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ST(quantitative sensory tes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광용적맥파와 정량적 감각검사의 비교를 통한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sefulness of Quantitative Sensory Test Comparison with Photoplethysmography)

  • 이상봉;서정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15-322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당뇨병 및 신경병증의 병력이 없는 17명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감각검사(QST)와 광용적맥파(PPG)와의 비교를 통해 정량적 감각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며, 광용적맥파 검사를 이용한 혈당수치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부교감신경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혈당검사와 광용적맥파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혈당수치에 따라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이 느려지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량적 감각 검사가 주관적 평가에 의한 검사이기는 하나 검사의 민감도를 신뢰할 수 있다고 보이며 따라서 말초 신경의 평가도구로서 정량적 감각검사가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의 진단의 민감도를 높이는데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광용적맥파 검사가 심박변화율에 의한 자율신경계를 평가하는 후속연구에 기초자료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부종에 대한 정량적 감각 평가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on Edema of Upper Extremity for Stroke Patients)

  • 이영신;정대인;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51-859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비마비측과 상지부종이 있는 마비측의 정량적 감각 평가(QST)를 비교함으로서 부종 관리 및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I군(n=15)과 만성기 뇌졸중 환자II군(n=17)을 대상으로 비마비측과 마비측에 대한 상지용적의 차이, 기계적 동통 역치(MPT), 냉감역치(CST), 온감역치(WST), 냉통증역치(CPT), 온통증역치(WPT), 진동감각 역치(VST)에 대한 정량적 감각 평가(Q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군내 비교 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I군과 II군의 군간 마비측 감각 평가 비교에서는 기계적 동통 역치(MPT)를 제외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아급성기에는 만성기에 비해 상지부종으로 감각역치 증가로 인한 감각저하가 초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부종에 따른 감각적 특성 차이를 정량적 평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량적 감각 검사: 한국인에서의 연령별 정상 범위 및 당뇨병성 다발신경병증에서의 유용성 평가 (Quantitative Sensory Test: Normal Range in Korean Adults and Application to Diabetic Polyneuropathy)

  • 김수현;안석원;김성민;홍윤호;박경석;성정준;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2010
  • Background: Although quantitative sensory test (QST) is being u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for measuring sensory thresholds in clinical practice and epidemiologic studies, there has been no age-matched normative data in Korean ad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QST in diabetic polyneuropathy with normal range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Computer Aided Sensory Examination IV 4,2 (WR Medical Electronics Co., Stillwater, Minnesota, U.S.A.), with 4,2,1 stepping algorithm was used to determine vibration and cold perception threshold in 70 normal controls and 19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aged from 21 to 79 years. The data were used to define age-matched upper and lower normal limits and normal range of side to side difference. We also evaluated the duration of diabetes, serum HbA1C level, and findings of nerve conduction study (NCS) and QST in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Results: In normal adults, sensory thresholds slightly increased with age, and a slight side-to-side difference was observed.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QST was not higher than NCS in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y (36.8% vs. 42.1%, p=0.716), especially among elderly patients. Conclusions: QST might be used as a complementary test for NCS in the diagnosis of diabetic polyneuropathy. Although the QST is a simpl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eripheral nerve function, there are some limitations. Most of all, because the QST measuring is dependent on the subjective response of patient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cooperation of the patients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 And thus, attention should be paid during the interpretation of QST result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neuropathy.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as a diagnostic tool of small fiber neuropathy

  • Suh, Bum Chun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1-6
    • /
    • 2022
  • Small fiber neuropathy is a painful neuropathy that cannot be assessed using nerve conduction studies. A skin biopsy and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are the gold standards for small fiber neuropathy diagnosis. However, a skin biopsy is invasive and commercially unavailable in Korea. QST is a method involving a thermal threshold, but its results can be affected by cognition as well as les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is a quantitative method of assessing sweat glands innervated by small fibers. In this review, we assessed the utility of QSART in evaluating small fiber neuropathy.

Orofacial Thermal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A Study of Healthy Korean Women and Sex Difference

  • Ahn, Sung-Woo;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0권3호
    • /
    • pp.96-101
    • /
    • 2015
  • Purpose: Thermal sensory test as an essential part of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has been recognized as a useful tool in the evaluation of the trigeminal nerve function. Normative data in the orofacial region have been reported but the data on differences in the test site, sex and ethnicity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ormal range of orofacial thermal QST data in the healthy Korean women, and assess sex difference of thermal perception in the orofacial regions. Methods: Thermal QST was conducted on 20 healthy women participants (mean age, 26.4 years; range, 21 to 34 years). The thermal thresholds (cold detection threshold, CDT; warm detection threshold, WDT; cold pain threshold, CPT; and heat pain threshold, HPT) were measured bilaterally at the 5 trigeminal sites (the forehead, cheek, mentum, lower lip and tongue tip). The normative thermal thresholds of women in the orofacial region were evaluated using one-way ANOVA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from age- and site-matched 30 healthy men (mean age, 26.1 years; range, 23 to 32 years) using two-way ANOVA. One experienced operator performed the tests of both sexes and all tests were done in the same condition except the time variability. Results: Women showed significant site differences for the CDT (p<0.001), WDT (p<0.001), and HPT (p=0.047) in the orofacial region. The CDT (p<0.001) and the CPT (p=0.007) presented significant sex difference unlike the WDT and the HPT. Conclusions: The thermal sensory evaluation in the orofacial reg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ite and sex and the normative data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assessment of the sensory abnormalities in the clinical setting.

만성 허리통증환자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중추성과 말초성 자극에 따른 감각변화의 차이 (Difference of Sensory Changes by Central and Peripheral Stimulation for Improving Life Care in Chronic Low Back Patients)

  • 김경윤;박치복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21-230
    • /
    • 2020
  • 본 연구는 만성 허리통증환자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해 중추성과 말초성 자극에 따른 감각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2명의 만성 허리통증환자는 중추성 자극군(central stimulation, CS, n=6)과 말초성 자극군(peripheral stimulation, PS, n=6)으로 무작위 할당하여 정량적감각검사(QST), 압력통각역치(PPT) 그리고 요통기능장애지수(ODI)를 정량적으로 측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QST, PPT 그리고 ODI는 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01) 두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두 자극 모두 통증으로 인해 민감해진 근육의 감각역치 증가와 기능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여 만성 허리통증환자를 위한 라이프케어 증진에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삼차신경손상의 온도역치검사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Thermal Threshold Test of Trigeminal Nerve Injuries)

  • 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43-250
    • /
    • 2012
  • 임플란트 수술이나 발치 같은 침습적인 치과치료로 인한 삼차신경 손상의 증가는 최근 치과계의 가장 민감한 문제의 하나로서 향후 법적인 문제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신경손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 즉, 정량적 감각신경 검사(quantitative sensory testing)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온도역치 검사는 QST의 필수 항목으로 구강영역에서도 신뢰성이 입증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삼차신경손상과 관련한 온도역치 검사에 대한 보고가 아직 없기에, 본원에서 시행한 일부 증례의 온도역치 검사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삼차신경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중 온도역치 검사를 시행한 18명의 환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냉인지역치(cold detection threshold, CDT)는 이환측이 비이환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온인지역치(warm detection threshold, WDT), 냉통각역치(cold pain threshold, CPT), 열통각역치(heat pain threshold, HPT)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더 많은 피검자를 대상으로 온도 자극과 관련하여 감각저하나 감각과민, 통각저하나 통각과민 같은 유형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젊은 한국 여성의 구강안면영역에서 절대적 온도역치와 상대적 온도역치간의 비교 (Comparison of absolute and relative thermal QST thresholds In the orofacial region of the young Korean women)

  • 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4호
    • /
    • pp.367-372
    • /
    • 2013
  • 신경손상과 관련된 감각이상의 평가 시 정량적 감각 신경검사법 중의 하나인 열역치검사법을 사용하며 환자의 열 자극에 대한 역치 값은 건강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얻은 정상치 (절대값)와 비교하거나 손상부와 대응되는 비이환측에서 측정한 값 (상대값)과 좌우 비교를 통해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기존의 문헌들을 통해 상대값을 이용한 좌우비교가 집단의 절대값을 이용한 방법보다 감각신경의 이상을 판단하는데 더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구강안면부에서 절대값에 대해 상대값이 갖는 효율성 여부와 그 정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에 이번 연구를 통해 구강안면부에서 상대값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절대값과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19명의 건강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이마, 뺨, 이부, 하순, 혀의 양측에 정량적 온도역치검사를 시행하여 상대 값과 절대값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연구를 통해 각 구강안면부에서 상대값을 이용한 좌우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절대값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최대 4.6배 작은 표준편차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구강안면부에서 상대값을 이용한 정량적 온도역치검사법은 타당도가 있으며 절대값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감각신경의 이상을 판단하는데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in Stress, Quantitative Sensory Threshold, Pain on Tension Type Headache

  • Lee, Young-Sin;Lee, Dong-Jin;Han, Sang-Wan;Kim, Kyeong-Tae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6호
    • /
    • pp.442-448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stress, quantitative sensory threshold and pain in patients suffering from tension type headache. Methods: 22 participants who passed the preliminary evaluation were enrolled in the study and 11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The control group (n=11) was subject to the TENS treatment of which was composed of a 20-minute session for 5 times a week during 4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n=11) was subject to both neuro feedback training and TENS treatment for 10 minutes a day and 5 days a week during 4 weeks.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was used to measure a level of stress and the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cold pain threshold (CPT) and heat pain threshold (HPT); A degree of pain was evaluated through the headache impact test-6 (HIT-6). Results: In comparision of all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control and subject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quantitative sensory threshold and pain after the treatment (p<0.05),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CPT, HPT and pain (p<0.05)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PT (p<0.05).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the TENS treatment and neuro 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on alleviation of stress, quantitative sensory threshold and pain in patients with tension type heada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