반 Wake-up 제어 메커니즘 (A Sensor nodes' Residual Energy based Wake-up Control Mechanis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전준헌;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87-192
    • /
    • 2017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 지연 및 에너지 소모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해 해결해야할 문제들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MAC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한하는 방식은 센서 노드의 잔여 에너지에 기반하여 노드의 wake-up 주기를 조절함으로 불필요한 idle listening을 줄여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제안된 제어 메커니즘은 수신자 기반의 MAC 프로토콜 중의 하나인 RI-MAC 프로토콜의 단점을 보안하여 수정하였다. 제안된 제어 메커니즘에서 수신 노드는 주기적으로 wake up하고 노드 자신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서 비콘 신호를 전송한다. 뿐 만 아니라 수신 노드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라서 wake up 주기를 조절한다. 성능분석을 통하여 제안한 MAC 프로토콜이 RI-MAC 프로토콜에 비해 에너지 소모에 대하여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이고 멀티미디어 트래픽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 (Energy Efficient and Multimedia Traffic Friendly MAC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성철;김혜윤;김중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460-1465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 efficient and multimedia traffic friendly MAC protocol (EEMF-MAC) that controls sender's wakeup period based on the data packet's transmission urgency and the receiver's wakeup periods based on the received data packet traffic loads. The protocol is useful for applications such as object tracking, real time data gathering, in which priority-based packet transmission is required. The basic idea of EEMF-MAC is that it uses the priority concept with transmission urgency of sender's data packet to reduce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urgent data and it also uses duty cycling technique in order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EEMF-MAC showed a better performance in energy efficiency and packet transmission delay compared to existing protocols, RI-MAC and EE-RI-MAC.

무선 센서 네트워크 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싱크노드 기반 MAC 프로토콜 (SB-MAC : Energy efficient Sink node Based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전준헌;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77-1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싱크노드 기반의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되는 싱크 노드 기반 MAC 프로토콜(Sink node-Based MAC: SB-MAC)은 송신자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RB (rapid beacon) 프레임이 사용된다. RB 프레임은 IEEE 802.15.4의 비콘 프레임의 수정된 형태이다. RB 프레임에 포함된 전송 노드의 데이터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다른 노드들이 오랫동안 sleep 모드에 머물게 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X-MAC 및 RI-MAC 프로토콜들에 비해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에너지 소모 면에서 더 좋은 성능을 가진다. SB-MAC 프로토콜은 하나의 싱크노드와 다수의 송신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토콜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군 감시 정찰을 위한 저 지연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Low Delay Data Transmission Mechanism for Military Surveillanc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전준헌;이성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55-860
    • /
    • 2017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 절약이다. 그러나 군 정찰, 물체 추적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는 지연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응용에서 센서 노드는 물체가 감지되면 제한된 시간 내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연에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응용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AC 프로토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군 감시 정찰을 위한 저 지연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이다. MAC 프로토콜에서, 수신 노드는 송신 노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두 번째 비콘 프레임을 보낸다. 이 두 번째 비콘 프레임을 사용하여 빠른 hop-to-hop 전송이 가능하다. 성능분석을 통해 제안된 MAC 프로토콜과 RI-MAC 프로토콜을 비교하였고, 제안된 방법이 지연에 더 효율적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신 및 싱크 노드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 (Efficient Mechanism for receiver and sink nod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전준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65-70
    • /
    • 2020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은 싱크 노드 방향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싱크 노드에 가까운 센서 노드들은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데이터 패킷은 전송 지연되거나 손실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alf rotation antenna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half rotation antenna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BRN(backup receiver node)를 사용하여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모할 수 있었고, 네트워크 전체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RI-MAC 프로토콜과 성능 분석을 하였으며, 기존의 RI-MAC 프로토콜에 비해 에너지 소모 및 지연에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적응적인 wakeup 제어 메커니즘 (Traffic Adaptive Wakeup Control Mechanis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혜윤;김성철;전준헌;김중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81-686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ffic adaptive mechanism that controls the receiver's wakeup periods based on the generated traffic amounts. The proposed control mechanism is designed for military, wild animal monitoring, and forest fire surveillance applications. In these environments, a low-rate data transmission is usually required between sensor nodes. However, continuous data is generated when events occur. Therefore, legacy mechanisms are ineffective for these applications. Our control mechanism showed a better performance in energy efficiency compared to the RI-MAC owing to the elimination of the sender node's idle listening.

NS-2에서 IEEE 802.11의 Busy-tone PHY 모듈 설계 및 구현 (Busy-tone PHY Module with IEEE 802.11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NS-2)

  • 유대훈;최웅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89-197
    • /
    • 2008
  • NS-2 시뮬레이터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무선 통신 시뮬레이터이다. IEEE 802.11 모듈이 NS-2로 구현된 이후, 많은 연구원들이 이것을 이용하여 다양한 MAC 계층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에서 성능 상의 이슈로 가장 중요한 문제는 hidden terminal 문제이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을 하기 위해 Busy-tone를 이용하는 BTMA(Busy-tone Multiple Access) DBTMA(Dual Busy-tone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Bust-ton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돌 방지를 위해 데이터 채널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채널이 필요하며 다수개의 채널은 하나의 MAC 계층에서 관리 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버전의 NS-2에서 제공되는 IEEE 802.11 모듈을 이용하여 Busy-tone PHY 모듈을 구현하였고 이 모듈을 적용한 수정된 RI-BTMA를 구현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IEEE 802.11p MAC 프로토콜에서 차량밀도에 따른 적응전송기법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According to Vehicle Density in IEEE 802.11p MAC Protocol)

  • 우리나라;한동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4호
    • /
    • pp.53-58
    • /
    • 2012
  •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는 노변장치와 차량의 통신장치간 정보교환을 통해 차량의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한 노변장치의 통신범위 내의 차량밀도는 시간에 따라 바뀐다. 차량밀도가 높아지면 한 노변장치에서 수집되는 차량정보가 많아지고 패킷의 충돌 확률이 높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밀도에 따라 전송속도 및 전송주기를 변경하여 패킷 수신율을 높이는 IEEE 802.11p 기반 적응 전송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차량 간 통신 프로토콜 표준인 IEEE 802.11p MAC프로토콜을 ns-2.33으로 구한하여 차량밀도의 변화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였다.

멀티-홉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패킷 전송 메커니즘 (Efficient Packet Transmission Mechanism for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 전준헌;김성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2-498
    • /
    • 2015
  • In general, data packets from sensor nodes are transferred to the sink nod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s. So many data packets are gathered around the sink node, resulting in significant packet collision and dela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packet transmission mechanism for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proposed mechanism is composed of two modes. One mode works between sink node and 1-hop nodes from sink. In this mode,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in predefined time slots to reduce collisions. The other mode works between other nodes except sink node. In this mode, duplicated packets from neighbor nodes can be detected and dropped using some control signals. Our numerical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mechanism outperforms X-MAC and RI-MAC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transmission delay.

정제봉독의 MAC-T 세포에서 유단백 합성 촉진효과 (Stimulation of the milk protein production in MAC-T cells by purified bee venom)

  • 한상미;우순옥;김세건;장혜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1-177
    • /
    • 2018
  • Purified bee venom was collected from colonies of honeybees (Apis mellifera L.) using a bee venom collector under sterile conditions and then purified under strict laboratory conditions. Purified bee venom contained $63.9{\pm}5.4%$ melittin, $10.9{\pm}1.6%$ phospholipase A2, and $2.3{\pm}0.3%$ apamin. Purified bee venom has various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immunostimulating effec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purified bee venom which are mammary gland cells, MAC-T cells are used to increase the synthesis of milk protein. Purified bee venom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MAC-T cells at concentrations below $1{\mu}g/mL$, but cytotoxicity at $10{\mu}g/mL$ and above.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the synthesis of ${\beta}-casein$, a milk protein after treatment with MAC-T cells at a concentration of the bee venom without cytotoxicity, the ${\beta}-casein$ content in the cell culture was increased when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 ng/mL or mo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urified bee veno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ovine ${\beta}-casein$ (bCSNB) mRNA, a ${\beta}-casein$ synthesis gene, at a concentration of 1 ng/mL or 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urified bee venom can be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livestock by ultimatel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milk prot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