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9초

압축도시 개발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The cases of 54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in korea)

  • 이경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5-60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압축도시 이론에서 주장하는 고밀개발, 혼합적인 토지이용과 같은 계획 요소들이 실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 변수들 중에서는 인구밀도와 직주균형비가 높을수록 대중교통 통근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압축도시 계획 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밀도 수준이 높아질 경우 대중교통 서비스를 유지하는데 있어 유리하고 또한 토지를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직장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이 줄어들고 대중교통 이용이 많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밀개발과 함께 직주균형과 같은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도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교통서비스 시설들 중에서는 도로 밀도와 지하철 유무가 대중교통 통근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의 확충이 전제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중교통 통근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밀 복합적인 토지이용 정책의 추진과 함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시설에 대한 투자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통근시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Analysis of Impact on Commuting Behavior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 전정배;박미정;김상민;김솔희;권성문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77-87
    • /
    • 2019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and modes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household traffic survey dat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mmuting time using passenger car in rural areas was 1.6 times longer than those in urban areas. When citizen use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commuting time in urban and rural areas.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in rural areas (13 factor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that public transportation, managers and office workers, functional and device managers, and passenger car. In urban areas, the highly influential factors were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among the 16 affecting factors whic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mmuting time in rural are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types, but the commuting time of full-time workers decreased. This phenomenom means that occupation groups with the full-time system prefer residential areas in the densely populated town.

대중교통 이용자 통근비용 보조제도의 효과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Subsidizing Commuting Cost for Public Transit User)

  • 한상용;이성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72
    • /
    • 2006
  • 지속적인 교통수요관리정책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서울도심지역을 비롯하여 출퇴근 시간대의 과다한 승용차 이용은 만성적인 교통혼잡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자 통근비용 보조제도의 시행효과를 대중교통 전환효과와 형평성 측면에서 유류비 및 주차요금 인상정책 등 타 정책수단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 과정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시선호 분석방법론의 표준적인 절차를 따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증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표본정산방법과 비 모수 부트스트랩 방법을 적용하였다. 서울도심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대중교통 통근비용 보조제도의 대중교통 전환효과는 유류비 인상정책과 주차요금 인상정책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소득계층별 형평성 측면에서 주차요금 인상정책과 유류비 인상정책은 소득 역진적인 반면 대중교통 통근비용 보조제도는 소득 누진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대중교통 이용자 통근비용 보조제도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향후 대중교통 이용 증진을 위한 대중교통 관련정책의 수립에 정량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버스와 자전거를 이용한 통근 수단에 따른 PM10 노출량의 비교 (Comparison of Commuters' PM10 Exposure Using Different Transportation Modes of Bus and Bicycle)

  • 김원;김성연;이지연;김성근;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47-453
    • /
    • 2009
  • Cycling has been lately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commuting mode because it is believed to be good for health and the environment. However, the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fine particulates, could be a potential problem for cycling in urban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compared commuters' $PM_{10}$ exposure using the different transportation modes of bicycle and bus. When a bicycle was used as a commuting mode, the additional $PM_{10}$ exposure due to transportation was about 3.5 times higher than that when using a bus. The difference of additional $PM_{10}$ exposures by cycling and b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PM_{10}$ exposure during cycl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mospheric $PM_{10}$ concentration (r=0.98, p<0.01) and i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that of bus (r=0.55,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ain reasons of higher $PM_{10}$ exposure when using the bicycle as the mode of transport were its vicinity to road traffic and routes that were unavoidably close to road traffic. Bicycle commuting along the road side may not be good for health. Exclusive bicycle lanes away from road traffic are recommended.

대도시권 버스개편추세에 따른 통근전철의 대응 전략 (An improvement strategy of metropolitan commuter railways according to the reformation of bus system on a metropolitan area)

  • 한우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1606
    • /
    • 2004
  • Nowadays, the bus system of a metropolitan area is improving very fast. According to the bus, commuter railways increase their competitive power. For this, trains get the mobility increasing, effective transferring system and unified information service. For the mobility increasing, commuting railway must be faster by flexible train diagram and facilities improvement. And finally, optimal commuter train, 'Liner' is needful. And for effective transferring system, it is necessary that railway station and transferring center of a city be merged. And it is needful that direct management bus by railway company and unification fare system on metropolitan region. Next, for information service system improving, the commuting railway station must be regional transportation hub at first. And it is needful that unified line map of trunk line transportation systems and regionally collective transportation system information book. Therefore, metropolitan commuting railways compete with trunk line bus and cooperate with feeder line bus, and can make optimal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 PDF

광역권 통근시간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b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Commuting Hours in the Metropolitan Area)

  • 윤병조;김연규;임한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729-736
    • /
    • 2023
  • 연구목적:광역권 통근시간 만족도 향상요인 분석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광역통근을 시행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광역통근시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권역별 광역통근시간에 대한 통근만족도의 경우, 수도권은 평균 통근시간이 높은 만큼 통근시간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비수도권은 평균 통근시간이 낮은 만큼 통근시간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향후 정부는 광역통근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급행철도 및 광역버스를 신설 또는 개선하고, 승용차의 이용시간 단축을 위한 도시고속도로 등을 건설하여 통근시간을 줄이는 양적지표도 중요하지만 통근시간의 만족도를 높이는 질적 지표가 더욱 중요하다. 즉, 통근시간이 길어도 그 시간이 만족스러우면 삶의 만족도 역시 높아지므로 삶의 질이 중요한 시대를 맞이하여 통근시간이라는 단순 지표보다는 통근시간 만족도까지 개선시킬 필요가 있어 통근시간에 대한 질적 및 양적 측면 모두 개선이 필요하다.

대중교통카드를 이용한 환승요인분석 (Factor Analysis for Transit Transfer using Public Traffic Card Data)

  • 이다은;오주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0-63
    • /
    • 2017
  • 환승은 타고 있던 교통수단에서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타는 것을 의미한다. 환승은 통행의 불편을 겪지만, 효율적인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환승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제공하고, 대중교통의 편의를 제공함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대중교통카드 자료는 평택시 평일 61,986건, 주말 69,100건이며, 수집된 교통자료카드를 이용하여 패턴분석 및 환승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Trip Chain 분석 결과, 주말에 주 통행이 통근 및 통행이 아닌 쇼핑, 여가 등의 목적으로 환승 횟수가 많아지며, 통행거리는 10km이상 증가하며 통행시간도 약 9.9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tructural Equation Model의 결과, Factor 1릉 총 통행시간, 총 통행거리, Factor 2는 승 하차 인원수, Factor 3는 환승시간, 대기시간, Factor 4는 버스연계노선 수, 운행대수로 환승통행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ycling: An Efficient Solution to Rising Transportation Problems in Kathmandu

  • Yang, In Tae;Acharya, Tri Dev;Shin, Moon Seu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7-623
    • /
    • 2014
  • The rapid urban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has caused trasportation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For that reason, the study evaluates the potential of cycling in the densely populated part of Kathmandu valley. Slopes and existing roads have been applied as the input cost rasters for finding the shortest cost routes between stations. By taking the average cycling velocity, time to travel from station to destination were compared with the average commuting time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The result comes out as similar time with the public transportation. Although the cycling seems potential replacement for public transportation commuters, in fact, there are some setbacks needed to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o make it reality in future.

광역 교통권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rea)

  • 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5-66
    • /
    • 1990
  • The research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portation areas in the metropolitan cities. The purpose is three-fold ; 1)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 2) to analyze the commuting (work and school) pattern and interregional movement pattern of passengers and freights ; 3) to establish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rea based on the above analyses. The transportation area is defined by the analysis of trip pattern to the center city of each metropolitan area. The detailed indices for establishment are selected by the rank-size and time-distance analyses. For the operational purpose, the study defines 3 different transportation areas as follows : the first transportation area means the directly effecting region of the center city ; the second means the region with many reverse trips and development potentials ; and the third means the indirectly effecting reg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rst transportation area includes 10 cities and 5 counties in Seoul metropol tan region, Yangdsan-Gun, Kimhae-Gun and Kimhae-Si in Busan, Dalsung-Gun, Chilgok-Gun and Kyungsan-Gun in Daegu, Hwasung-Gun and Raju-Gun in Kwangju, and Daeduk-Gun in Daejun. These results could be expected to have man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rea-wid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decision-making bodies and others.

  • PDF

컴팩트형 공간구조가 대중교통수단의 이용활성화에 보다 효과적인가? (Is Compact Urban Spatial Structure Effective for Public Transportation Mode?)

  • 이재영;김영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16
    • /
    • 2004
  • 본 연구는 도시공간구조와 통행행태 및 접근성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형태의 도시구조가 대중교통의 활성화에 보다 적합한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도시는 한국과 일본의 도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구(district) 수준에까지 분석의 범위를 좁힘으로써 연구결과의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비교분석구조로서 각 나라 및 도시에서 각각 컴팩트형도시 및 분산형도시, 고밀지구 및 저밀지구를 설정하였고, 통행행태분석은 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접근성지표(CAI)를 이용하여 주거공간분포에 따른 대중교통에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밀도시 및 지구의 거주자가 보다 짧은 통근거리를 나타냈다. 둘째, 통근통행에 있어서 저밀지구의 거주자들이 훨씬 더 높은 자가용승용차의 이용율을 보이는 나타났다 셋째, 고밀도시에서 자가용승용차의 시간 및 비용에 대중교통의 교차탄력성이 저밀도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접근성지표(CAI)의 분석결과,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은 단순한 주거밀도보다는 밀도의 공간분포와 더 깊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