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traits

검색결과 930건 처리시간 0.03초

pH 조절 및 소금 첨가가 돼지 뒷다리부위를 이용한 수리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Adjustment and Sodium Chloride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mi Using Pork Leg)

  • 진상근;김일석;정현정;조주현;최영준;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5-41
    • /
    • 2007
  • pH 조절과 소금 첨가에 따른 돼지 뒷다리 부위를 이용한 수리미의 품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C(명태수리미, 수세 2회, 소금 무첨가), 나머지 처리구들은 돼지 뒷다리 부위를 활용하여 제조한 수리미로 T1(pH 3.0, 소금 무첨가), T2(pH 3.0, 소금 첨가), T3(pH 11.0, 소금 무첨가) 및 T4(pH 11.0, 소금 첨가) 처리구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육색은 pH가 높을수록 $L^*$값과 W값은 높았지만 $a^*$값과 $b^*$값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소금 첨가로 W값은 높았지만 $a^*$값과 $b^*$값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조직감의 응집성은 pH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p<0.05), 탄력성을 제외한 모든 조직특성은 소금 첨가로 인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파괴강도와 젤강도는 pH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p<0.05), 파괴강도, 젤강도 및 젤리강도는 소금 첨가로 인해 높게 나타났으나, 전단가는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결과 연도는 pH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p<0.05), 소금 첨가로 인해 모든 관능평가 항목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H 조절과 소금 첨가 유무 상호작용에는 육색, 조직감, 파괴강도, 변형값, 젤강도, 전단가 및 관능검사 결과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p>0.05). 처리간에는 T2와 T4가 C와 가장 유사한 육색, 조직감, 물리적 특성 및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에서도 pH 11.0 조절과 2% 소금 첨가구인 T4가 전반적으로 더 좋은 품질이었다.

해외소비자의 국내육성 벼 품종에 대한 선호도 및 식미관련 형질 분석 (Preference and Sensory Trait Analysis of Korean Rice Varieties among International Consumers)

  • 이창민;박송희;하수경;이현숙;이길응;이승영;정지웅;박현수;박재령;정오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262-275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자포니카 3품종, 인디카 2품종, 통일형 1품종에 대한 아프리카인, 아메리카인, 아시아인의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인의 선호도와 비교하여 수행되었다. 쌀 외관품위 선호도에서 한국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패널이 쌀이 길고 가는 '한열', '향열', '아미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은 쌀 너비가 긴 '신동진', '드래향' 등을 선호하였다. 해외 패널들은 쌀 외관품위 선호도가 높은 쌀을 식미관능평가에서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해외 패널과 한국인 모두 장립종 품종 '한열'의 외관품위와 식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반면에 국내 육성 품종 중 '아미쌀'과 '신동진'은 해외 패널들 사이에서 외관 선호도는 높았지만, 식미관능평가에서는 '한열'보다 모양, 찰기, 맛 등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육성 쌀을 해외로 수출할 때 식미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식미선호도 및 미질형질 간 연관분석하여 도출된 패널들이 선호하는 식미 특성을 정리하면, 아프리카인은 질감은 부드럽고, 찰기가 없는 장립종 세장형 쌀을 선호하였다. 아메리카인은 질감이 약간 단단하며, 약간 찰기가 있고 노화가 늦게 되는 쌀을 선호하였다. 아시아인은 질감은 부드럽고, 찰기가 약간 낮은 장립종 세장형 쌀을 선호하였다. 한국인은 윤기가 있고, 질감은 약간 단단하고 노화가 늦고 찰기가 있는 쌀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외 진출 및 수출용 품종 개발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국내육성 벼 품종의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육질 우수 버크셔 계통 조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igh Meat Quality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in Berkshire Pigs)

  • 이용화;권슬기;박다혜;권은정;조은석;방우영;박화춘;박범영;최종순;김철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89-97
    • /
    • 2011
  • 본 연구는 버크셔종의 육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돈육시장에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MS marker를 이용한 육질 우수 개체 선발의 효율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버크셔 323두를 동일 사양조건에서 사육하고 도축하여 육질형질을 분석하고, 혈액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50개의 MS marker에 대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버크셔종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듀록, 요크셔, 랜드레이스 종보다도 육질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도축 24시간 후 pH 값은 평균 $5.88{\pm}0.01$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고, 지방함량의 경우에도 $2.878{\pm}0.06$로 확인되었다. MS marker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14개 MS marker가 육질형질과 연관성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특히 pH24hr와 지방함량에서는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대립유전자집단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최고 0.55, 2.04%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버크셔종의 육질 우수 개체 선발에 이용한다면 육색, 지방함량, pH24hr, 가열감량, 드립감량, 그리고 보수성에서 육질 형질값의 높은 개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rowth, Feed Efficiency, Behaviour,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oats Fed Fermented Bagasse Feed

  • Ramli, M.N.;Higashi, M.;Imura, Y.;Takayama, K.;Nakanishi,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594-1599
    • /
    • 2005
  • The effects of long-term feeding of diets based on bermudagrass hay supplemented with lucerne hay cube (LH) or fermented bagasse feed (FBF) on the growth rate, feed efficiency, behaviour, gut development,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oats were investigated. Six spring-born 8-month-old male crossbred (Japanese Saanen${\times}$Tokara native goats) bucks weighing mean 21.6 kg were allotted to 2 treatment groups (3 animals each) and each animal had ad libitum access to feeds, i.e. bermudagrass hay (basal diet)+LH or FBF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FBF was produced by the solid-state fermentation of substrates containing dried sugarcane bagasse mixed with wheat bran in a ratio of 1:3 (w/w DM) with Aspergillus sojae. The live body weight, final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Average basal diet intake of goats fed FBF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ed LH diet (p<0.05), but average dry matter intake (DMI; g/day and g/$W^{0.75}$), feed conversion ratio,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take of experimental di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Goats fed on LH and FBF diets had similar eating, rumination, resting and drinking behaviours, and blood constituents except for phosphorus content. Slaughter and carcass weights, net meat percentage [(total meat/carcass weight)${\times}$100], loin ratio [(loin/total meat)${\times}$100] and rib-eye area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However, goats fed FBF diet had lower dressing percentage and higher bone/muscle ratio compared with goats fed LH diet (p<0.01). Empty gut and guts fill of goats fed FBF diet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and p<0.01, respectively) than those fed LH diet. The weights of rumen and abomasum were also significantly heavier in goats fed FBF diet (p<0.05), but the length and density of papillae of rumen in goa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Although meat composition of loin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the meat of goats fed FBF diet was superior to that of LH diet in flavor, aroma and overall quality of loin (p<0.01). In conclusion, the nature of the diet consumed voluntarily did not affect subsequent growth, nutrient intake and behaviour of goats but had an influence on carcass traits and sensory evaluation of meat partly, when either of LH or FBF was fed with bermudagrass hay.

두록과 교잡돈(두록×재래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과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ion of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s between Duroc and corssbred pigs (Duroc × Korean native pig))

  • 김두완;김기현;홍준기;조규호;사수진;김용민;박준철;설국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425-43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돼지의 고유 특성을 살린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도체특성은 DK1이, 육질특성과 지방산조성은 DK2가 두록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재래돼지를 활용한 우수한 육질의 돼지 품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들깨 개화후기 질소추비가 수량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at Late Flowering Stage on Yield and Chemical Components in Perilla)

  • 배석복;이명희;황정동;심강보;김성업;이춘기;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97-400
    • /
    • 2012
  • 유진들깨의 개화기 후 5일에 시용한 질소 추비(4 kg/10a)를 통해 생육특성과 단백질 함량,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여 들깨의 수량성과 품질 향상의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기의 추비는 대조구에 비해 경장과 주경 마디수, 가지수, 경직경 등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성숙기가 1일 늦었고, SPAD 값은 48.6으로 대조구보다 85% 더 높고 농녹색을 성숙후기까지 유지하였다. 2. 추비구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서 화방군길이, 화방 군수, 군당삭수는 근소하게 더 많았으나 1000립중이 3.4 g으로 대조구 보다 0.8 g 더 무거워 종실수량은 123 kg/10a로 60% 더 많았다. 3. 추비구의 단백질함량은 33.3%로서 대조구 보다 11.5%나 많았으며 국내 유전자원 17.9~28.5%(Park, 1996) 범위를 능가하였으며 기름함량은 48.4%로서 6.2%나 더 높아 추비효과가 있었다. 4. 추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에 비해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이 감소하였고, 불포화지방산에서 linolenic acid와 oleic acids는 감소하였으나 linoleic acid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들깨의 등숙기는 최적생육량과 연계한 적정질소추비는 수량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에너지 사양이 육종가 배치별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energy die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constituents of Hanwoo steers distributed by estimated breeding value for meat quality)

  • 정기용;이승환;장선식;이은미;김현주;박보혜;권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1-368
    • /
    • 2015
  • 본 연구는 육종가를 이용하여 배치한 거세한우에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하여 성장, 도체성적 및 혈액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을 해보았다. 육종가의 적용은 소고기 고급육이 가능한 개체를 선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육종가에 의해 고, 저로 나누어진 한우그룹에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육종가 그룹에서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할 경우 도체성적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6마리의 거세한우를 이용하여 $2{\times}2$ 완전임의배치를 하였다(고에너지, 일반사양 과 고육종가, 저육종가로 배치). 체중, 일당증체량, 건물섭취량, 사료요구율의 결과로 고 육종가 그룹에서 수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청성분분석 결과로 비육후기(20 - 27개월령)의 혈청성분중 포도당과 중성지방 농도가 고육종가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는 도체성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던 혈중 알부민과 인의 성분은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도체중 분석에서는 근내지방도가 고육종가 그룹이 수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특정 혈중대사 성분들 중 포도당과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성분들은 비육후기 육종가가 높을수록 높은 농도로 나타났고 이는 혈중 대사성분이 유전적인 영향에 의해서 변화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돈방바닥 면적과 형태가 비육돈의 생산과 행동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Floor Space and Type on Performance, Behaviour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

  • 김두환;하덕민;송준익;전중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5-172
    • /
    • 2012
  • 비육돈사의 돈방 바닥면적과 형태가 체중 80 kg 이상 버크셔종 비육돈의 생산효율과 행동특성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36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육돈사 돈방바닥 형태는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두당 바닥면적은 $1.0m^2$$2.5m^2$를 비교하였는데,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과 눕고, 걷고 먹는 등의 동작으로 보낸 시간의 비율 등 행동특성 및 부분육 생산량 비교, 등심근 pH, 보수성, 육즙손실, 전단력과 같은 도체품질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육돈의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당 바닥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돈방바닥을 톱밥으로 처리하여도 생산효율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옆으로 누운 자세와 걷는 동작으로 보낸 시간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앉고 걷고 먹고 마시는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돈육 등심근의 수분함량, pH, 보수성, 육즙손실 및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m^2$$2.5m^2$의 두당 바닥면적 및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 간에 등심근의 육질특성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Sodium Tripolyphosphate와 카놀라유 첨가가 산란 성계육으로 제조한 치킨너깃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Tripolyphosphate and Canola Oil on the Quality of Chicken Nuggets Made from Old Layer Meat)

  • 김준태;;정해성;안병기;이성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9-96
    • /
    • 2018
  • 본 실험은 75주령 산란 성계(Hy-line) 가슴육을 이용하여 너깃을 제조하는데 STPP와 카놀라유 첨가가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성계육 너깃에 STPP를 0%, 0.1%, 0.2%, 0.3% 첨가할수록 수분함량과 수율 그리고 전단력과 경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평가에서도 STPP 0.3%를 첨가하면 조직감과 향기 점수가 증가하였다(P<0.05). 카놀라유를 5%, 10%, 15%로 각각 첨가하여 성계육 너깃을 제조하면 카놀라유의 함량 증가에 따라 지방 유출과 수분 유출량이 증가하였지만(P<0.05), 전단력 및 경도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평가에서도 카놀라유 15%를 첨가하면 조직감과 종합적 기호도가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P<0.05). 이를 종합해 보면 STPP 0.3%와 카놀라유 15%를 성계육 치킨너깃에 첨가하면 품질이 향상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Meat Quality and Volatile Flavor Traits of Duroc, Berkshire and Yorksire Breeds

  • Dashmaa, Dashdorj;Cho, Byung-Wook;Odkhuu, Ganbat;Park, Kyoung-Mi;Do, Kyoung-Tag;Lee, Ki-Hwan;Seo, Kang-Seok;Choi, Jae-Gwan;Lee, Moon-Jun;Cho, In-Kyung;Ryu, Kyeong-Seon;Jeong, Da-Wo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7-816
    • /
    • 2011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 in objective and subjective meat quality properties among the pure-breed boars of Duroc, Berkshire and Yorkshire. Ten longissimus lumborum (LD) muscles were collected from each breed after 24 h slaughtering. The breed typ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ramuscular fat content, moisture (p<0.01), pH, sarcoplasmic protein solubility and color (p<0.05), whereas cooking loss and Warner Blazer shear force (WBsf) did not differ among the breeds. The Yorkshire breed showed significant (p<0.05) lower sarcoplasmic protein solubility, pH and CIE $a^*$ value when compared with other breeds. The sensory panels identified Duroc as having greater overall acceptability and higher rating values than other breeds. The ole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erkshire (29.85 %) than in the Duroc (40.19 %) and Yorkshire breeds (38.18 %, p<0.05). The Yorkshire breed showed the most desirable ratio of poly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s (0.31) than the Berkshire (0.16) and Duroc breeds (0.15, p<0.05). 40 volatile compounds have been identified and quantified, while aldehydes were the most abundant among flavor substances. Aldehyd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leic acid content (p<0.05). Current data indicated that each breed had their own merits and deficiencies in terms of meat qualityThe Yorkshire breed showed a greater number of weak points. Furtherm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 fat-driven flavor componen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fatty acid composition.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did not show any negative effects on meat flavor if cooked meats were consumed soon after coo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