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검색결과 2,059건 처리시간 0.029초

참나무 수엽의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tive Value of Oak Browse)

  • 이인덕;이중해;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1-227
    • /
    • 1993
  • Browse from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Quercus serrata Thunb., Quercus acutissima Carruth., Quercus variabilies Blume, and Quercus dentata Thunb. were analyzed for crude protein (CP). crude fiber(C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ellulose. ligni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DMD), and tannin acid equivalents(TAE).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MD.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digestible energy(DE), and metabolizable energy(ME) were estimated. Oak brows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hrough October from 1990 to 1992 in Mt. Kyeryong. Browse from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contained higher levels of CP, DMD. TDN, DE. and ME. but lower levels of CF, NDF. ADF, and TAE as compared with other oak browse. Differences among seasons and years in the concentration of CP. NDF,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0MD) were significantly appeared in all oak browse(P<0.05). The order of preference ratings of oak browse were Quercus aliena ) Quercus acutissima ) Quercus serrata ) Quercus mongollca ) Quercus variabilies ) Quercus dentat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sidered that Quercus aliena and Quercus acutisslma were more valuable browse source than others.

  • PDF

명지산 신갈나무림의 군락분류와 식생패턴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Patter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Myongji)

  • Lee, Ho-Joon;Lee, Jae-Seok;Byun, Doo-W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85-201
    • /
    • 1994
  •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vegetation of Mt. Myongji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including four subunit communities and one typical subunit community by the Z-M method as follows: Acer pseudo-sieboldian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Quercus mongolica - Isodon excisu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Styrax obassi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Lespedeza bicolor subunit coummunity Quercus mongolica - Aconitum longecassidatum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Rhododendrom schlippenbachii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Cornus controversa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Styrax obassia typical subunit community Acer pseudo-sieboldianum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distributed over the upper region of the altitude 400m, and the differential species in the community were Carex siderosticata, Sephanandra incisa, Tripterygium regelii, and Fraxinus rhynchophylla. The vegetation patterns for the slope and azimuth showed that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for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observed on the broad subxeric area, and for Carpinus cord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on the wet site, for Acer mono, Styrax obassia, Fraxinus rhynchophyll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on the xeric site. The best habitat condition for Quercus mongolica was found at a subxeric site at the altitude of 700-900m on southern slope and that for Acer pseudo-sieboldianum at the 700-1100m on northern slope.

  • PDF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Structure on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Korea)

  • 김인택;송민섭;정승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6-361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상수리나무림의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간의 상관관계, 잠재자연식생, 입지에 따른 상수리나무의 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여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1.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군집구분은 1군단, 3군집, 3아군집, 3전형아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I. 상수리나무군단(Quercion acutissimae) A.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 nov.) A-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A-2. 전형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B.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o. nov.) B-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B-2. 전형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C.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 C-1. 갈참나무아군집(Carpino-Quercetum quercetosum subass. nov.) C-2. 전형아군집(Carpino-Quercetum typicum subass. nov.) 2. DECORANA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은 저지대 산지,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은 상대적으로 해발이 높은 지역의 산지대,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은 주로 계곡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군집들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명료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리나무림의 대부분이 저지대 및 농경지 주변의 교란요인이 심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상수리나무림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Quercus serrat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serrata Community 2) 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 nov.$\rightarrow$Quercus mongolic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mongolica Community 3) 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Carpinus laxiflor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Carpinus laxiflora Community

여름철 참나무속의 이소프렌 배출속도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Isoprene Emission Rates from Oak Trees in Summer)

  • 김조천;김기준;홍지형;선우영;임수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118
    • /
    • 2004
  • In order to compare the NVOC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rates from oak trees, the emission rates of isoprene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in situ based on tree species and region. As a result, the emission rates from Quercus serrata T. were found to be 1000 times greate. than those from Quercus acutissima C. However, the emission rates at the Chili and Gumsung mountain sit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mmer. Cuvette tests using four different oak species also supported that there was a tremendous difference in emission rates between Quercus serrata T. and Quercus acutissima C. It was found that the emission rates from the trees were highest on the order of Quercus serrata T., Quercus aliena B., Quercus acutissima C. and Quercus variabilis B.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林)과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by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 장규관;송호경;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14-222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낙엽 활엽수림의 대표적인 수종인 신갈나무림을 분류하기 위하여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및 중왕산의 자연 식생 중에서 100개소를 조사하였으며,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하여 군락을 분류하였다. 1. 신갈나무림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면 신갈나무-당단풍 군락군의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 전형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및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은 다시 복장나무 하위 군락 및 전형 하위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 TWINSPAN에 의하여 분류하면 신갈나무-복장나무 군락,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곽, 신갈나무-당단풍 군락,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3.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두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 방법은 상호 보완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 충북 중.북부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류 삼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spp.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of Middle and Northern Parts, Chungbuk Province, Korea)

  • 이장순;김헌규;송종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207-214
    • /
    • 2005
  • 본 연구는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 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시루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졸참나무-상수리나무하위단위(Quercus serrata-Quercus acutissima group), A-2. 신갈나무하위단위(Quercus mongolica group), B. 신갈나무-철쭉군락(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 떡갈나무-홀아비꽃대군락(Quercus dentata-Chloranthus japonicus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각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l Park)

  • 송호경;장규관;오동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2-468
    • /
    • 1998
  •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설악산 한계령 지역과 백담사 부근에서 2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CC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갈나무림은 신갈나무-피나무 군집, 신갈나무-젓나무 군집,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과 신갈나무-졸참나무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군집들과 환경요인들과의 관계로 보면 신갈나무-ㅠㅣ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젓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중간이며,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다.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은 해발고, C.E.C., 전질소 등이다.

  • PDF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the Region from Wolgagsan to Dogabja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2-129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각산-도갑재 지역에 14개의 방형구 ($20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4개 조사구는 굴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상수리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지역은 대부분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의 상대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간, 때죽나무와 먹갈나무 및 상수리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비목나무 및 소나무간, 생강나무와 진달래간 자귀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감나무와 떡갈나무간, 굴피나무와 비목나무간, 노린재나무와 상수리나무간,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생강나무 및 쇠물푸레 그리고 진달래간, 상수리나무와 자귀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2430{\sim}1.2892$로 나타났다.

완도(莞島) 백운봉(白雲峰) 상록활엽수림(常綠闊葉樹林)의 산림군락구조(山林群落構造) 연구(硏究)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y at Baegunbong Area in Wando)

  • 배행근;박문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56-766
    • /
    • 2001
  • 자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백운봉지역 상록활엽수림의 산림군락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31개의 조사구($3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구내에서 출현된 54개의 수종에 대한 평균중요치를 변수로 Cluster 분석한 결과 붉가시나무군락(Quercus acuta community),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군락(Quercus acuta-Deciduous 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붉가시나무-상록 낙엽활엽수군락(Quercus acuta-Evergreen Deciduous 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교목상층과 교목하층의 식피율은 각각 평균 88%, 53%였고, 출현빈도가 높은 식물은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사람주나무, 당단풍 순이었다. 조사지 내 주요 우점 수종은 붉가시나무 외에 때죽나무, 산벚나무, 서어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가 우점하였으며, 교목하층은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사람주나무 순으로 우점하였다. 산정 주변지역을 제외하고는 교목상층 및 교목하층에서 우세한 붉가시나무림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각 군락에 대한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군락이 0.687,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이 0.866,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군락이 0.933, 붉가시나무-상록 낙엽활엽수군락이 0.966,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이 1.018로 나타났다. 각 군락에 대한 우점도는 0.206~0.416으로 나타났다.

  • PDF

오대산 삼림식생의 종간친화력 및 서열분석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and Ordin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Odae)

  • 이호준;변두원;김창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3호
    • /
    • pp.291-300
    • /
    • 1998
  • The forest vegetation of Mt. Odae based on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Patrinia saniculaefolia. Thirty-one species of Quercus mongolica group including Quercus mongolica and Acer mone, 12 species of Pinus densiflora group comprising Pinus densiflora and Spodiopogon sibiricus, 6 species of Quercus variabilis group and 4 species of Patrinia saniculaefolia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the results of species ordination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7 clusters by the humidity and acidity of soil, 4 clusters by th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and 7 clusters by the acidity and light intensity were formed. The plot ordination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species based on the humidity, soil acidity and total organic matters was in the order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groups, and based on the light intensity was in the order of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