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 Tibial Remnant Preservation Technique on the Synovialization of the Graft Tendon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Based on the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잔류 조직 보존술이 이식 인대의 활막화(synovialization)에 미치는 영향 - 2차 관절경 소견을 중심으로 -

  • Ahn, Gil Ye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Nam, Il 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Moon, Gi 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Lee, Yeong 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Choi, Seong Pi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Yoo, Jong Ye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안길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남일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문기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이영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최성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유종연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2.07.02
  • Accepted : 2012.08.1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servation of the tibial remnant on the synovialization of graft tendon after the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based on the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May 2012, among sixty three patients having ACL reconstruction with the four-strand hamstring using a bioabsorbable cross pin (RigidFix$^{(R)}$) for the femoral tunnel, nineteen patients who had second look arthroscopy were analyzed. We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ibial remnant of the torn ACL for arthroscopic findings. Group 1 had less than 5 mm of a remnant tissue, Group 2 had from 6 mm to 10 mm of it, and Group 3 had more than 11 mm. We estimated the percentage of synovial coverage on the graft tendon during second look arthroscopy. We evaluated Lysholm score and Tegner activity score preoperatively and in the last follow-up. Results: At the time of ACL reconstruction, the mean length of preserved tibial remnant of torn ACL was 2.3 mm in Group 1, 7.4 mm in Group 2, and 13.7 mm in Group 3. In the second look arthroscopy, the average percentage of synovial coverage was 55.4% in Group 1, and 77.9% in Group 2, and 89.7% in Group 3. Lysholm score and Tegner activity score improved from 74.2 and 7.3 preoperatively to 94.1 and 8.5 in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The preservation of tibial remnant of torn ACL influenced the synovial coverage of the graft tendon and the volume of preserved remnant in accordance with the surface of synovial coverage. It would have a good effect on graft healing and preservation of proprioceptive function.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때 경골 부착 부위의 잔류 조직 보존 방법이 이식 인대의 활막화에 미치는 영향을 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의 급성 파열에 대하여, 4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대퇴 부 흡수못 형태인 RigidFix$^{(R)}$을 사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63예 중, 술후 1년 이후에 금속 나사못 제거를 시행 할 때에 2차 관절경 수술로 이식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파열된 전방십자인대의 경골 부착부에서 파열 인대의 잔류 조직이 5 mm 이하로 남은 경우를 1군(5예), 6-10 mm사이에 남은 경우를 2군(8예), 11 mm 이상 남아있는 경우를 3군(6예)로 나누었다. 술후 1년에서 2년 사이에 시행한 2차 관절경 소견에서 이식 인대에 활액막이 덮힌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2차 관절경 수술에서 활막화(synovialization)된 정도는 1군에서 평균 55.4%, 2군에서 평균 77.9%, 3군에서는 평균 89.7%이었다.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점수는 술전 평균 74.2점과 7.3점에서 최종 추시 때에 94.1점과 8.5점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때에 전방십자인대의 경골 부착 부위에 파열된 인대의 잔류 조직을 많이 남겨 둘수록 이식건의 활막화 면적(비율)이 넓어짐을 확인하였고, 남겨둔 조직의 양과 활막화 면적은 비례 하였다. 이는 이식건의 생착과 고유 감각기능의 보존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