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mongolic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6초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Both Sides

  • Huh, Man-Kyu;Cho, Joo-Soo;Jang, Gi-B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8
  • The characters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which is associated with human activities recently extended around the field of Saengbiryang-myeon at Sanseong-gun in Gyeongsangnam-do. The C. crenata community and its outskirts were investigated for several ecological parameters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ellows. C. crenata is prevailing in the plantation area, wherea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are prevailing in its outskirts. The mean species diversity of plantation was lower than that of natural forests. In stratification of investigated areas, overstory tree layer was dominant in the zone of plantation and dominant layers in the natural forest were understory tree layer, shrub, and herb. Plant biomass and net production which estimated from degree of green naturality were much higher in natural forests than those of the plantation community.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LSD) post hoc analysis revealed that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y had significantly greater than densities than C. crenata community.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 (The Actual Vegetation in Mt. Sokri)

  • 김준선;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의 일부인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속리산의 식생은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 조림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철쭉 하위군집 3)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4)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2. 소나무-졸참나무군집 3. 소나무-굴참나무군집 4. 졸참나무군집 5.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6. 서어나무군집 7. 신갈나무군집 1) 전형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8. 물푸레나무군집 9. 노린재나무군집 10. 굴참나무군집

  • PDF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the Region from Wolgagsan to Dogabja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2-129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각산-도갑재 지역에 14개의 방형구 ($20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4개 조사구는 굴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상수리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지역은 대부분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의 상대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간, 때죽나무와 먹갈나무 및 상수리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비목나무 및 소나무간, 생강나무와 진달래간 자귀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감나무와 떡갈나무간, 굴피나무와 비목나무간, 노린재나무와 상수리나무간,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생강나무 및 쇠물푸레 그리고 진달래간, 상수리나무와 자귀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2430{\sim}1.2892$로 나타났다.

지리산 연기암과 임걸령 지역의 산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Yŏnkiam and Imgŏlryŏng Area in Mt. Chiri)

  • 송호경;이도한;이미정;이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7
    • /
    • 1999
  • 지리산 연기암과 임걸령 지역의 산림 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TWINSPAN 방법을 사용하여 군락을 분류하고 산림군락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기암 지역의 산림 식생은 서어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때죽나무군락, 갈참나무-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으로 분류되고, 임걸령 지역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군락, 신갈나무-구상나무군락, 신갈나무-철쭉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연기암 지역에서 중요치 높은 종은 소나무, 서어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등의 순이며, 임걸령 지역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신갈나무, 구상나무, 당단풍, 철쭉, 피나무 등의 순이다.

  • PDF

비슬산(琵瑟山) 산림식생(山林植生)의 군락구조(群落構造)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Bislsan)

  • 이중효;서승희;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3권
    • /
    • pp.9-18
    • /
    • 2005
  •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t. Bislsan, Dalseung-Gun, Daegu in Korea, were studied using a qualitative with a quantitative approach and its vegetation types and various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mportance values, species diversity of the major component species analyzed. The forest vegetation were classified into 2 community group, 14 community, 6 group, and total of 18 vegetation units. Pinus densiflora distributed mainly from lower at the sea level, while Quercus mongolica tended to distributed upper altitude in Physiognomical vegetation. the species diversity values showed mostly 0.8 and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o and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so on highly showed to 1.0 and 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the I.V.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highly showed in the tree and subtree layer,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Lindera obtusiloba and so on highly showed in the shrub.

  • PDF

월악산국립공원 덕주사-동창교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Forest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2
    • /
    • 2005
  •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덕주사-동창교 지 역 에 23개의 방형구$(4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군집, 활엽수혼효림군집 등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은 신갈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신갈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 차 커질 것이라 판단된다. 고로쇠와 난티잎개암나무, 박달나무, 당단풍, 층층나무 ; 국수나무와 노린재나무, 조록싸리 ; 노린재나무와 물푸레나무, 당단풍, 조록싸리 ; 물푸레나무와 당단풍, 조록싸리 ; 굴참나무와 쇠물푸레 ; 난티잎개암나무와 철쭉 ; 당단풍과 조록싸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졸참나무와 박달나무 ;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 난티잎개암나무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 의 군집 별 종다양성도는 $1.2393\~1.3674$의 범위로 다른 국립 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춘천시 봉의산근린공원의 식생관리방안을 위한 식물군집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Chuncheon City)

  • 이은석;한봉호;김종엽;이학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7-33
    • /
    • 2024
  • 본 연구는 춘천시가지 중심에 위치하고 시민들의 휴식 및 여가공간으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봉의산근린공원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활용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봉의산은 삼국시대부터 춘천의 중심으로 산림이 지속적으로 훼손되었으며 현대에는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생태계의 고립과 단절이 심화되었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비율을 보면, 신갈나무는 28.5%, 신갈나무-졸참나무는 2.1%, 소나무는 15.6%, 소나무-신갈나무는 15.9%, 박달나무는 1.6%, 아까시나무는 5.9%, 잣나무는 1.6%이었다. 신갈나무는 남서, 북서, 남동사면에 분포하고 소나무는 동쪽과 남동사면 능선부에 분포하고 박달나무는 북동쪽의 계곡부, 충원사 북쪽 급경사지에 분포하였다. 식물군집은 총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나무군집(군집 I)과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군집(군집 V)은 장기적으로 참나무류림으로 천이가 예상되었고, 신갈나무군집(군집 II)과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III), 박달나무군집(군집 IV), 잣나무군집(군집 VI)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고려한 목표식생 및 관리방안은 ① 자연경관 보전 및 개선형(소나무군집) ② 생태적 천이 순응형(낙엽참나무류군집) ③ 특이군락 보전형(박달나무군집) ④ 휴양 및 체험형(잣나무군집) 등 4가지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특히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소나무군집과 박달나무군집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해야 할 것이다.

구룡산의 산림군집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Guryong, Gyeongsangbuk-Do Province)

  • 이서희;김혜진;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526-537
    • /
    • 201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구룡산 일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7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다.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금강소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이 구분되었으며, 인공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굴참나무군과 금강소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고로쇠나무군락은 개벚지나무군과 물참대군의 2개 군으로 세분되어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고와 지형의 환경요인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금강소나무군락(식생단위 1, 2)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층위에 우점치가 높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참나무류에 대한 지속적인 숲가꾸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A Study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the Fourth National Park Resource Survey Plots in Mt. Jirisan National Park)

  • 박홍철;김은옥;김우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82-500
    • /
    • 202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표본지 매목조사를 통한 식생군락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리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 보전·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최신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수-면적 곡선을 작성한 결과, 총 40개의 조사구(총 면적 16,000 ㎡)가 지리산국립공원의 출현 종 및 식생현황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면적 및 개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WINSPAN Classification 결과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I군락은 들메-당단풍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II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군락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IV군락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분류되었다. I군락은 들메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들메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층층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II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 쪽동백나무와 때죽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다. III군락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67%, 아교목층에서 27%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당단풍나무가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하고 있다. IV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74%의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다. 아교목층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개서어나무와 쇠물푸레가 경쟁하며 동반발달하고 있다.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김용식;김갑태;김준선;임경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8
    • /
    • 1988
  •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녹지자연도 조사에 관한 사정기준에 따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악산의 현존식생은 농경지와 인공 조림지를 포함하여 모두 11개의 식생군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소나무 군집이 36.83%로 가장 넓었으며, 신갈나무 군집이 22.35%. 소나무-신갈나무 군집이 7.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신갈난무의 순림 또는 이 수종에 의한 혼효림은 총 면적의 74.50%로 거의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치악산의 녹지 자연도 등급은 자연성이 높은 녹지 자연도 9가 전체의 35.9%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녹지 자연도 8은 28.5%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볼 때에 현재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자연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