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NANT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34초

IKONOS 영상을 이용한 천수만 황도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 (Classification of Sedimentary Facies Using IKONOS Image in Hwangdo Tidal Flat, Cheonsu Bay)

  • 유주형;우한준;박찬홍;유홍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2
    • /
    • 2005
  • 천수만 황도 갯벌의 IKONOS 영상을 이용한 표층 퇴적상 분류를 위하여 광학 반사도를 입도, 조류로의 형태, 지잔존수 (surface remnant water)의 면적비와 같은 다양한 퇴적환경 요소들과 비교하였다. IKONOS 영상과 갯벌 내의 소지형별 퇴적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Echo-sounder를 이용하여 갯벌 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만들었다. 펄-혼합 퇴적상과 모래 퇴적상의 경계에서 광학 반사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사주의 구분도 가능하였다. 펄-혼합 퇴적상 지역은 조류로가 매우 복잡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지형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펄과 혼합 퇴적의 경계에서 지표수의 존재 유무가 다르게 나타났으나 광학 반사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모래 퇴적상의 경우 조류로가 단순하게 직선형으로 발달했으며 지형도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지표잔존수가 거의 전 지역을 덮고 있어 광학 반사도가 낮게 나타났다. 최대우도 분류법을 이용한 표층 퇴적상 분류정밀도는 86.2 %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IKONOS와 같은 고해상도 영상에 대해 지표잔존수, 조류로 분포와 지형 등의 갯벌 퇴적학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펄, 혼합 그리고 모래 퇴적상 구분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슬괵건을 이용하여 경골부 잔류 조직을 보존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Quadrupled Hamstring Tendon with Tibial Remnant-preserving Technique)

  • 경희수;오창욱;김풍택;이병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2-98
    • /
    • 2007
  •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 후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경골부 잔류 조직 을 보존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치료받은 35예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2.6개월 이었다. 수상의 원인은 대부분 스포츠와 관련된 외상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 이었다. 경골부 잔류 조직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동안 손상을 입지 않도록 가능한 주의를 기울이며 보존하였다. 수술 후 재활은 신전 제한 보조기로 2주 동안 관절 운동을 연기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일반적 재활과 동일하게 하였다. 임상적 평가에는 운동 범위,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KT-2000 arthrometer로 전방 전위 측정, Lysholm score 및 한 쪽 다리 지지검사(single limb standing test)로 고유수용 감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슬관절의 운동범위는 굴곡 구축 없이 정상이었고 Lachman 검사와 pivot-shift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환측과 건측의 전방전위 차이는 6.7mm에서 2.2 mm로 향상되었다. Lysholm score의 평균은 수술전 81점에서 추시시 96점으로 향상되었다. 고유 수용감각 측정을 위한 한 쪽 다리 지지 검사(single limb standing test)에서는 정상 측 다리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 후 경골부 잔류 조직을 보존하는 재건술은 기계적 수용기와 고유 수용 감각을 보존하고 좋은 기능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되나, 더 많은 증례로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Exploring the Diffuse X-ray Emission of Supernova Remnant Kesteven 69 with XMM-Newton

  • Seo, Kyoung-Ae;Hui, Chung Yue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87-90
    • /
    • 2013
  • We have investigated the X-ray emission from the shock-heated plasma of the Galactic supernova remnant Kesteven 69 with XMM-Newton. Assuming the plasma is at collisional ionization equilibrium, a plasma temperature and a column absorption are found to be kT ~ 0.62 keV and $N_H{\sim}2.85{\times}10^{22}\;cm^{-2}$ respectively by imaging spectroscopy. Together with the deduced emission measure, we place constraints on its Sedov parameters.

Herschel/PACS spectroscopy of the supernova remnant G21.5-0.9

  • 차희찬;안홍준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53.1-53.1
    • /
    • 2020
  • We present Herschel Space Observatory far-IR observations of the supernova remnant(SNR) G21.5-0.9. We search PACS-IFU data for 63um [O I], 88um [O III], 157um [C II] emission lines and detect the [O II] and the [C II]. We then produce emission line maps to check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ements. We compare the maps to Radio, IR-photometrics, and X-ray images in order to understand interaction of the ejecta with the Pulsar Wind Nebula(PWN)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SNR.

  • PDF

잔여 조직을 보존한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보강재건술 (Single Bundle PCL Reconstruction with Remnant Preservation)

  • 이동철;김원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1
    • /
    • 2011
  • 후방십자인대 파열의 최선의 치료법은 논쟁의 대상이며,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고려해야할 사항들로는 경골 고정방법(transtibial vs inlay), 대퇴터널의 위치(central, eccentric or isometric), 재건다발의 수(single-bundle vs double-bundle)등이 있다. 후방십자인대는 중슬부 동맥의 분지와 가깝게 위치하고, 두꺼운 활액막에 싸여있어 손상시 전방십자인대보다 자연 치유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이식물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터널 위치 선정을 위한 인대 부착부를 잘 보기 위해 남아 있는 후방십자인대 잔여 조직을 모두 제거한다. 그러나 잔여 조직을 보존하면 슬관절 후방 안정성에 기여하며, 이식물 치유를 빠르게 하고, 잔여 인대에 남아 있는 기계 수용체의 고유 수용 감각 기능을 살리게 된다. 수술 술기의 어려움과 터널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는 이중 다발 재건술에 비해, 대퇴부 인대 부착부를 보전하기 쉽고 합병증이 적은 단일 다발 재건술을 이용한 잔여 조직을 보존한 보강법이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Remnant Stomach after Subtotal Gastrectomy

  • Chang, Yeon Soo;Kim, Min Sung;Kim, Dong Hee;Park, Seulkee;You, Ji Young;Han, Joon Kil;Kim, Seong Hwan;Lee, Ho J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2호
    • /
    • pp.120-124
    • /
    • 2016
  •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SCC) of the stomach is a very rare disease. However, the pathogenesi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gastric SCC are controversial and remain to be elucidated. Herein, we report a case of primary gastric SCC of the remnant stomach after subtotal gastrectomy. A 65-year-old 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epigastric discomfort and dizziness. He had undergone subtotal gastrectomy 40 years previously for gastric ulcer perforation. Endoscopy revealed a normal esophagus and a large mass in the remnant stomach.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enhanced wall thickening of the anastomotic site and suspected metachronous gastric cancer. Endoscopic biopsy revealed SCC. 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with Roux-en-Y esophagojejunostomy. A 10-cm tumor was located at the remnant stomach just proximal to the previous area of anastomosis. 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well-differentiated SCC extended into the subserosa without lymph node involvement (T3N0M0). The patient received adjuvant systemic chemotherapy with 6 cycles of 5-FU and cisplatin regimen, and he is still alive at the 54-month follow-up. According to the treatment principles of gastric cancer, early detection and radical surgical resection can improve the prognosis.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Remnant Gastric Cancer after Distal Partial Gastrectomy: Experience of Single Center during 15 Years

  • Choi, Seung-Hui;Kim, Tae-Gyun;Kim, June-Young;Hur, Hoon;Han, Sang-Uk;Cho, Yong-Kwan;Kim, Myung-Woo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2호
    • /
    • pp.63-68
    • /
    • 2010
  • Purpose: Remnant gastric cancer (RGC) are generally detected at advanced stages or infiltration of adjacent organ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gical outcomes and clinicopathologic results of remnant gastric cancers that have operated during fourteen years in one institution of Korea. Materials and Methods: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RGC at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5 to October 2009 were enrolled. We analyzed the features of previous operation, and according to these results, surgical outcomes and clinicopathologic results for RGC were analyzed. Results: Of 34 patients, 20 patients had previously undergone distal gastrectomy for malignant disease, and 14 patients for benign disease. The period between previous operation and surgery for RGC in the patients underwent operation for malignant disease was shorter than that in benign patients (P<0.001). In surgical field, 31 patients (91.0%) were resected and curative resection was possible in 23 patients (67.6%). When 31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for RGC were divided into previous malignant and benign disease,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surgical outcomes and patholog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Meanwhile, the patients who recently (after 2005) underwent surgery for RGC showed less advanced stage compared with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before 2004. Conclusions: Resection was possible in the higher proportion (91.0%) of patients diagnosed with RGC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The cause of previous operation did not effect on the surgical outcomes for surgery of RGC. Recent trend of RGC is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early stage gastric cancer. Therefore, surgeons should consider curatively surgical resection for RGC the regardless of pattern of previous operation.

한약추출박 시용이 배초향(Agastache rugosa O. Kuntze.)의 주요형질과 전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cinal Herbs Remnant Used as Fertilizer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Agastache rugos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8-144
    • /
    • 2010
  • 최근 한약추출박은 배출되는 양이 많아 쓰레기화 되어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한약추출박을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 첩약(貼藥)인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의 한약추출박 성분을 분석하였고, 여기에 배초향을 재배하여 비료로 시용한 후 생육특성과 전초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약추출박의 분석 성분 중 유기물은 89.6%가 함유되어 있었고, 염분은 0.1%로 약초의 생장에 지장이 없는 공정규격(1.0%)이하의 범위였다. 약초의 생장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료 3요소 중 질소는 2.8%가 함유되어 있었고, 인산은 0.6%, 그리고 칼륨은 0.5%가 함유되어 있었다. 미량성분으로 식물체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성분은 아연과 구리 등이 함유되어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한약추출박 성분은 유기물과 질소, 인산, 가리, 미량요소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유기질 비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한약추출박의 시용에 따른 배초향의 생육은 한약추출박 시용이 무시용보다 초장과 경직경이 크고, 엽수와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양호 하였고, 수량도 전초 1주중이 무거워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한약추출박의 시용농도는 30~50 g의 시용에서 효과가 인정되었으므로 추출박 30 g의 농도가 적정 시용 농도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약추출박은 배초향과 같은 전초이용 약초에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Characteristics of Metachronous Remnant Gastric Cancer After Proximal Gastrectomy: A Retrospective Analysis

  • Kenichi Ishizu;Tsutomu Hayashi;Rei Ogawa;Masashi Nishino;Ryota Sakon;Takeyuki Wada;Sho Otsuki;Yukinori Yamagata ;Hitoshi Katai;Yoshiyuki Matsui;Takaki Yoshikaw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4권3호
    • /
    • pp.280-290
    • /
    • 2024
  • Purpose: Despite annual endoscopy, patients with metachronous remnant gastric cancer (MRGC) following proximal gastrectomy (PG) are at times ineligible for endoscopic resection (ER).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linical risk factors for ER inapplic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203 patients who underwent PG for cT1 gastric cancer between 2006 and 2015. The remnant stomach was categorized as a pseudofornix, corpus, or antrum. Results: Thirty-two MRGCs were identified in the 29 patients. Twenty MRGCs were classified as ER (ER group, 62.5%), whereas 12 were not (non-ER group, 37.5%). MRGCs were located in the pseudo-fornix in 1, corpus in 5, and antrum in 14 in the ER group, and in the pseudofornix in 6, corpus in 4, and antrum in 2 in the non-ER group (P=0.019).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seudo-fornix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non-ER (P=0.014). In the non-ER group, MRGCs at the pseudo-fornix (n=6) had more frequent undifferentiated-type histology (4/6 vs. 0/6), deeper (≥pT1b2; 6/6 vs. 2/6) and nodal metastasis (3/6 vs. 0/6) than non-pseudo-fornix lesions (n=6). We examined the visibility of the region developing MRGC on an annual follow-up endoscopy one year before MRGC detection. In seven lesions at the pseudofornix, visibility was only secured in two (28.6%) because of food residues. Of the 25 lesions in the non-pseudo-fornix, visibility was secured in 21 lesions (84%; P=0.010). Conclusions: Endoscopic visibility increases the chances of ER applicability. Special preparation is required to ensure the complete clearance of food residues in the pseudo-fornix.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잔류 조직 보존술이 이식 인대의 활막화(synovialization)에 미치는 영향 - 2차 관절경 소견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 Tibial Remnant Preservation Technique on the Synovialization of the Graft Tendon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Based on the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

  • 안길영;남일현;문기혁;이영현;최성필;유종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7
    • /
    • 2013
  •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때 경골 부착 부위의 잔류 조직 보존 방법이 이식 인대의 활막화에 미치는 영향을 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의 급성 파열에 대하여, 4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대퇴 부 흡수못 형태인 RigidFix$^{(R)}$을 사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63예 중, 술후 1년 이후에 금속 나사못 제거를 시행 할 때에 2차 관절경 수술로 이식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파열된 전방십자인대의 경골 부착부에서 파열 인대의 잔류 조직이 5 mm 이하로 남은 경우를 1군(5예), 6-10 mm사이에 남은 경우를 2군(8예), 11 mm 이상 남아있는 경우를 3군(6예)로 나누었다. 술후 1년에서 2년 사이에 시행한 2차 관절경 소견에서 이식 인대에 활액막이 덮힌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2차 관절경 수술에서 활막화(synovialization)된 정도는 1군에서 평균 55.4%, 2군에서 평균 77.9%, 3군에서는 평균 89.7%이었다.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점수는 술전 평균 74.2점과 7.3점에서 최종 추시 때에 94.1점과 8.5점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때에 전방십자인대의 경골 부착 부위에 파열된 인대의 잔류 조직을 많이 남겨 둘수록 이식건의 활막화 면적(비율)이 넓어짐을 확인하였고, 남겨둔 조직의 양과 활막화 면적은 비례 하였다. 이는 이식건의 생착과 고유 감각기능의 보존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