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388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소수성 및 친수성 담체를 이용한 Trickling Bed Biofilter의 생물학적 수소생산 (The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in Trickling Bed Biofilter Filled with Hydrophilic-and Hydrophobic-Media)

  • 전병승;이선미;김용환;구만복;채희정;상병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379-388
    • /
    • 2006
  • Two mesophilic trickling bed bioreactors fill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media, hydrophilic- and hydrophobic-cube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for hydrogen production under the anaerobic fermentation of sucrose. Each bioreactor consisted of the column packed with polymeric cubes and inoculated with heat-treated sludge obtained from anaerobic digestion tank. A defined medium containing sucrose was fed by the different hydraulic retention time(HRT), and recycle rate. Hydrogen concentrations in gas-phase were constant, averaging 40% of biogas throughout the operation. Hydrogen production rate was increased till $10.5\;L{\cdot}h^{-1}{\cdot}L^{-1}$ of bioreactor when influent sucrose concentrations and recycle rates were varied. At the same time, the hydrogen production rate with hydrophobic media application was higher than its hydrophilic media application. No methane was detected when the reactor was under a normal operation. The major fermentation by-products in the liquid effluent of the both trickling biofilters were acetate, butyrate and lactate. In order to run in the long term operation of both reactor filled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media, biofilm accumulation on hydrophilic media and biogas produced should be controlled through some process such as periodical backwashing or gas-purging. Four sample were collected from each reactor on the opposite hydrogen production rate, and their bacterial communities were compared by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of PCR products generated using bacterial 16s rRNA gene primers (8f and 926r). It was expressed a marked difference in bacterial communities of both reactors. The trickling bed bioreactor with hydrophobic media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the process to produce hydrogen gas. A likely application of this reactor technology can be hydrogen gas recovery from pre-treatment of high carbohydrate-containing wastewaters.

제주 조간대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producing bacteria from the intertidal zone in Jeju Island, Korea)

  • 문영건;수브라마니안 다라니다란;김동휘;박소현;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82-388
    • /
    • 2015
  •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11개의 세균들은 유기 생물체의 외부 표면 서식하며, inorganic materials는 제주도 조간대로부터 수집되었다. 시료들은 냉동 상태로 실험실로 옮겨졌으며, 멸균 해수와 1% skim milk가 들어가 있는 Zobell plates에서 배양시켰다. 다음 clear zone이 나타난 11개의 균주들은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으로서 선택되었으며, 각각의 균주들은 16S rDNA을 기반으로 동정하였다. 분석결과, Psedoalteromonas속 해양 세균 JJM125, JJM129, YG47과 YG49, Microbulbifer속 JJM122, Vibrio속 YG51, YG52, YG62, YG63, Firmicutes문과 Bacillaceae강에 속하는 JJM129, YG6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분해가수효소를 생성하는 세균들을 다양한 생명 공학 응용프로그램과 함께 새로운 다양성의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등급의 부하량 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ad Analysis of Gliding Grade under the Kaltenborn-Evjenth Concept)

  • 최석주;최완석;문옥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83-3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로딩셀기구를 이용하여 어깨관절의 아래, 앞, 뒤쪽 방향으로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치료등급 II와 III 적용 시 남녀, 미끄러뜨림 방향 그리고 미끄러뜨림 등급에 따라 적용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남녀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래쪽미끄러뜨림 II/III등급(Caudal Grade II/III), 앞쪽미끄러뜨림 II/III등급(Ventral Grade II/III), 뒤쪽미끄러뜨림 II/III등급(Dorsal Grade II/III) 모두 여자에 비해 남자의 부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치료방향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등급II(Grade II)와 등급III(Grade III) 모두에서 아래쪽(Caudal)에 비해 앞쪽(Ventral)과 뒤쪽(Dorsal)에서 부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치료등급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래쪽(Caudal), 앞쪽(Ventral) 그리고 뒤쪽(Dorsal) 모두에서 등급II(Grade II)에 비해 등급 III(Grade III)에서 부하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위 결과로부터 위팔어깨관절(glenohumeral joint)의 아래, 앞, 뒤 방향에 대한 미끄러뜨림(gliding) II/III 적용 시 같은 등급에서 적용되는 힘의 크기가 방향과 성별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분리막 및 슬러지 처리와 고도처리 기술·장비를 포함한 하·폐수 처리기술의 특허 조사·분석을 통한 기술개발 동향 (Trends of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Domestic Patent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including Membrane, Sludge Treatment and Advanced Treatment Technology and Equipment)

  • 유호식;김지태
    • 멤브레인
    • /
    • 제27권5호
    • /
    • pp.375-388
    • /
    • 2017
  • 하 폐수 처리 기술은 종래 단순 오염물질 처리에서 에너지 및 자원 절약형의 고도처리 기술로 발전되고 있으며, 공공 수역으로의 오염 물질과 유독 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설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T 및 BT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접목한 융합형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국내 하 폐수 처리기술의 발전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등록된 특허기술을 수집 조사하여 연도별 부문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2010년~2017년 5월 간의 관련된 특허 등록 내용을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처리공정, 장치 및 기기, 소재 제재, 슬러지처리, 분리막, 공정제어기술 등 10개 분야의 42개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 추세를 분석했다. 총 3,356건의 특허가 등록되었으며 2013년에 638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다소 감소하여 연간 3~400여 건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된 특허 총 건수는 아직 다른 국가에 비해 적지는 않으나 공정 제어 및 기기 분야, 신개념 처리 기술과 같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의 특허는 타 분야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조절 및 유변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

  • 이봄이;프러산터;김희승;유승윤;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388-393
    • /
    • 2012
  • 말단캡핑제(end capping agent) 4종류와 함량별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중합법으로 제조하였다. 합성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구조는 FT-IR과 $^{1}H-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말단캡핑제의 반응여부는 FT-IR 스펙트럼의 수산기($3500\;cm^{-1}$) 존재여부로 확인하였다.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도, 유리전이 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말단캡핑제의 화학구조에 따라 평균 분자량이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말단캡핑제로 4-tert-butylphenol (TBP)이 사용되었을 때 최적의 분자량 조절 결과를 나타내었다. 말단캡핑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평균분자량은 감소하였고, 4-tert-butylphenol이 0.05 mol%가 첨가될 때 폴리카보네이트의 대형 사출물 가공에 적합한 20000 정도의 수평균분자량을 나타내었다.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점도는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감소하였으며, shear thinning effect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악관절강내 천자술시 히알루산(Hyaluronic acid) 사용에 대한 임상적 연구 (AN EFFECT OF HYALURONIC ACID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CENTESIS)

  • 여환호;권병곤;김재승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388-394
    • /
    • 1999
  • To compare the effect of hyaluronate and dexamethasone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centesis the author investigated 22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TMD) patients with pain and limitation of mouth opening who visit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sun Dental Hospital and were made a diagnosis as Wilkes stage III or IV of TMJ internal derangement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The two groups consisted of 10 patients with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10mg$(Artz^{(R)})$(hyaluronate group) on the upper joint space of the affected temporomandibular joint 5 times at intervals of a week after arthrocentesis, and 12 patients with injection of dexamethasone$(Oradexon^{(R)})$ at a time(dexamethasone group). Maximum mouth opening, pain value and satisfaction value during mastication were assessed on a visual analog scale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Then the within-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evaluated in the obtained data and the clinical success rate of each group was calculated according to our success criter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maximum mouth opening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in the hyaluronate group were 24.9mm and 39.0mm respectively, and those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in the dexamethasone group were 25.7mm and 41.3mm respectively. 2. The mean of pain value on a visual analog scale in the hyaluronate group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were 6.7 and 1.8 respectively, and those in the dexamethasone group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were 7.0 and 1.8 respectively. 3. The mean of satisfaction value during mastication on a visual analog scale in the hyaluronate group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were 2.8 and 7.7 respectively, and those in the dexamethasone group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 were 3.1 and 7.8 respectively.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measurements before arthrocentesis and after 6 months(P<0.001), but no difference between all measurements in the hyaluronate group and those in the dexamethasone group. 5. The over all success rate of the hyaluronate group and the dexamethasone group were 60.0% and 63.6% respectively. In summar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hyaluronate and dexamethasone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centesis but hyaluronate is better than corticosteroid as the injection drug in consideration of the side effect related with repeated injection.

  • PDF

임부의 강인성과 산전간호이행과의 관계연구 (A Correlation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diness and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in Pregnant Woman)

  • 박명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9-35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correlational study was to offer strategies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degree of tardiness, correlation between hardiness and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In research, the characteristic of hardiness has 1 teen demonstrated in resolving stressful situaltions and in adapting to overcom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ension. pregnancy is normal crisis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egree of hardiness in normal pregnant woman and I think that concept of hardiness is able to become a new, important concept for prenatal care imtervention. The subjects were 388 normal pregnant woman over five months, who were selected from five university hospitals and two health centers in Taegu. Data were obtain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techniqu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6 to June 18, 1992.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Health Related Hardiness Scale developed by Pollock(1984) and compliance with a prenatal care scale developed by the author on the basis of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for t - 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cores on the hardiness scale ranged from 35 to 210 with mean of 88.89. 2. The scores on the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scale ranged from 28 to 140 with a mean of 111.49.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ardiness and obstetrical characteristic factors, duration of pregnancy, frequency of pregnancy, frequency of abortion(P .05).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and general and obstetircal characteristic factors, education and frequency of pregnancy(P .05). 5. Correlations between hardiness and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were all negative and significant(r=-.2276~ -.2930, P .000). Challenge of hardiness components was the low est (r= -.2814). 6.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ardiness and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by group were as follows : Group 1 was the high est, whereas Group 8 was the lowest(F=5.47, P .0000). 7.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were : 1) Challenge was the main variable and accounted for 7.92% of the total variance. 2) Education and frequency of pregnancy accounted for an additional 2.74% of the total variance.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 1) Considering the lack of empirical support, the theroy of hardiness needs to be evaluated. 2) A valid, reliable and culturally appropriate instrument needs to be developed for Health Related Hardiness Scale. 3)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of hardiness in a broad variety of populations. 4) There is a need for comparative study correlation between hardiness and compliance with prenatal care in woman with normal and abnormal pregnancies

  • PDF

고속철도차량용 제빙액으로의 적용가능물질에 대한 융빙성능 평가 (Ice Melting Capacity Evaluation of Applicable Materials of De-icing Fluid for High Speed Railway Rolling Stock)

  • 박경원;이준구;이홍기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84-388
    • /
    • 2019
  • 동절기 고속철도차량 하부 및 대차부에 부착된 설빙이 차량 운행 시 도상자갈구간(침목이 받는 차량 하중 전달 및 침목 고정을 위한 자갈 구간)에서 고속으로 낙하하여 자갈을 비산시켜 이로 인한 철도차량 구조물 및 시설물의 피해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고속철도 개통 이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자갈의 비산을 방지하는 네트, 인력 제빙, 이동식 열풍기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효율성이 떨어진다. 기존보다 효율적인 제빙을 위해 화학적 제빙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제빙액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의 융빙성능, 동점도, 증발성 등을 평가하여 고속철도차량 제빙용으로 최적의 물질을 찾고자 한다. 평가 물질로는 유기산염류 4종(개미산나트륨, 초산나트륨, 개미산칼륨, 초산칼륨)과 알코올류 2종(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실내 평가에서는 개미산칼륨, 초산칼륨, 프로필렌글리콜이 유사한 융빙성능을 보였으나, 모사 살포 시스템을 이용한 융빙성능 결과, 프로필렌글리콜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프로필렌글리콜의 동점도가 2.989029 St로 다른 물질 대비 높아 얼음에서 보다 오래 체류하여 제빙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미산칼륨과 초산칼륨은 결정이 석출되어 차량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필렌글리콜이 고속철도차량용 제빙액으로 최적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신생아의 정맥천자시 통증 감소 효과 : 경구 포도당액, EMLA 크림 및 노리개 젖꼭지 (Pain reduction at venipuncture in newborn infants : oral glucose solution, EMLA cream and pacifiers)

  • 박상기;김은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88-393
    • /
    • 2006
  • 목 적 : 신생아에서 포도당의 경구 투여, 국소 마취 크림인 $EMLA^{(R)}$와 노리개 젖꼭지의 통증 감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12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4가지 방법으로 통증 감소를 측정하였다. 제 A군(대조군)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군, 제 B군은 $EMLA^{(R)}$ 크림을 바른 군, 제 C군은 10% 포도당액을 먹인 군, 제 D군은 30% 포도당액을 먹인 군, 마지막 제 E군은 노리개 젖꼭지를 물린 군으로 나누어서 통증의 감소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평가는 PIPP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미숙아와 만삭아 사이에서 평균 PIPP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군의 평균 PIPP 점수를 보면 A군 $12.5{\pm}2.5$, B군 $10.1{\pm}2.6$, C군 $9.4{\pm}2.0$, D군 $6.5{\pm}2.1$, E군이 $8.7{\pm}2.3$로 대조군에 비해서 다른 군들이 유의하게 낮았다($EMLA^{(R)}$ 크림군 P<0.05, 그 외 모두, P<0.001). D군의 평균점수가 B, C, E군들의 평균 PIPP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01, P<0.005, P<0.05).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하면 A군 100%, B군 82%, C군 56%, D군 40%, E군은 70%로 D군에서 가장 낮았다.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하면 A군 72%, B군 30%, C군 22%, D군 0%, E군은 14%로 D군이 가장 낮았다. 결 론 : 신생아에서 통증의 감소에 포도당액의 경구 투여, $EMLA^{(R)}$ 크림, 노리개 젖꼭지가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30% 포도당액의 경구 투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적 및 반복하중 시의 주관절 Tendon의 파괴 물성치 측정 (Failure Properties of Common Tendon Origins at the Human Elbow after Static and Repetitive Loading)

  • 한정수;이관희;유재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3-401
    • /
    • 1998
  • 임상학적인 관찰에 따르면, 반복적인 하중에 의하여 뼈/건의 접합부분에 발생하는 부분적인 파손은 병리학적인 변화를 유발시킴으로 인하여 주관절의 상골과염(Epicondylitis)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주요한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반복적인 하중이나 정적인 하중 하에서의 주관절에 위치한 신전건 및 굴곡건의 기계학적인 물성치와 파괴양상은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상골과염과 직접적인 관계가 되는 신전건 및 굴곡건의 기계학적인 물성치인 파괴강도, 반복하중의 회수와 변형율(Strain)간의 연관관계 및 반복하중에 있어서의 생체조직학적 변화의 향상, 특히 파괴의 진행양상을 관찰하였다. 적용하중의 속도에 따르는 신전건 및 굴곡건의 파괴강도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으나, 파괴강도에 있어서 신전건은 1199.0 N/$cm^2{\pm}$388.8, 굴곡건 1922.0 N/$cm^2{\pm}$764.4로, 굴곡건이 신전건에 비하여 1.6배 정도 크게 나타났으며, 상호간의 파괴강도에 있어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p<0.05). 조직학적 관찰에 의하면, 반복하중 하에서 뼈/건의 접합부분 특히 Uncalcified Fibrocartilage 부분에서 분리가 시작되었으며, 이는 상골과염을 발생시키는 주요생체조직부분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