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dratic Functions and Graph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일차함수의 그래프에 기초한 이차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An Analysis on the Pedagogical Aspect of Quadratic Function Graphs Based on Linear Function Graphs)

  • 김진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1호
    • /
    • pp.43-61
    • /
    • 2008
  • 현 교육과정에서 이차함수 그래프에 관한 교수-학습은 대수적 조작에 의한 완전제곱형식으로의 변환을 강조하고 이미 선행한 일차함수의 그래프와는 무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차함수 그래프의 구조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대칭성, 꼭지점 및 합동에 대한 기하적인 근거를 일차함수의 그래프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이것의 결과를 구체적 이차함수에 대해 그 꼭지점의 좌표 및 절편을 찾는 데 적용한다. 본 연구는 이차함수 그래프의 구조적 특성을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기하적으로 연결시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그 기하적인 과정은 완전제곱형식의 대수적 절차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일차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가 이차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로 전이되어 이차함수에 대한 기하적인 이해를 넓히는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Understanding of Teaching Strategies on Quadratic Function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Huang, Xingfeng;Li, Shiqi;An, Shuhu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7-194
    • /
    • 2012
  • What strategies are us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quadratic functions in mathematics classroom? In specific, how does Chinese teacher highlight a connection between algebraic representation and graphic representation? From October to November 2009, an experienced teacher classroom was observed. It was found that when students started learning a new type of quadratic function in lessons, the teacher used two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for their learning: (1) Eliciting students to plot the graphs of quadratic functions with pointwise approaches, and then construct the function image in their minds with global approaches; and (2) Presenting a specific mathematical problem, or introducing conception to elicit students to conjecture, and then encouraging them to verify it with appoint approaches.

GeoGebra를 활용한 연립이차방정식 교수.학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Simultaneous Quadratic Equations Using GeoGebra)

  • 양성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265-288
    • /
    • 2021
  •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system of equations is first introduced in 'Variables and Expressions' of [Middle School Grades 1-3]. Then, It is constructed that after learning the linear function in 'Func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phs of two linear functions and the systems of linear equations are learned so that students could improve the geometric representation of the systems of equations. However, in of Elective-Centered Curriculum Common Courses, Instruction is limited to algebraic manipulation when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of quadratic equations. This paper presen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onnection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s by providing geometric representations in parallel using GeoGebra, a mathematics learning software, with algebraic solu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simultaneous quadratic equations.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활용 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bile-Based Math Learning Application)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593-6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학의 내용을 담아낸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수학 교수 학습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수학의 '이차함수와 그래프', '대푯값과 산포도' 단원에서 조작을 통한 개념 탐구와 토론 학습이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중3수학교실>을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수학교육 전문가, 수학 교사, 컴퓨터공학 전문가, 디지털 애니메이션 감독과 협업하여 개발하였다. 이때, 예비교사의 도움을 받아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학 수업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교수 학습 지도안과 어플리케이션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고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HOMOGENEOUS MULTILINEAR FUNCTIONS ON HYPERGRAPH CLIQUES

  • Lu, Xiaojun;Tang, Qingsong;Zhang, Xiangde;Zhao, Che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4권3호
    • /
    • pp.1037-1067
    • /
    • 2017
  • Motzkin and Straus established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maximum clique problem and a solution (namely graph-Lagrangian) to the maximum value of a class of homogeneous quadratic multilinear functions over the standard simplex of the Euclidean space in 1965. This connection and its extensions were successfully employed in optimization to provide heuristics for the maximum clique problem in graphs. It is useful in practice if similar results hold for hypergraphs. In this paper, we develop a homogeneous multilinear func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hypergraphs and their complement hypergraphs. Its maximum value generalizes the graph-Lagrangian. Specifically, we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clique number and the generalized graph-Lagrangian of 3-uniform graphs, which supports the conjecture posed in this paper.

이차함수에서 두 변량사이의 관계 인식 및 표현의 발달 과정 분석: 민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A student's conceiving a pattern of change between two varying quantities in a quadratic functional situation and its representations: The case of Min-Seon)

  • 이동근;문민정;신재홍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299-315
    • /
    • 2015
  • The aim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wofold: 1) to analyze how an eleventh-grader, Min-Seon, conceive and represent a pattern of change between two varying quantities in a quadratic functional situation, and 2) further to help her form a concept of 'derivative' as a tool to express the relationship with employing a concept of 'rate of change.' The result indicates that Min-Seon was able to construct graphs of piecewise functions that take average rates of change as range of the functions, and managed to conjecture the derivative of a quadratic function, $y=x^2$. In conclusion, we argue that covariational approach could not only facilitate students' construction of an initial function concept, but also support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erivative.'

The Effect of Using Graphing Calculators on Students' Understanding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and Graphing Calculators

  • Kwon, Oh-Nam;Kim, Min-Kye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1-2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graphing calculator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inear and quadratic function concepts. The populators of this study are tenth graders at high school in Seoul, one class for the treatment group and another class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experiment period is 14 weeks including two weeks for school regular exams.Function tests used in the study was proposed which described a conceptual knowledge of functions in term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a) Conceptual understanding, b) Interpreting a function in terms of a verbal experission, c) Translating between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functions, and d) Mathematical modeling a real-world situation using functions. Even though the group test mean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interpreting, translating, mathematical model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re is evidence that the two groups differed in their performance on conceptual understanding. It was shown that students learned algebra using graphing calculators view graphs more globally. The attitude survey assessed students'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he value of mathematics, the usefulness of graphs in mathematics, mathematical confidence, mathematics anxiety, and their feelings about calculators. The overall t-tes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anxiety toward mathematics.

  • PDF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생명.나노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 (Study of Structural Scheme of Basic Mathematics Education in University - Focusing on life and nano-related areas -)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21-247
    • /
    • 2008
  •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과 그 방안을 찾기 위하여, 그 분야의 대학생들이 기본함수(2차 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에 대한 그래프 표현과 그래프에 내포한 기본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고등학교 기초 수학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분야와 관련된 전공 서적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학 내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기본함수에 대한 그래프 표현과 그래프에 내포한 정보에 대한 이해 및 고등학교 기초 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각 전공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내용의 양과 내용의 깊이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 구성에서, 각 전공 분야의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기초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반영하고 각 전공에 따라 수학 내용의 양적인 면과 내용의 깊이를 다양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Maple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trigonometric function using Maple)

  • 한동승;유흥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9
    • /
    • 2001
  • Since the computer is becoming more and more indispensible tool in every fields of the modern society, it is needed and desirable to utilize the computer as a basic tool from the very early stage of the education process. Recently Maple is gaining its popularity as a comprehensive mathematical software with its power of symbolic calculations and graphics as well as its great numerical computational ability. We demonstrate the suitability of this software as a tool for the mathematical education and presents several examples of the applications of Maple. For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ourses, we give the application examples for the quadratic functions and their graphs, statistics, the three dimensional shapes, algebraic problems. Through the examples, we confirm that mathematical education can be much more effective and simple by using Maple. If we establish computer-assisted mathematical classes, we can draw more attention and excitement from the attendants than traditional classes and eventually improve more rapidly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xcess of the computer-aided education give to obstacle of psychological, not to be passing over the fact.

  • PDF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s of Algebra, Connections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a CAS Environment)

  • 박희정;김경미;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03-43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6명을 대상으로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업이 대수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협동 수업에서 학생들이 방정식, 부등식, 함수의 개념을 각각 어떻게 연결 짓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업 이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그래핑 계산기는 학생들이 지필로 푼 문제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지필로 푼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방정식과 일차 부등식을 자기 반성적으로 학습하도록 도와주었다. 이차 부등식에서는 학생들이 기존에 암기하고 있었던 공식으로 문제를 푸는 것에 한계를 느끼게 함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개념을 수정하고 이차 함수를 통하여 이차 부등식의 근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었다. 함수에서는 함수의 정의를 여러 가지 문자와 수식을 이용하여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함수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그래핑 계산기의 활용은 방정식, 부등식, 함수 영역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도와주었고, 학생들에게 수학의 유용성과 실용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