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3초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지역의 양서.파충류상 (Herpetofauna of Kojedo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1-388
    • /
    • 1999
  • 1998년 5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중 거제도 일대에서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9종, 파충류는 1목 3과 9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주왕산 설악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도롱뇽, 두꺼비,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 살모사와 까치살모사 등 9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를 관찰 및 탐문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1개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는데 국립공원구역에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세정관 상피의 분화와 정자변태 (Differentiation of Seminiferous Epithelium and Spermiogenesis in the Testis of Rana catesbeiana)

  • 고송향;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43-156
    • /
    • 2001
  • 본 연구는 황소개구리의 정소내 생식세포분화 단계와 정자변태과정중의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황소개구리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는 제1정원세포, 제2정원세포, 제1정모세포, 제2정모세포 및 정자세포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들 생식세포의 분화단계는 세포의 형태적 특정을 기초로 하여 총 8단계로 구분되어졌다. 제1정원세포를 제외한 정모세포발생 단계에서부터 이탈 전까지의 정자세포는 정낭내에 존재하고 있었다. 정자변태과정은 3단계로 구분되어졌다. 성숙기의 정자의 첨체는 낭상이고, 두부의 모양은 양끝이 가는 원통형이었으며, 꼬리는 단지 축사로만 구성되어져 있었다.

  • PDF

개체발생에 따른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위장관에서 neurotensin, pancreatic polypeptide 및 gastrin/cholecystokinin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neurotensin-, pancreatic polypeptide- and gastrin/cholecystokin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bullfrog, Rana catesbeiana during developmental stages)

  • 이형식;구세광;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6
    • /
    • 1999
  •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the neurotensin-, pancreatic polypeptide(PP)- and gastrin/cholecystokinin(Gas/CCK)-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bullfrog(Rana catesbeiana) with developmental stages, group of bullfrogs subdivided into the tadpole with hindlegs, metamorphosed bullfrog with tail, 2 weeks after metamorphosed bullfrog and adult bullfrog, were stain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PAP methods). Neurotensin-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from the pylorus of the metamorphosed bullfrog with tail, but these cells were not detected after that periods. PP-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from the adult bullfrog in the pylorus, duodenum and ileum. These cells were most predominant in the pylorus. Gas/CCK-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from the adult bullfrog in the pylorus. According to these results, most of 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bullfrog were appeared after the complete metamorphosed periods, in which the complete differentiation of structure of gastrointestinal tract were occurred, and variable change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with developmental stages were observed.

  • PDF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ix Korean Rana Species (Amphibia; Ranidae) Based o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 Lee, Jung-Eun;Yang, Suh-Yung;Lee, Hei-Y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2호
    • /
    • pp.117-121
    • /
    • 2000
  •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ix species of the genus Rana from Korea were investigated by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1143 bp). Based on Kimura-2-parameter distance, the interspecific sequence differences of cytochrome b gene within the genus Rana were ranged from 7.83% to 25.00%. The genetic distances were 7.83% between R. nigromaculata and R. plancyi, 8.47% between two types of R. rugosa (type A and B), 10.42% between the brown frogs (R. amurensis and R. dybowskii), 16.11% between R. dybowskii types 1 and 2 and 12.36% between pond frogs (R. nigromaculata and R. plancyi) and R. catesbeiana. In the neighbor-joining and parsimony trees, R. catesbeiana was more closely related to pond frogs than brown frogs. R. dybowskii types 1 and 2 were considered to be at a distinct and specific level of differentiation (16.11%), while two types of R. rugosa were suspected to be at a subspecific level (8.47%).

  • PDF

동면전, 중, 후 및 활동기에서의 Rana amurensis의 Enterochromaffin Cell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erochromaffin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Mucosae of Rana amurensis during Pre-hibernating, Hibernating, Post-hibernating and Active Period)

  • 김창환;정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8
    • /
    • 1973
  • 동면전, 중, 후 및 활동기 동안 조선산개구리(Rana amurensis coreana Okada)의 위장관 점막내에 출현하는 enterochromaffin cell의 내분비성 분비과립의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활동기 및 동면전, 중, 후기의 위장관 점막상피 내 enterochromaffin cell의 출현비율은 1: 1.5 :0.36 : 0.9로서 본 세포의 수는 활동기군에 비하여 동면전기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동면 중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활동기 및 동면전기군의 EC cell은 대체로 그 세포질내에 분비과립이 차있는 다과립성 및 중자등과립성 세포가 대다수였으나 동면중기 및 후기군에서는 희과립세포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3. EC cell의 형태학적 변화는 다른 신진대사 특히 내분비적 활성의 약화로 야기되는 생체의 적응현상에서 온 결과라고 추측된다.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V. 한국산 개구리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고정식;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1973
  • Cellulose acetate strip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 동물 6종에서 각 장기별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LDH isozyme은 포유류와 조류의 그것과는 달리 뇌와 골격근의 isozyme형이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과에 따른 LDH isozyme의 특징은, 무당개구리는 5개의 isozyme이 모두 나타났으며 두꺼비과의 물두꺼비는 5개의 isozyme이 나타났으나 무당개구리에 비하여 이동속도가 빠르고, isozyme사이의 간격이 조밀하다. 개구리과의 개구리, 금개구리, 옴개구리 및 산개구리에서는 2개 내지 4개의 isozyme만이 나타났다. 개구리목의 LDH 와 M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과 사이의 특징도 아울러 살필 수 있다.

  • PDF

First detection of ranavirus in a wild population of Dybowski's brown frog (Rana dybowskii) in South Korea

  • Park, Jaejin;Grajal-Puche, Alejandro;Roh, Nam-Ho;Park, Il-Kook;Ra, Nam-Yong;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1호
    • /
    • pp.10-16
    • /
    • 2021
  • Background: Ranavirus is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which has been linked to mass mortality events in various amphibian species. In this study, we document the first mass mortality event of an adult population of Dybowski's brown frogs (Rana dybowskii), in 2017, within a mountain valley in South Korea. Results: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ranavirus from all collected frogs (n = 22) via PCR and obtained the 500 bp major capsid protein (MCP) sequence from 13 individuals. The identified MCP sequence highly resembled Frog virus 3 (FV3) and was the same haplotype of a previously identified viral sequence collected from Huanren brown frog (R. huanrenensis) tadpoles in South Korea. Human habitat alteration, by recent erosion control works, may be partially responsible for this mass mortality event. Conclusion: We document the first mass mortality event in a wild Korean population of R. dybowskii. We also suggest, to determine if ranavirus infection is a threat to amphibians, government officials and researchers should develop continuous, country-wide, ranavirus monitoring programs of Korean amphibian populations.

In Vitro Ovulation and Prostaglandin Synthesis by Ovarian Follicles of Rana dybowskii

  • Kong, Hye-Young;Chang, Kyung-Ja;Im, Wook-Bin;Kwon, Hyuk-Ba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4호
    • /
    • pp.385-391
    • /
    • 1999
  • Changes in the levels of prostaglandian F$_{2a}$ (PGF$_{2a}$) and E$_2$ (PGE$_2$) in culture medium during in vitro ovulation of Rana dybowskii follicles were examined. The ovulation was induced by frog pituitary homogenate (FPH) or TPA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a protein kinase activator) and the levels of PG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When the ovarian follicles were cultured, only a few oocytes were ovulated by 12 h, but half of them were ovulated by 24 h in response to FPH, whereas around 30% of oocytes were ovulated by 12 h and maximum ovulation (around 50%) occurred by 24 h in response to TPA. Without any stimulation (control), no ovulation occurred. TPA elevated the level of PGF$_{2a}$ to high levels when compared to control (basal levels), but the increase by FPH was less evident. Likewise, the levels of PGE$_2$ increased markedly in response to TPA, but rather decreased by FPH treatment. Interestingly, PGF$_{2a}$ induced ovulation but PGE$_2$ suppressed FPH- or PGF$_{2a}$-induced oocyte ovulation. Basal levels of PGs Increased steadily during culture. When theca/epithelium (THEP) layer and granulosa cell-enclosed oocytes (GCEOs) were separated by microdissection and cultured independently, higher levels of both PGs were secreted by THEP than by GCEOS. Synthesis of PGs by follicle or follicular components was strongly suppressed by exogenous cAMP or indometha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1) PGF$_{2a}$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na ovulation, 2) protein kinase C is involved in PGs production, and 3) thecal epithelium layer is responsible for the PGs production in Rana.

  • PDF

먹이 종류에 따른 금개구리 (Rana plancyi chosenica)유생의 성장 (Growth of Golden Frog Larvae, Rana plzancyi chosenica by Different Food Types)

  • 라남용;이정현;박대식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8-15
    • /
    • 2007
  • 본 연구는 금개구리(Rana plancyi chosenica)유생의 성장에 효율적인 먹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네가지 형의 먹이를 공급하고 그에 따른 성장을 비교한 것이다. 금개구리 유생에게 식물성 먹이를 공급한 군과 식물성과 동물성 배합 먹이를 공급한 실험군이 습지에서 수거한 유기물과 식물성 먹이 만을 공급한 대조군보다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나아가, 식물성과 동물성 먹이를 혼합하여 공급한 먹이군이 순수하게 식물성 먹이 만을 공급한 실험군보다 더 높은 성장을 보였다. 식물성먹이에 동물성 먹이로서 열대어 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군의 유생들이 대조군이나, 식물성 먹이 실험군, 식물성에 뱀장어 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군 모두에 비하여 빠른 시간 안에 변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성 먹이와 동물성 먹이를 적절하게 배합한 먹이가 금개구리 유생의 빠른 성장과 변태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정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icular Cycle of Korean Brown Frog (Rana coreana))

  • 신정민;고선근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53-158
    • /
    • 2014
  •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의 정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수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 (GSI)와 정소 내 생식세포의 변화를 연중 조사하였다. 정소의 세정관내 정자형성은 8월부터 시작되어져 9월의 정소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 시기에 GSI의 값이 가장 컸고 세정관의 단면적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2월의 정소에서는 정자배출 후 단계의 세정관들이 출현하였으며 이후 3월~7월까지 일정기간동안 정자형성이 정지되었고 GSI와 세정관의 단면적도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들로 보아 한국산개구리 수컷의 GSI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유의하게 변화했고 정자형성과정이 불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정소주기를 나타내며 번식기는 2월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