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mpkin flow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전북지역에서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의 발생소장과 피해 (Seasonal Occurrence and Damage of Bactrocera scutellata (Diptera: Tephritidae) in Jeonbuk Province)

  • 김양표;전성욱;이상계;김광호;최낙중;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99-304
    • /
    • 2010
  • 2008년 6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전북 전주시 및 인근의 진안군에서 호박꽃과실파리(Batrocera scutellata(Hendel))의 연중 발생소장, 호박꽃의 피해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호박꽃과실파리 성충 유인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6가지 재료를 대상으로 유인시험을 수행하였다. 호박꽃과실파리 성충은 6가지의 유인물질(Cue-lure, Eugenol, GF-120, Cucurbita sp., Protein, Water) 중 GF-120와 Cue-lure에 수컷 성충(male)이 유인되었고, 유인효과는 Cue-lure가 가장 좋았다. 호박꽃과실파리 성충의 발생최성기 조사에서는 Cue-lure를 사용한 텔타트랩에서 첫 우화 성충(male)이 포획되었고, 7월 중순에서 8월 초순 사이에 한 번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냈고, 9월 초순에 다시 한번 발생피크를 보였다. 발생소장 조사시 사용되었던 PETE트랩과 델타트랩에서 모두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이 포획되었으며 트랩 형태상 좌우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델타트랩에서 조금 더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다. 특이한 점은 호박꽃과실파리가 호박의 수꽃만을 가해한다는 기존 보고와는 다르게 암꽃과 줄기에서도 유충이 발견되었다. 호박꽃의 피해는 암꽃이 30.7%, 수꽃이 53.8%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총 51.9%의 피해율을 보였다. 월별로 보면 피해받은 호박꽃 중에서 8월과 9월에 피해받은 꽃이 72.7%로, 호박꽃과실파리의 발생최성기와 일치하였다. 한편으로는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꽃에서도 호박꽃과실파리 유충이 채집되었다.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애호박 세균점무늬병 (Bacterial Spot Disease of Green Pumpkin by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 박경수;김영탁;김혜성;이지혜;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58-167
    • /
    • 2016
  • 육묘장과 재배포장의 애호박에서 새롭게 발생한 병원균의 특성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병징은 잎에 수침상의 병반과 강한 노란색의 둘레무리를 가진 점무늬, 꽃에서 갈색 병반, 열매에 노란색의 점무늬였다. 잎의 점무늬로부터 분리된 세균은 박과작물 8개의 식물체, 흑종호박, 애호박, 쥬키니호박, 풋호박, 참박, 참외, 멜론, 오이에 병원성이 있었지만 수박과 밤호박에서는 병을 일으키지 못했다. 분리세균은 다발모를 가진 막대형으로 그람음성이며 King's B 배지에서 형광성이었으며, LOPAT 1a 그룹에 속했다. 그들의 Biolog 기질이용성은 Biolog database의 P. syringae pv. syringae 이용성과 유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와 4개의 항존유전자(gapA, gltA, gyrB, rpoD)의 염기서열과 PAMDB에 있는 P. syringae균주들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MLST는 애호박 분리균주들이 P. syringae pv. syringae 균주들과 동일한 그룹(clade)으로 그룹화되었고, MLST 계통수에서 애호박 분리균주들의 그룹(clade)은 genomospecies 1에 속하였다. 표현형적, 유전적 특성은 애호박 분리균이 P. syringae pv. syringae임을 제시하였다.

채소 식품의 건강 이미지가 기호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y Image on Preference and Intake of Vegetables)

  • 박모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1-15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mage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19 vegetables. A total of 359 usable survey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females (51.8%), university students (50.7%), home residents (66.9%) and subject's spending 20,000~40,000 won on meals/week (41.5%) and eat out 2~3 times/week (29.5%). The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was 2~3 times per month. The healthy image of all vegetables was good overall and the average preference was 3.78 (out of 5 on the Likert). Tomatoes had the healthiest image, onions the highest preference, and Korean cabbage the highest intake frequency. For males, the vegetable with the healthiest image was sesame leaf, while the healthiest foods for females were broccoli and tomatoes. Elementary students had a healthier image of cucumber, bean sprouts, radish, sesame leaf, lettuce, radish leaf, and cabbage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Home residents had a healthier image of cabbage and burdock than other types of residents. Subject that st over 20,000 won per week on meals had a higher image of most vegetables. In terms of preference, males liked Korean cabbage, green pumpkin, balloon flower roots, radish leaf, and lotus root, but female liked tomatoes. In addition, elementary students, home residents, and subjects who eat out less often tended to prefer vegetables. In terms of intake,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intake for all vegetables in adults. Home residents specifically had a higher intake of cucumber, carrot, bean sprouts, spinach, green pumpkin, balloon flower roots, lettuce, radish leaf, broccoli, burdock, lotus root, and tomato. Overall, the healthy image of vegetab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Therefore, to encourage the intake of vegetables, direct or indirect variables should be examined.

저장기간에 따른 냉동 비빔밥 나물의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 (The Microbiolog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frozen bibimbap namul during storage)

  • 한영실;박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5
    • /
    • 2001
  • Namul cooked with the standard recipe was examined by research of microbiological test for three months and sensory evaluation of frozen namul after reheating. When the namul was freezed storage, in the microbiological test namul began to change on the 40th day, but there was no problem about stability of storage until 3 months. The overall qualities of taste, flavor, color and texture were examined by sensory evaluation of frozen namul after reheating. The pH was seemed to change slowly, its color was changed on the 20th day from the beginning of storage. Radish root represented substantial difference in texture and overall quality on the 20th day. The off-flavor of immature pumpkin stated on the 25th day. Later 10days nettle tree mushroom began to be changed in its taste, texture, overall quality and appearance, then on the 25th day it was seemed to have low preference. But oak mushroom kept its quality good for 25 days. Oyster mushroom was changed in color, appearance and overall quality on the 20th day. Bracken had low preference in taste, texture and moisture on the 25th day. The color of spinach was changed on the 15th day, and its taste on the 20th day. Soybean sprout was changed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quality on the 15th day, and overall quality marked low preference on the 25th day Root of bell flower was changed on the 25th day(p<0.05).

  • PDF

생식용 체리 비가림 재배시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 L.)의 화분매개 곤충 활용 (Utilization of Bombus terrestris as a Sweet Cherry Pollinator in Rain-sheltered Growing)

  • 곽용범;김홍림;최영하;이재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298
    • /
    • 2012
  • 체리의 경우 유과기나 과실수확기에 비가 잦을 경우 각종 곰팡이에 의한 과실썩음병과 열과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장마기가 있는 기후조건에서는 농약살포 횟수를 줄이고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가림 시설재배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체리의 개화시기는 4월 상 중순으로 개화기 저온에 의해 자연상태의 꿀벌을 통한 화분매개는 결실율이 불안정하며, 봄철에는 화분매개용 꿀벌 봉군을 구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설재배 방울토마토, 애호박 등에서 화분매개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서양뒤영벌을 비가림 재배 조건에서 꿀벌을 대신하여 체리에 대한 화분매개 곤충으로 이용코자 하였다. 방화활동력은 서양뒤영벌의 경우 한 꽃에 약 6초 정도 머물러 분당 11개 정도의 꽃을 방문하였고, 꿀벌의 경우 한 꽃에 약 15초씩 머물러 분당 4~5개 정도의 꽃을 방문하였다. 또한 결실율과 과실특성에 있어 두 벌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비가림 체리 재배에서 개화기에 화분매개용으로 꿀벌을 대신하여 서양뒤영벌을 이용하더라도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다.

채소기피 아동에 대한 영양교육 효과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 장순옥;이견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권1호
    • /
    • pp.2-9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whether nutritional education on children or mothers of the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can improve the preferences for the vegetables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45 children who are fourth to sixth grade of primary school in Bibong.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which are Control, Children Education and Mothers Education groups.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special education, whil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nutritional education for 4 weeks. The effects of education was evaluated in the aspects of preference changes for vegetables,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food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eferences to cucumber, lettuce, chinese cabbage and raddish were high in three groups while greenonion, onion, lotus roots and red pepper didn't suit for their taste. 2.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for the preference to red pepper, pumpkin, Dorajee(root of chinese bell-flower), braken, mushroom was shown only in the children who had nutritional education while the children in the group of Mothers Education improved their preference only cabbage and lotus roots. 3. Nutritional knowledge of the children in Children Education group has improved significantly(p<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Mothers Education group. 4. When scores for food habit of mother and children were estim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However, score of food habit in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s. 5.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of mother were not well corelated with dietary attitude and behavior of their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can improve the food choice of children for vegetable and correct one-sided food habit. The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would serve a kind of model for the dietetic teachers to guide the children who mainly dislikes vegetables.

  • PDF

Didymella bryoniae에 의한 오이 속썩음의 발생상황 및 발병조건 (Occurrence and Its Condition of Internal Fruit Rot Caused by Didymella bryoniae in Cucumber)

  • 이상엽;황순진;이상범;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13-318
    • /
    • 2004
  • 우리나라에서 오이 속썩음은 대전을 비롯한 여러 오이 재배지역에서 발생하였다. 본 병의 발생은 조사포장에서 평균 4.2%, 최대 21.5%까지 발생하였다. 병 발생은 오이 꽃이 붙어 있는 부위부터 시작되었다. 병원균을 접종하여 감염된 오이의 내부조직은 길이 2cm, 폭이 2mm 이상으로 갈변되었다. 후에 갈변은 진전되어 과일의 심피에 이르렀으며, 감염된 오이의 끝부분이 울퉁불퉁하게 되었다. 병반부위에서 분리된 병원균은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Didymella bryoniae으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의 균사생장 온도범위는 $5{\sim}32^{\circ}C$이고, 최적 균사생장 온도는 $26{\sim}28^{\circ}C$이었다. 포자현탁액을 오이 꽃에 접종하여 오이 과일의 내부에서 자연감염된 것과 유사한 병징이 나타났다. 오이, 수박, 참외, 멜론 및 호박에서 분리된 D. bryoniae균주들은 접종실험에 의하여 오이 속썩음이 나타났다. 오이 속썩음의 발생 온도범위는 $10{\sim}32^{\circ}C$이며, 최적 발생온도는 $25{\sim}28^{\circ}C$이었다.

사탕무씨스트선충의 기주범위 검정 (Host Range Screening of the Sugar Bee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Schmidt)

  • 김동환;조명래;양창열;김형환;강택준;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89-403
    • /
    • 2016
  •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의 피해가 2011년에 배추 주산지인 강원도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이 선충은 암컷이 씨스트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농약에 의한 효과적인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사탕무시스트선충에 대한 비기주 작물을 선정하여 감염지역의 배추를 대체할 작물을 추천하고자 총 17과(科) 276품종의 식물에 대한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사탕무씨스트선충 접종 후 씨스트 발생 정도에 따라 감수성(susceptible), 중감수성(moderately susceptible), 저항성/비기주(resistant/immune)로 구분하였다. 검정 결과 감수성 106품종, 중감수성 40품종, 저항성/비기주 130품종으로 구분되었다. 씨스트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 작물은 가지, 토마토, 상추, 들깨, 당근, 셀러리, 수박, 참외, 오이, 호박, 부추, 양파, 파, 도라지, 더덕, 잔대, 콩 등이었다. 가지과, 국화과, 명아주과, 화본과 작물은 작물 및 품종에 따라 약감수성 또는 저항성/비기주 식물이 혼재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탕무씨스트선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저항성/비기주식물로 밝혀진 130품종은 사탕무씨스트선충 감염지의 배추를 대체할 작목을 추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