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ck TRIZ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6SC와 Q-TRIZ를 응용한 RPS-TRIZ (RPS(Rapidly Problem Solving)-TRIZ to Applied 6SC(6 Step Creativity) and Q(Quick)-TRIZ)

  • 임사환;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35-637
    • /
    • 2011
  •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tradiction is proposed new RPS-TRIZ. RPS-TRIZ is evolved from TRIZ technique which 6SC of existing and tries to adopt the strong point of the Q-TRIZ techniques. RPS-TRIZ can be used to improve problems in the field more quickly and easily.

  • PDF

Q-TRIZ를 활용한 지능형 쏠라 그린조명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Solar Green Street Lighting using Q-TRIZ)

  • 허용정;홍성도;임사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3-47
    • /
    • 2011
  • Recently the government banners green growth promises as a paradigm of national development which are to reduce greenhouse ga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exhaust gases from automobiles. Existing in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by using fossil fuels to minimize environmental changes are developing a new alternative energy sources. Among the emerging alternative energy, using solar energy technology is applied across the industry, but the maintenance and repair to integrate solar cells and has been a problem occurs. To prolong the life of cells integrated on a solar cell is exposed when the non-eye, etc., when not integrated by the solar cells should not be exposed. In order to resolve these contradictions, a intellectual solar green street lighting was developed by using Q(Quick)-TRIZ.

효과적 산학연계교육을 위한 트리즈 기반 6시그마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RIZ/6-sigma for Effective University-Industry Linked Training Programs)

  • 허용정;홍성도;김재민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6-72
    • /
    • 2013
  • 본 연구는 기술 인력들의 공동과제를 놓고 산학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체험적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산학협동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여 현장에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대상 기업인 (주)서림에 6시그마 방법론과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인 TRIZ를 연계시킴으로써 효과적인 문제 진단 및 해결 관련 교육을 실시 및 적용하였고 품질 관리 및 개선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또한, 기업 내 관리 및 생산 부서 사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성과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