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DARSAT 영상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Improved Water Area Classification from Radarsat SAR Image and Surface Informations in Mountainious Area (RADARSAT 위성영상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수계지역 추출 정확도 향상)

  • 손홍규;유환희;송영선;장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96-601
    • /
    • 2003
  • 위성영상으로부터 수계영역을 분류하는 일은 홍수관련 분석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발생시 취득된 RADARSAT 영상을 이용해서 산악지역의 수계영역의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SAR 영상은 능동적 영상취득을 수행하므로 광학영상에 비해서 수계영역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지형의 기복에 따른 여러 가지 왜곡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RADARSAT 영상으로부터 수계영역의 분류를 위해 방사보정, 그림자 효과제거, 고도자료 및 경사도 자료의 활용 등의 경우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RADARSAT 영상만을 활용할 경우 분류의 정확도에 한계를 보였으며, RADARSAT 영상에 지형정보를 추가로 활용함으로서 정확한 수계영역을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RADARSAT 영상과 경사도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여 수계지역을 분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Extraction Methods of Flood Inundated Area Using RADASAT and Landsat TM Images (RADARSAT 영상과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침수 지역 추출 방법 비교분석)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2-137
    • /
    • 2005
  • 재해분야에 인공위성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영상과 RADARSAT 영상을 이용하여 안성천유역을 대상으로 침수지역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Landsat 영상은 침수 전과 후의 영상을 각각 선정하였으며 RADARSAT 영상은 침수 중과 침수 후 의 영상을 선정하였다. 각 영상에 대하여 전처리와 기하보정을 걸친 후 침수지역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토지피복분류 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중 Landsat 영상은 분광반사계를 이용하여 감독분류를 실시하였고, RADARSAT 영상은 무감독 분류를 실시하여 침수 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orest fire detection in Kangwon Province using RADARSAT-1 SAR data (RADARSAT-1 SAR 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지역 관측)

  • Kim, Sang-Wa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09-313
    • /
    • 2009
  • 산불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주요한 재해현상 중 하나이다. 산불 감시나 산불에 의한 피해지역의 효과적인 관측은 피해 지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피해 복구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광학 위성 자료를 활용한 산불 피해지역 탐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불에 의한 연기 또는 구름 분포에 의해 종종 사용상에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4월 강원도 고성, 강릉, 삼척, 물진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을 연구 대상지역으로 하여, 1998년-2000년 동안 획득된 RADARSAT-1 SAR 영상을 이용하여 산불 피해 지역 감시의 활용성을 연구하였다. 산불에 의한 산림 피해지역 관측을 위해 RADARSAT-1 SAR 영상의 후방산란관의 변화를 통한 변환 탐지를 수행하였다. 산불 피해지역에서 산불 전에 비해 산불 후에 획득된 RADARSAT-1 SAR 영상의 후방산란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RADARSAT-1 SAR 영상으로부터 관측된 산불 피해 지역은 Landsat-7 ETM 자료와 현장 조사 자료에 의한 산불 피해 지역과 매우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 PDF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the SAR Processor for Radarsat-1 (Radarsat-1 SAR 신호처리 S/W 개발 및 검증)

  • Koh Bo-Yeon;Kim Man-Jo;Lee Seok-H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1 no.6
    • /
    • pp.483-491
    • /
    • 2005
  • SAR signal processing technique has been considered a crucial technical part in order to generate an image from radar signal data and ADD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has focused on this area for years to develope our own SAR Processor for various SAR systems (Radarsat, ERS, KOMSA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major techniques related to generation of SAR images and developed ASPR (ADD SAR Processor for Radarsat) practically using the commercial Radarsat-1 radar signal data (RAW). We demonstrated the performance of the ASPR in comparison with the image generated by MDA and Vexcel's SAR Processor (FOCUS).

Accurate Classification of Water Area with Fusion of RADARSAT and SPOT Satellite Imagery (RADARSAT 위성영상과 SPOT 위성영상의 영상융합을 이용한 수계영역 분류정확도 향상)

  • 손홍규;송영선;박정환;유환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77-281
    • /
    • 2003
  • We fused RADARSAT image and SPOT panchromatic image by wavelet transform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on the water area. Fused image in water not only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 of SAR image (low pixel value)but also had boundary information improved. This leads to accurate method to classify water areas.

  • PDF

A Study on Geometric Correction Method for RADARSAT-1 SAR Satellite Images Acquired by Same Satellite Orbit (동일궤도 다중 RADARSAT-1 SAR 위성영상의 기하보정방법에 관한 연구)

  • Song, Yeo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6
    • /
    • pp.605-612
    • /
    • 2010
  • Numberous satellites have monitored the Earth in order to detect changes in a large area. These satellites provide orbit information such as ephemeris data, RPC coefficients and etc. besides image data. If we can use such orbit data afforded by satellite, we can reduce the number of control point for geo-referencing. This paper shows the efficient geometric correction method of strip-satellite RADARSAT-l SAR images acquired by same orbit using ephemeris data, single control point and virtual control points. For accuracy analysis of proposed method, this paper compared the image geometrically corrected by the proposed method to the image corrected by ERDAS Imagine.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Flood Inundated Scar of Rural Small Stream Area Using RADARSAT SAR Images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농촌지역 소하천주변의 침수피해지역 추정 연구)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39-144
    • /
    • 2006
  • 농촌지역 소하천 주변의 홍수범람지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우와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홍수기간의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RADARSAT 영상을 이용하였다. 대상 지역인 안성천유역의 1998년 9월 홍수시기에 대해서 홍수 전, 직후 그리고 후, 세시기의 RADARSAT 영상을 사용하였다. 5m DEM을 이용하여 정사보정을 한 후 RGB 합성방법과 ratio 방법을 적용하여 성환천과 학성천 합류지점에서 침수지역을 발견하였다. 침수지역은 두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하천의 통수능력을 상실하여 범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Flood Inundated Scar of Rural Small Stream Area Using RADARSAT SAR Images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농촌지역 소하천주변의 침수피해지역 추정 연구)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1 s.172
    • /
    • pp.969-9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flood inundation area around rural small stream by using RADARSAT image because it has the ability of acquiring data during storm period irrespective of rain and cloud. For the storm August 9, 1998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three RADARSAT images before, just after and after the storm were used. After ortho-rectification using 5 m DEM, two methods of RGB composition and ratio were tried and found the inundated area in the tributary stream, the Seonghwan-cheon and the Hakjeong-cheon. The inundated area had occurred at the joint area of two streams, thus the floodwater overflowed bounding discharge capacity of the stream. The progression of damage areas were stopped by the local road and farm road along the paddy. The result can be used to acquire the flood inundation data scattered as a small scale in rural area.

Radiometric Slope Correction for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Accuracy in Radarsat SAR Imagery (분류정확도 향상을 위한 RADARSAT SAR 영상의 방사왜곡보정)

  • 손홍규;송영선;유환희;정원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95-199
    • /
    • 2002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은 경사촬영을 수행하므로 지형의 기복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SAR영상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정보들을 추출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지형의 기복에 따른 여러 가지 왜곡들을 보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하여 궤도모델링, 정사보정을 수행하고 역산란계수, 국부입사각 계산 등을 통해 지형기복에 따른 방사왜곡보정을 수행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Geocoding Methods for Radarsat Image - According to the DEM Resolutions - (Radarsat 영상의 기하보정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 DEM 해상도에 따라 -)

  • 한동엽;박민호;김용일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4 no.1
    • /
    • pp.69-82
    • /
    • 1998
  • SAR imagery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lectro-optical sensor imagery and provide us Information which plays a supplementary role. But it is necessary to remove a variety of geometric errors in SAR imagery. An accurate geometric correction of SAR imagery is not easy task to achieve, though some techniques and theories are introduced. We also have difficulties such as transformation problem between 'International' ellipsoid in Radarsat system and 'Bessel' ellipsoid. Two widely used correction method, one is made by simulated image, and the other by collinearity equation, usually use DEM. In this study, the merits and demerits of geocoding methods respectively and the effective method for Korean terrain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