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718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9초

NASA POWER 기상자료의 일 유출해석 활용성 평가 (Appraising applicability of daily runoff analysis using NASA POWER's meteorological data)

  • 노재경;박종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6-106
    • /
    • 2020
  • 물 이용 측면에서 유출해석은 강수, 증발산, 침투, 유출 등 물 순환의 핵심이다. 또 기상자료는 증발산량을 산정하는데 꼭 필요하다. 그러나 해외 수자원 사업에서 기상자료가 없어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NASA POWER에서 전지구 0.5° 격자로 제공하는 위성기반의 일 기상자료를 이용한 증발산량과, 지상의 기상자료를 이용한 증발산량을, 각각 일 유출 모형에 적용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유역면적 4,134 ㎢인 대청댐 유역에 1984년부터 2001년까지 일별 유입량을 모의하고 관측 유입량과 비교하고, R2, RMSE, NSE 등으로 평가하였다. 지상의 기상관측소는 위도 36.21°, 경도 127.34°인 대전 관측소를, 위성자료는 대전 지점과 동일한 위치의 경위도의 기상자료를 적용하였고, 일 증발산량은 Penman-Monteith 방법으로, 일 유출량은 ONE 모형에 의해 모의하였다. 강수량을 대청댐 유역 면적강수량을 적용한 경우, 지상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연 유입량 668.1 mm, 일 최대 82.9 mm, 유출률 56.1%(관측은 연 강수량 1,191.3 mm, 연 유입량 668.3 mm, 일 최대 87.0 mm, 유출률 56.1%)로 나타났고, R2 0.805, RMSE 2.425, NSE 0.802였고, 위성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연 유입량 668.4 mm, 일 최대 83.7 mm, 유출률 57.8%로 나타났고, R2 0.803, RMSE 2.431, NSE 0.801였다. 또한, 강수량을 위성 제공의 강수량을 적용한 경우, 지상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연 유입량 718.0 mm, 일 최대 97.7 mm, 유출률 56.7%(관측은 연 강수량 1,265.3 mm, 유출률 52.8%)로 나타났고, R2 0.582, RMSE 3.524, NSE 0.581였고, 위성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연 유입량 741.5 mm, 일 최대 99.0 mm, 유출률 58.6%로 나타났고, R2 0.578, RMSE 3.541, NSE 0.577였다. 결과적으로 위성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일 유출해석에 적용한 결과는 지상 기상자료를 이용한 경우와 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 NASA POWER가 제공한 기상자료의 활용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위성 제공 강수량의 활용은 R2, RMSE, NSE 등의 지표가 낮게 나타나,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하였다.

  • PDF

연안 연승어구에 있어서 아릿줄의 굵기와 길이가 조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oking on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in fishing gear of long line at the coastal waters)

  • 양진성;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1호
    • /
    • pp.51-58
    • /
    • 2012
  • As a basic study to improve hooking ability of long line fishing gear, which is widely used around Jeju-do coast, the researcher performed hooking experiment of parrot fish by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7 kinds of model long line fishing gears, whose thickness of branch line are different and 8 kinds of model long line fishing gear, whose length of branch line are different, in indoor circular aquarium, which is installed for the model experiment of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that are various by fishing implement and improper. The hooking rate depending on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was calculated and the effect of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on hooking rate was analyzed. Its results are as follows. When branch line was thin and long, high hooking rate appeared. In the scope of value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ckness ($B_t$) of branch line and total hooking rate ($Th_r$) can be shown as following formula as. In the scope of value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B_t$) of branch line and total hooking rate ($B_t$) can be shown as $Th_r=-20.83B_t+26.04$.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ickness of branch line and hooking rate was -0.718. Therefore it showed significance in 0.01 significance level.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branch line and hooking rate was 0.431. Therefore it showed significance in 0.01 significance level.

LDL Cholesterol 또는 Total Cholesterol의 적용에 따른 Framingham Risk Score와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평가 (The Assessment of Framingham Risk Score and 10 Year CHD Risk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DL Cholesterol or Total Cholesterol)

  • 권세영;나영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54-61
    • /
    • 2016
  •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여러 선행 연구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LDL 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의 적용에 따른 FRS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고, 두 변수의 선택 적용에 따른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의 판정에 대한 일치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중 심혈관질환 진단을 받은 자를 제외한 1,530명(남성 755명, 여성 775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LDL 콜레스테롤 또는 총 콜레스테롤 중에 어떤 항목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FRS와 심혈관질환의 10년 예측위험도는 차이가 있었다. 남녀 모두 FRS는 LDL 콜레스테롤 적용 점수 보다 총콜레스테롤 적용 점수가 더 높았다. 위험도 10% 미만의 저위험군, 10~19%의 중등도 위험군, 20% 이상의 고위험군 분류에서 남성 106명, 여성 26명의 판정이 일치하지 않았다. 코헨의 카파 계수는 남성의 경우 0.718, 여성의 경우 0.884로 나타나 여성의 경우 더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심혈관질환의 10년 예측위험도와의 관련성에서도 LDL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회귀식 보다 총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회귀식에서 남녀 모두 설명력이 더 높아 총 콜레스테롤을 반영한 FRS 산출과 10년 예측 위험도의 평가가 더 상관성이 더 높고, 더불어 남성 보다는 여성에서 더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사각 루프와 T자형 패치를 결합한 광대역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 설계 및 SAR 분석 (Design and SAR Analysis of Broadband Monopole Antenna Using Loop and T-Shaped Patches)

  • 장주동;이승우;김남;최동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대역 서비스를 위한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기본적인 사각 루프 구조를 내부로 접어 안테나의 크기를 소형화 시켰으며, T자형 패치의 끝단의 중앙 부분과 내부로 접은 사각 루프 선로에서의 커플링 현상을 이용하여 3.9 GHz 대역에서 추가 공진을 만들었다. 또한 사각 루프 형태의 모노폴 안테나에 T자형 사각 패치를 삽입시킴으로써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나타나도록 유도하였으며, 내부로 접은 사각 루프의 선로들의 간격 및 길이와 T자형 패치의 가로 길이를 조정함에 따라 주파수 특성을 최적화 하였다. 제안하는 안테나는 $40{\times}60{\times}1.6mm^3$ 크기의 비유전율 4.4인 FR-4 기판 위에 설계하였으며, 급전은 임피던스 $50{\Omega}$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VSWR 2:1 기준으로 대역폭은 162 MHz(815~977 MHz)와 2,530 MHz(1,430~3,960 MHz)으로 측정이 되었다. 제안된 안테나의 전자파 흡수율(SAR)을 알아보기 위하여 1 g 및 10 g 평균 SAR을 계산 및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모의실험 결과, 1 g 평균은 1.044 W/kg, 10 g 평균은 0.718 W/kg으로 SAR 기준치인 1.6 W/kg(1 g 평균) 및 2.0 W/kg(10 g 평균)을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리튬이온전지용 층상 Li1.05Ni0.9Co0.05Ti0.05O2에 대한 소성 온도의 영향 (The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on the Layered Li1.05Ni0.9Co0.05Ti0.05O2 for Lithium-ion Battery)

  • 고형신;박현우;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718-7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농도구배형 공침합성법을 통해 $Ni_{0.9}Co_{0.05}Ti_{0.05}(OH)_2$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높은 니켈함량의 양극 활물질에서 나타나는 산소 탈리에 따른 구조변화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성온도 변화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물리적,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Li_{1.05}Ni_{0.9}Co_{0.05}Ti_{0.05}O_2$의 물리적 특성은 FE-SEM, XRD, TG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양극 활물질과 $LiPF_6$(EC:EMC=1:2 vol%) 전해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코인셀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초기 충 방전 효율, 사이클 유지율 및 율속 테스트를 통해 분석하였다. 제조된 양극재의 초기 충전 용량 및 초기효율은 소성온도 $750{\sim}760^{\circ}C$에서 244.5~247.9 mAh/g, 84.2~85.8%로 우수하였다. 또한 용량 보존율은 50사이클 후에 97.8~99.1%의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하악 구치부에서 $Br{\aa}nemark$$TiUnite^{(R)}$ implant를 이용한 단일 치아수복의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Br{\aa}nemark$ $TiUnite^{(R)}$ implant for mandibular posterior single tooth replacement)

  • 오경춘;채경준;정의원;김창성;조규성;최성호;김종관;채중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705-7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6 years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 of mandibular posterior single tooth implants replaced with $Br{\aa}nemark$ $TiUnite^{(R)}$ implant syste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ed ; 1. The 112 (111 persons) single implants that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were successful except 4 cases and showed 96.42% CSR. 2. The 55 (55 persons) single implants that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first molar region were successful except 2 cases and showed 96.36% survival rate. And, among the 57 (56 persons) single implants replacing the mandibular second molar. 2. failed showing 96.49% survival rate.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3. Among the total 112 implants, 5.0mm wide diameter implants were placed in 96 cases(85.7%) showing 96.9% survival rate. 4.0mm standard diameter implants were placed in 16 cases showing 93.8% survival rate.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4. Long implants above 10.0mm length were placed 103 cases(91.0%) and showed 96.1% survival rate. Short implants within 8.5mm length were placed 9 cases and showed 100% survival rate.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5. 37 implants placed in type I, II bone quality were showed higher survival rate(100%) than that of 52 implants placed in type III, IV bone quality(92.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onclusion, $Br{\aa}nemark$ $TiUnite^{(R)}$ implant showed successful results when replacing manbibular single molar.

폐암환자의 암조직내 CYFRA 21-1과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측정치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YFRA 21-1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Levels in Cancer Tissue of Bronchogenic Carcinoma Patients)

  • 김대연;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854-861
    • /
    • 1997
  • CYFRA 21-1은 폐암중에서 편평상피성 암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세포각질 분절 19의 분절들로서 암세 포가 파괴되거나 분해시 혈중내로 유리되는 것으로 특징적인 2개의 단일클론성의 항체인 KS 19-1과 BM 19-21로서 면역 방사계수검사를 이용하면 혈청내에 용해된 량을 정량할 수 있다. 암세포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EGF-R과 EGF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EGF-R의 존재는 클론성 비소세포암 세포계열을 조사한 결과 4종의 비소세포암들은 EGF-R을 발현한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현재의 검사법으로는 EGF 검출이 어려워서 EGF보다 TCF-Q의 역할에 초점이 모여지고 있다. 폐암세포에 EGF-R의 존재는 자가분비나 부분비성 성장기전이 작용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정상인 의 혈청과 소변에서 검출이 되며,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본 결과 EGF-R은 폐암의 발달과 진행에 중요한 역 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폐암으로 확진된 30례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개흉수술로 적출한 표본을 주병소와 이행부위 그리 고 대조부위로 구분하여 조직 절편을 약 5 m3크기로각각 잘라서 액화 질소에 급속 냉동 보관을 하였다. 냉 동 보관한 조직 절편을 조직마쇄 藪$[$\ulcorner마쇄시킨후 원심분리기에서 상층액을 일정량 채취하여 방사선면역 분석법으로 CYFRA 21-1과 EGF-R 정량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조직학적 분류와 병기에 따른 분류 로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아래와 같은 요점들을 발견하였다. 1. 암 이행부위에서는 악성화를 나타내는 경향이 더욱 활발하여 세포질성분의 부족으로 CYFRA 21-1의 농도 는 낮게 나타났다. CYFRA 21-1의 농도는 암이행부위에서 가장 낮았고, 병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 조조직에서는 세포질 성분이 풍부하여 주병변부위보다도 CYFRA 21-1의 농도가 높게 나왔다. 2. EGF-R의 농도는 주병변부위에서 가장 높게 나왔고, 편평세포암에서 보다는 선암에서 높았고, 병기별로는 1, 1띠에서는 이행부위가 111, IV기에섞는 주병변부위가 높게 나왔다. EGF-R의 농도는 대조조직보다는 암 주병변부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3. CYFBLt 21-1은 세포질성분이며, EGF-R은 세포벽 성분으로서 두 물질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CYFRA 21-1은 혈청 내에서만 주로 연구되어져 왔으며 비소세포암 중에서 특히 편 평세포암종에서 의미있게 증가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CYFRA 21-1의 조직과 혈청 내의 정량치가 뜻하는 의 미는 서로 달랐으며, 암조직내에서 대조조직내보다 CYFRA 21-1 치가 더 낮게 나온 것은 암세포내 에서는 세 포질 성분의 고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암세포의 활동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EGF-R은 세포벽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암세포의 증식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조조직보다는 암세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은 종양 증식과 암표지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엽류 급여가 임신중인 흑염소에 있어서 유산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Browses on the Incidence of Abortion During Pregnancy in Korean Native Goats)

  • 최순호;성환후;조영무;김영근;허삼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11-718
    • /
    • 2002
  • 지엽류 급여가 임신한 흑염소의 유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5${\sim}$6세인 임신 3${\sim}$4개월된 흑염소 20두를 처리구별로 각각 5두씩 배치하여 소나무지엽, 소나무지엽 사일리지, 잣나무발효지엽 그리고 참나무지엽 사일리지를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일 조사료 섭취량은 참나무지엽 사일리지 0.36kg, 소나무지엽 0.28kg, 소나무지엽 사일리지 0.24kg 그리고 발효지엽 0.14kg으로 발효지엽 급여구가 낮았다. 지엽류 내의 유해균 중 Salmonella와 Fungi는 소나무 지엽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참나무지엽 사일리지에서는 각각 7.93 $10^3$, 11.0 $10^1$cfu/g로 나타났으며 E. Coli도 11.67 $10^1$cfu/g로 소나무류 지엽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나(P<.05) 유산 발생과는 상관이 없었다. 유산발생율은 발효지엽, 소나무지엽 사일리지 그리고 소나무지엽 급여구에서 각각 60%, 40% 그리고 20%로 나타났으며 참나무지엽 사일리지구는 유산이 발생되지 않았다. 혈청 중 progesterone 농도는 모든 처리구가 분만 4주전까지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분만일에는 급감하는 경향이었고 estradiol 농도는 분만시에 감소하였으며 cortisol 농도는 정상 분만한 참나무지엽 사일리지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분만당일에 낮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임신 흑염소에 소나무지엽류를 급여하면 유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해 준다.

Myocardial Blood Flow Quantified by Low-Dose Dynamic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Is Associated with Peak Troponin Level and Impaired Left Ventricle Function in Patients with ST-Elevated Myocardial Infarction

  • Jingwei Pan;Mingyuan Yuan;Mengmeng Yu;Yajie Gao;Chengxing Shen;Yining Wang;Bin Lu;Jiayin Zh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5호
    • /
    • pp.709-718
    • /
    • 2019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yocardial blood flow (MBF) quantified by dynamic computed tomography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MPI) with troponin level and left ventricle (LV) function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ed myocardial infarction (STEMI).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STEMI patients who successfully had undergone reperfusion treatment within 1 week of their infarction were consecutively enrolled. All patients were referred for dynamic CT-MPI. Serial high-sensitivity troponin T (hs-TnT) levels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measured by echocardiography were recorded. Twenty-six patients with 427 segmen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Various quantitative parameters derived from dynamic CT-MPI were analyz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hs-TnT levels and LVEF on admission and again at the 6-month mark. Results: The mean radiation dose for dynamic CT-MPI was 3.2 ± 1.1 mSv. Infarcted territories had significantly lower MBF (30.5 ± 7.4 mL/min/100 mL versus 73.4 ± 8.1 mL/min/100 mL, p < 0.001) and myocardial blood volume (MBV) (2.8 ± 0.9 mL/100 mL versus 4.2 ± 1.1 mL/100 mL, p = 0.044) compared with those of reference territories. MBF showed the best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eak hs-TnT (r = -0.682, p < 0.001), and MBV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eak hs-TnT (r = -0.437, p = 0.026); however, the other paramet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s-TnT levels. As for the association with LV function, only MBF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VEF at the time of admission (r = 0.469, p = 0.016) and at 6 months (r = 0.585, p = 0.001). Conclusion: MBF quantified by dynamic CT-MPI i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peak hs-TnT. In addition, patients with lower MBF tended to have impaired LV function at the time of their admission and at 6 months.

요크셔종에 대한 경제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Economic Traits in Yorkshire)

  • 송광림;김병우;김시동;최진성;김명직;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499-506
    • /
    • 2002
  •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에서 사육된 Yorkshire종 돼지 2,111두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주요 경제형질인 일당증체량, 90kg 도달 일령, 등지방두께에 대한 유전력, 유전상관, 표현형상관을 추정하기 위하여 MTDFREML Package에서 Animal mode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한 돼지의 주요 경제형질의 평균치는 등지방두께가 1.476 0.241cm, 일당증체량이 0.871 0.124kg, 90kg 도달 일령이 145.397 11.718일이었다. 2. 분석한 형질들의 유전력은 등지방두께가 0.55, 일당증체량이 0.55, 90kg 도달 일령이 0.56으로 전체적으로 고도의 유전력을 보였다. 3. 분석한 형질들의 유전상관은 일당증체량과 90kg 도달 일령에서는 -0.82,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 에서는 0.10, 90kg 도달 일령과 등지방두께 사이에서는 -0.25로 나타났다. 조사된 형질들의 표현형상관은 일당증체량과 90kg 도달 일령에서는 -0.77,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 에서는 0.02, 90kg 도달 일령과 등지방두께 사이에서는 -0.05로 나타났다. 등지방두께에 대한 일당증체량과 90kg 도달 일령사이의 표현형상관은 낮게 나타났지만 유전상관은 다소 높게 나타나 개량시 이점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유전력에 있어서는 주요 경제형질 모두 고도의 유전력을 나타내어 적절한 선발 및 사양관리가 이루어진다면 Yorkshire종에 대한 유전적 개량량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