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industry

검색결과 2,177건 처리시간 0.029초

기업의 R&D 구조변화와 정부정책 방향에 대한 소고

  • 송종국;서환주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1호
    • /
    • pp.79-97
    • /
    • 2003
  • R&D expenditure of Korean firms has been increasing drastically since 1980 and occupied 84% of total R&D expenditure in 1994. After 1994, however, the growth rate of industry R&D expenditure has dropped below single digit. R&D concentration rate of upper 20 companies declined from 61.9% in 1999 to 49.8% in 2001. The technology trade balance has diverged by 2.8 billion dollars in 2000 compared to around 0.3 billion dollars in 1985. We find several reasons on declining the industry R&D growth rate in Korea. First, we carefully say there might be an crowding out effect in increasing government R&D investment from Granger causality test between industry R&D and government R&D. Second, the decreasing benefit of tax credit since 1992 on industry R&D expenditure has caused the decrease of industry R&D growth rate. Third, the type of R&D cost becomes to similar to matured countries type of cost, which means the portion of capital expenditure has been decreased since late of 1980s. Therefore, industry R&D growth rate gets to saturation point. We draw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changing structure of business R&D of Korean company. Firstly, to stimulate industry R&D investment Korean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tax credit policy. Secondly, to induce foreign direct investment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technology infrastructures and high quality of manpower. To utilize foreign technology resources Korean government need to introduce global R&D program executed by foreign scientist as an Project Leader.

  • PDF

미래지향적 식품산업 R&D 추진전략 (R&D operating strategy for future food industry)

  • 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3호
    • /
    • pp.307-315
    • /
    • 2020
  • 식품산업과 국내외 환경변화 등에 따라 식품 R&D 추진체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유망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식품 R&D 추진 및 식품산업정책과 연계한 R&D 추진전략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식품산업 동향 및 글로벌 트렌드 분석에 기초하여 미래지향적인 식품산업 성장을 위한 연구개발 분야의 전략적 대응방안을 정리하고, 식품산업 R&D 현황과 개선점을 검토하여 향후 식품산업 R&D 추진방향을 설정하였다. 식품산업 R&D 추진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R&D 사업추진을 위한 연구기획체계 강화, 연구수행 주체간의 역할 분담 및 협업 강화, 미래 기술기반 확보, 현안문제 해결 및 산업현장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 정책사업 연계 및 식품 R&D 관리시스템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R&D 산업체의 시공간 클러스터 분석 (Space-time cluster research of R&D industry in Seoul, Korea)

  • 박선영;김영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92-511
    • /
    • 2013
  •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규정한 R&D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3차 산업에 해당한다. R&D 산업과 관련한 기존 정성적 연구들은 공간군집 사례들을 기반으로 분류한 클러스터 유형 중 하나인 하이테크 혁신 클러스터로 취급하여 분석한다(Coe et al., 2007). 그러나 이는 다양한 R&D 산업의 공간군집 사례들을 일반화하는데 그쳤으며, 특히 클러스터 형성 과정에서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은 R&D 클러스터가 시공간적으로 유의미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공간적인 혹은 시간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클러스터 분석의 한계를 인식하고, 섬유 및 의복 제조업의 비교를 통해 R&D 시공간 클러스터를 탐색해본다. 연구방법으로는 시공간 클러스터의 발견 및 위치탐색을 위해 시공간 K-함수와 시공간 스캔통계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R&D는 공간적 측면만 고려한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클러스터가 발견되었지만,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흐름을 동시에 고려한 시공간 클러스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시간에 따른 R&D의 신설 과정은 이미 존재하는 R&D의 공간적 위치와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섬유 및 의복 제조업은 공간과 시공간 클러스터 모두 유의미한 클러스터를 발견했다.

  • PDF

보건산업부문 기업부설 연구소의 동향 (Trends of healthcare industry research institutes)

  • 홍상진;강탁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6-50
    • /
    • 2002
  • Health industry, a knowledge based high value-added industry, is being considered as a strategic area for the 21C and many advanced countries are making every endeavors for the promotion of health industry alo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new materials, and mechatronics. Korean health industry, however, has been excluded from the governmental supports as well as bound by strict regulation so far, and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technology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In 21C, technology is the main fact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at is why the role of R&D institutes are so important in the high level of competition to cope with the technology protection policies of advanced countries. In this article, with Directory of Korean R&D Institutes published by Korea Industry Technology Association, I reviewed the trends of R&D institute of health industry.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ortion of health industry R&D institute is 3.6% of total R&D institute but the amount of R&D investment is over than 5% This means health industry are knowledge based and R&D intensified industry, meanwhile the variations of same industry R&D institutes of health industry is huge in R&D investments and other activities. Regional distributions of health industry institutes show some kind of different patterns in each industry areas. Medical devices and Medical informatics's preference of metropolitan region are distinguished with other industry areas. Many of the institutes are located in same site of it's company rather than operating separate building for R&D specific uses. It is better for transforming ideas to products and close cooperation of research body with product lines, but it is a handicap for network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research institutions too. It takes 18.4yrs for bearing R&D institute on the average. For a long times 'copy products' or 'me too products' policies were easy way to maintain business entities. But recently, it is recognized that research activities are essential component of sustaining it's own business firms. This means technology itself is leading power of corporation itself in the high level of competition.

  • PDF

서비스 R&D 수요분석 연구 (A Study on Service R&D Needs Analysis in Korea)

  • 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1-2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ervice R&D concept definition and finding service R&D demand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service R&D model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A survey model for finding service R&D demands has been developed through extensive discussions with experts. A demand survey for 91 experts in service industry and academia has been conducted to find relative weights of each service R&D category. Several other aspects on service R&D has beed investigat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R&D subjects. And a benchmarking on previous service R&D research investment has been performed. Past and present service R&D topics are compared as a whole and by each individual domain. A service R&D framework and important funding areas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research fund allocation decisions for strengthening service industry competitiveness.

R&D 생산성 제고와 기술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연구 서비스산업 혁신 방안 (R&D Service Industry Innovation Plan to Improve R&D Productivity and Vitalize Technology Innovation Ecosystem)

  • 장병열
    • 서비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4-158
    • /
    • 2023
  • 기업과 정부의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1년 공공과 민간의 전체 연구개발비는 102조 1,352억 원으로 100조원을 돌파하였고,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4.96%로 이스라엘에 이어 전 세계 2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00조원을 돌파한 국내 연구개발 투자의 R&D 생산성 제고 측면에서 국내 연구 서비스산업 현황과 연구개발(R&D) 혁신 생태계를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글로벌 연구 서비스산업과 기업 현황과 연구(R&D) 서비스 산업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종별 연구개발(R&D) 서비스 외부 위탁에 대한 분석과 연도별 연구개발(R&D) 서비스 외부 위탁에 대한 조사를 통해 국내 연구(R&D) 서비스산업 현황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업종별 국내 연구(R&D) 서비스 산업 수요에 대한 주요 변화 추이를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R&D 생태계는 전통적인 제조기업의 R&D 아웃소싱 수요가 정체된 것에 비해 서비스기업의 R&D 아웃소싱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외 위탁기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반면에 국내 연구개발 위탁 기업은 비중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서비스 업종별로 차별적인 특징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연구 서비스 기업에 대한 조사와 연구(R&D) 서비스산업 지원 정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하는 기술 혁신과 연구(R&D)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기업과 서비스기업 R&D 아웃소싱 균형지원, 국내 연구개발 외부위탁 확대, 서비스업종 특화 R&D 아웃소싱 전략수립, 개방형 R&D 생태계 구축, 소재·부품·장비 전략과의 연계 혁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Daegu)

  • 신진교;조정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2호
    • /
    • pp.211-23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 박사연구인력은 생물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 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obit 모형을 활용한 개방형 R&D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in Open R&D by Tobit Model)

  • 민현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87-94
    • /
    • 2020
  •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48 projects of private R&D institutes were analyzed using the Tobit model. Influencing factors were selected as open R&D network size, IT industry, interaction between R&D network size and IT industry, and type of R&D network cooperation. As a result of Tobit analysis, the R&D network size, the IT industry, and the type of R&D network cooper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larger the open R&D network size, the lower the efficiency, and the IT industry showed lower R&D efficiency than other industries. In addition,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wed lower R&D efficiency than cooperation with companies.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companies will be able to select and focus on cooperation with the outside in relations and investment allocation.

공공부문의 R&D 투자가 IT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Government R&D Contribution to the IT Industry)

  • 서환주;홍필기
    • 정보화정책
    • /
    • 제17권1호
    • /
    • pp.63-77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부문 R&D 투자의 IT 산업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한 것으로, 이를 통해 핵심육성산업 등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0-1995-2000의 불변접속 산업연관표 및 2003년 경상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IT 산업 총산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증가가 높은 산업은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 산업으로 1990년 0.19%에서 2003년 1.22%로 6배 이상 증가하였다. 정부의 R&D 투자의 생산유발액은 R&D 투자 규모의 2배 이상으로 정부의 R&D 투자 규모는 1995년 대비 2003년 3배 증가하였다. 동 기간 IT 산업은 5배 가까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정부의 R&D 투자는 높은 취업유발을 가져오고 있는데, 방송통신기기와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 산업에서 높은 취업유발효과를 나타내었다. IT 제조업의 취업자 구성비는 거의 동일하나 산출액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중간투입산업의 발전 정책이 요구되며, 특정 기업 지원보다 특정 기술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부품 및 제품의 표준화와 네트워크 관계 개선 대책이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