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valuatio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7초

웹기반 지능형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based Technology Valuation System)

  • 성태응;전승표;김상국;박현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1호
    • /
    • pp.23-46
    • /
    • 2017
  • 2000년대 이전부터 북미 유럽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특정 기업이나 사업(프로젝트)에 관한 가치를 평가하는 사례는 있어 왔으나, 개별 기술(특허)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체계나 방법론은 국내를 중심으로 최근 들어 활성화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가치평가 분야는 기술이전(거래), 현물출자, 사업타당성 분석, 투자유치, 세무/소송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물론 기술보증기금의 KTRS, 발명진흥회의 SMART 3.1과 같이,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기술력(등급) 평가 혹은 특허등급평가를 정성적으로 수행하는 온라인 시스템은 존재해 왔으나, 대상기술의 정량적인 가치금액까지 산출해 주는 웹기반 지능형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의해 유일하게 개발 및 공식 오픈되어 확산 활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KISTI에서 개발 운영중인 웹기반 'STAR-Value' 시스템을 중심으로, 탑재된 방법론 및 평가모델의 유형, 이를 지원하는 참조정보 및 데이터베이스(D/B)가 어떻게 연계 활용되는지를 소개한다. 특히 미래에 발생할 경제적 수익을 추정하여 현재가치화하는 소득접근법 기반의 대표 모델인 현금흐름할인(DCF) 모델과 특정 로열티율을 기반으로 로열티수입료의 현재가치를 기술료 대가로 산정하는 로열티절감모델을 포함한 6개 모델, 그리고 관련 지원정보(기술수명, 기업(업종)재무정보, 할인율, 산업기술요소 등)의 데이터 기반 연계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STAR-Value 시스템은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국제특허분류(IPC) 혹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등의 분류 정보로부터 기술순환주기(TCT) 지수, 유사업종(혹은 유사기업)의 매출액 성장률 및 수익성 데이터, 업종별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및 산업기술요소 지수 등 메타데이터값을 자동적으로 불러오고 여기에 조정요인을 반영하여 기술가치의 산출결과가 높은 신뢰성 및 객관성을 가지도록 한다. 나아가 대상기술의 잠재적 시장규모와 해당 사업화주체의 시장점유율에 대한 정보까지 보유 재무데이터 기반으로 참조값을 제시하거나 기존에 완료된 평가사례 축적 기반으로 업종별 유사 기술의 가치범위값을 제시해 준다면, 본 시스템이 보다 지능형으로 지원 모듈을 연계 활용하고 실시간으로 손쉽게 고(高)정확도의 기술가치범위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고에서는 웹기반 STAR-Value 시스템이 참조데이터 기반으로 지능형 연계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모형선택 가이드라인 지원기능, 기술가치범위 추론 지원기능, 유사기업 선정 기반의 시장점유율 산정 지원기능의 내부 로직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지원기능을 통해 비전문가(또는 초보자) 수준에서 최적의 평가모형 선택, 기술가치 범위 추론, 유사기업 선택 및 시장점유율 산정에 대한 정보지원이 데이터 사이언스 및 기계학습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가치평가 분야의 이론적 타당성을 평가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모델 및 지원정보를 실제 탑재한 웹기반 시스템의 소개에 의미가 있으며, 추가적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손쉬운 지능형 지원시스템의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앞으로 기술사업화의 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동물 보전을 위한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조사에 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the Ex-suit Conservation Institution for Conserving Marine Animals: Case of the Korea National Maritime Museum)

  • 이범석;권석재;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75-482
    • /
    • 2019
  • 해양에 대한 인간의 이용과 활동의 증가는 해양오염, 해양생태계 및 서식지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 특히 생애주기가 길고 개체수가 적은 해양동물은 멸종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부는 2010년부터 수족관이나 해양박물관과 같이 인공적인 서식장소 11개를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들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물의 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식지외 보전기관에 대한 중요성과 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양동물의 보호와 증식을 위한 관리방안인 서식지외 보전기관의 운영정책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정량적 지지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푸른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해 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운영되고 국립해양박물관의 해양동물 보전역할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식지외 보전기관과 같은 비시장재인 공공재에 대한 대표적인 가치추정법인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서식지외 보전기관(국립해양박물관)의 경제적 가치는 약 418억원에서 최대 약 78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동물관리 정책자들에게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동물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댐하류하천정비사업의 댐 운영개선 효과 경제성 분석 (II) -경제적 편익 및 비용분담률 분석 (Economic Analysis of Dam Operation Improvement by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s (II)-Economic Benefit and Cost Allocation Analysis)

  • 유승훈;이광만;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9호
    • /
    • pp.765-776
    • /
    • 2011
  • 댐이 건설된 이후 댐직하류 하천구간은 하천구역내 사유지 경작과 하상주차장 등의 입지, 사주가 발달하여 하폭감소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하천정비의 미흡으로 홍수시 하천통수능력이 감소하여 유역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댐 운영조건도 일부 제약을 받고 있는데 이의 해소를 통한 댐 기능의 회복과 운영의 효율성 제고가 하천의 치수 안정성 확보와 함께 개선대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댐 운영관리개선과 연계된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이 시행되고 있는데 사업의 타당성, 경제적 편익, 비용배분 및 투자비 회수방안 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댐사업자가 하천사업을 주관한 사례가 없어 이들 사업에 대한 경제성 평가의 객관적 해석과 편익에 대한 정량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사업주체(국가와 용수 및 발전사업자 등)간의 합리적인 건설비용 배분방법을 제시하고 그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결과, 시범 적용 3개 댐의 경제적 편익은 14,405.8백만원/년으로 추정되었고, 편익 중 사업시행자인 K-water의 재무적 가치는 40%, 정부의 공공성 편익은 60%로 분석되었다.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통합관리 도구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Project Integrated Management Tool for Improving Communication Process)

  • 문성계;김지혁;류성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33-141
    • /
    • 2009
  •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이해당사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표로젝트 이해당사자 간의 의사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통합관리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S사에서 수행한 정보전략계획 자료와 최근 6년간 수행한 23개 프로젝트의 문제점을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요구사항을 수집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통합관리도구를 설계하고 제안한다. 제안된 설계의 기본 모형 중 의사소통에 관련된 부문들의 주요 기능과 구조를 정의하고, 주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상세 기능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설계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성적인 평가와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근거에 기반한 의약품의 유익성-위해성 평가 (Evidence-Based Benefit-Risk Assessment of Medication)

  • 이의경
    • 보건의료기술평가
    • /
    • 제1권1호
    • /
    • pp.22-26
    • /
    • 2013
  • Objectives: Balancing benefits and risks through the drug life cycle has been discussed for many deca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ocesses and tools currently proposed for benefit-risk assessment of medicinal drugs. It aimed to establish scientific and efficient drug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ynthetic analysis of benefit-risk evidence. Methods: We conducted a review of exiting literatures published by regulatory agencies or initiatives. Not only quantitative methodologies but also qualitative method were compared to understand their key characteristics for the benefit and risk assessment of drugs. Results: Recently, benefit-risk assessments have more structured approaches to decision making as part of regulatory science. Regulatory agencies such as European Medicines Agency, FDA have prepared plans to apply benefit-risk assessment to regulatory decision making. Also many initiatives such as IMI (Innovative Medicine Initiative) have conducted research and published reports about benefit-risk assessment. For benefit-risk assessment, four kinds of methods are necessary. Frameworks such as BRAT (Benefit Risk Action Team) framework, PrOACT-URL provide guidance for the whole process of decision-making. Metrics are measurements of risk benefit. The estimation techniques are methods to synthesis and combine evidences from various sources. The utility survey techniques are necessary to explicit preferences of various outcome from stakeholders. Conclusion: There is the lack of widely accepted, validated model for benefit-risk assessment. Nor there is an agreement among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on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valuation. It is also limited by available evidence and underlying assumptions. Nevertheless, benefit-risk assessment is fundamental to improve transparency,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for decision making through the structured systematic approaches.

THE VALUATION OF VARIANCE SWAPS UNDER STOCHASTIC VOLATILITY, STOCHASTIC INTEREST RATE AND FULL CORRELATION STRUCTURE

  • Cao, Jiling;Roslan, Teh Raihana Nazirah;Zhang, Wenjun
    • 대한수학회지
    • /
    • 제57권5호
    • /
    • pp.1167-1186
    • /
    • 2020
  • This paper considers the case of pricing discretely-sampled variance swaps under the class of equity-interest rate hybridization. Our modeling framework consists of the equity which follows the dynamics of the Heston stochastic volatility model, and the stochastic interest rate is driven by the Cox-Ingersoll-Ross (CIR) process with full correlation structure imposed among the state variables. This full correlation structure possesses the limitation to have fully analytical pricing formula for hybrid models of variance swaps, due to the non-affinity property embedded in the model itself. We address this issue by obtaining an efficient semi-closed form pricing formula of variance swaps for an approximation of the hybrid model via the derivation of characteristic functions. Subsequently, we implement numerical experiment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our pricing formula. Our findings confirm that the impa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lying and the interest rate is significant for pricing discretely-sampled variance swaps.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산림 유형 분류 방안 - 임상도와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est Classification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Forest Type Map and Landcover Map -)

  • 전성우;김재욱;정휘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39
    • /
    • 2013
  • Some researcher started studies of natural capital from 1980's. But many researches are going along with the theme lately. Most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are approaching a general assessment using a land-cover map. Therefore they have some problems such as overestimate, underestimate, and double counting, and so on. This study suggested a detailed typology for quantitative assessment about ecosystem services. It compared land-cover map and forest type map to select a based map and made criteria with reference to the literature and field survey. It subdivided a forest typology using ecological feature (natural forest, artifical forest), forest type (coniferous forest, mixed forest, hardwood forest) and age of stand in forest type map. Each forest type is widely distributed 21~40 ages of forests and biggest area is 21~40 ages of mixed forest in all forest typology. Further researches have to progress consistently assessment using detailed typology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환경영향평가와 비용편익분석의 연계를 위한 분석 틀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Analysis-frame Linking EIA and CBA)

  • 안소은;김지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565-574
    • /
    • 2011
  • This paper aims to design a policy-assessment tool lik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nd the Cost Benefit Analysis (CBA). As a step towards the incorpor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siderations, the approach used herein takes the form of integrat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benefits and costs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the project into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EIA. Our case study is an project appraisal of a solar energy plant. It is confirmed that the technique is operational, howev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for a complete assessment. The difficulty mainly originated from the omis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from each step of the valuation process. Alternatively stated, some environmental services are not identified, nor quantified, and nor monetized in the process. More case studies are warranted in the future along with elaboration in methodology of techniques.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on environmental values will be required to accumulate reliable and systematized data. These are the necessary conditions to improving quality in application of techniques as well as providing comprehensive and balanced information to decision makers.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Generation Y in Vietnam

  • NGUYEN, Xuan Tru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407-417
    • /
    • 2020
  • Entrepreneurship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for governments to shape and influenc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ntrepreneurship and improve policy toward the entrepreneurial econom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to Generation Y in Vietnam. A mixed-method includ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was utilized. A focus group was carried out with 11 participants for exploring, reviewing, and testing content validity of constructs and measurement items. The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using data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The cross-sectional survey method was applied. A sample of 221 respondents was constituted, by both electronic and paper surveys with non-probability and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s. SmartPLS 3 software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nine factors were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to Generation Y in Vietnam, includ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family background, entrepreneurial ecosyste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ocial valuation, perceived opportunity, attitud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social value, and ecosystem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have a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건축자재의 악취관능시험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Offensive Odor Sense Test of Construction Materials)

  • 장홍석;문경주;소승영;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825-828
    • /
    • 2008
  • 최근 현대인들의 생활수준과 의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새로운 요구증가로 생활환경과 밀접한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환경에 대한 정성 정량적인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대기환경에 관련한 평가는 기존의 규정된 평가방법이 없어 대기환경공정시험법 및 실내공기질 분석방법 등에 의존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 또한 분석방법 및 항목이 다양하고 분석방법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점 등으로 인해 연구자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있어,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도도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대기환경에 관한 기초 평가방법으로 건강한 사람의 후각을 이용하여 악취의 취기강도를 측정하는 관능시험방법을 건축 재료에 적용하여 시멘트모르타르의 악취평가 프로세서를 제시하고, 시멘트가 수경성 경화체를 형성하는 초기수화과정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악취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