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standard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공공도서관 공간규모계획기준에 관한 기초적 연구 - 공공도서관건립 컨설팅지원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Focus on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

  • 고흥권;임채진;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90-199
    • /
    • 2012
  • In this era of information, the public library takes a important role in the local community. In several years, public libraries have been proliferated in our societ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pecific planning standards of space size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The situation has lead the local governments to the need of consulting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library in search of appropriate guideline. The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result of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t examines total 11 libraries which were consulted from 2009 to 2011. It examines the configur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scheme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inal scheme after the consulting, and the percentages of gross areas of each parts of library, reference and reading area, office area, education and cultural area, and public common use area. The analysis concludes that reference and reading area increased by 6.4% from 34.1% to 40.5%, and public common use area reduced by 6.1% from 30.2% to 24.1%, which represents a certain tendency of the configuration ratio of the each parts. Thus, the paper could be a starting point of establishing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PDF

국내외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의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taffing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95
    • /
    • 2011
  •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공과 실패는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달려 있다. 그것은 공공도서관의 직원이 운영과 서비스 제공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우수한 직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제기구, 주요 선진국, 한국의 공공도서관 직원기준과 지침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후속연구인 최적 배치기준 제시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표준매뉴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Manual for Volunteer Activity of Public Libraries)

  • 조찬식;오지은;조미아;오수진;이정효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1호
    • /
    • pp.23-42
    • /
    • 2010
  • 공공도서관 자원봉사가 활성화되고 효과적인 운영과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자원 봉사에 관한 표준매뉴얼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개념 및 운영체계 그리고 표준매뉴얼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를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행정부문 등 3개 부문, 12개 영역, 6개 세부내용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표준매뉴얼을 개발함으로써 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에 일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 개정안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Staffing Standard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5-76
    • /
    • 2012
  • 어느 국가를 불문하고 모든 공공도서관은 시설, 장서, 예산을 필요로 하지만 그 성공의 여부는 지역사회에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은 적정수의 상근직원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노동력을 보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직원배치에 관한 법적 및 권장기준의 법리적 정당성, 논리적 타당성, 현실적 적합성과 유용성을 분석하고, 직원배치를 위한 결정변수로서의 건물면적과 장서, 법적 봉사대상인구의 구간, 기본인력 배치수준, 봉사대상인구를 감안한 증원인력을 중심으로 직원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도서관의 아동서비스와 직무사례 분석 (Analysis of Children's Services and Children's Librarian Jobs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 윤희윤;김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32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아동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표준 직무모형 개발의 예비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 국내의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아동서비스의 현황과 특징, 직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서비스를 위한 도서관 경영관리, 아동장서의 개발과 보존관리, 아동자료의 정리와 DB관리, 직접적 및 간접적 아동서비스, 도서 및 독서관련 프로그램 서비스, 그리고 지역사회의 유관기관 및 시설과의 연계 협력 서비스 등이 아동사서가 수행해야 할 핵심직무로 밝혀졌다. 이를 논거로 삼아 후속연구에서는 표준 직무모형을 개발할 것이다.

대학도서관기준의 동향분석과 개정안 연구 (Trend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Standard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28
    • /
    • 2011
  • 대학도서관의 궁극적인 사명은 대학의 교육, 연구, 사회봉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사명을 성취하려면 대학도서관의 운영지침,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최적의 기준을 개발하고 적시에 개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국가(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대만)의 대학도서관기준이 함축하는 동향과 특징을 개관 비교하고, 국내의 법적 및 권장기준에 내재된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여 장서, 직원, 시설 중심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영국의 공공도서관법연구

  • 최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7권
    • /
    • pp.177-206
    • /
    • 1980
  • Public library legislation is the essential means of providing for all the citizen in modern society with a standard public library service. We can trace the origin of that back to the Public Libraries Act 1850 in England. This paper is reviewing all the measures concerning public libraries of England since then in order to find out some guidelines for revision of the Korean Library Law enacted in 1963. Although Public Libraries Act 1850 was an output of a series of social reform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it established first the provi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 su n.0, pported by public funds. However the Act had several restrictions hindering public library service from making progress. These are: 1. Adoptive legislation in nature 2. Limitation of the size of population and rate income 3. Small library authorities 4. Procedure for adoption by public meeting 5. Restrictions on the ways in which rate income might be spent 6. No governmental organization to direct or control for a standardized public library service 7. No cooperative schemes among libraries. Subsequent development was directed largely to removal of those limitations. The present Public Libraries Act 1964 as a model of public library legislation was enacted on the basis of such reports as Kenyon, McColvin, Roberts, and Bourdillon. All but the problem of small library authorities were removed with this new Act. The final object could be achieved by the Local Government Act 1974 which reorganized existing 383 small authorities into new 115 ones the average population of which was 280, 000. Now, McColvin's dream of 30 years could be fulfilled in the late 70's. He argued that the minimum size of population of a viable authority should be 300, 000. Although the effect of the 1964 Act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England was great, there must be some considerations as to the provisions of public library objective, government funding for library services, free use of library materials to all regardless of residence, and placement of library committee within the authority.

  • PDF

러시아의 도서관 행정.법제에 관한 고찰 (On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s and Legislations in Russi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40
    • /
    • 2004
  • 이 연구는 국내에서 전혀 논급되지 않은 러시아의 도서관 행정체계와 법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1년 소비에트연방이 붕괴된 이후, 러시아는 새로운 정치적, 법적, 경제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러시아에는 약 51,000개의 공공도서관이 있으며, 대체로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중앙집중적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방정부의 도서관 주무부처는 문화부이며, 1994년에 핵심법제인 ‘도서관법’과 ‘납본법’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2001년에는 러시아도서관협회가 ‘공공도서관 모델기준’을 공표하였으며, 사서집단과 지방행정청이 이를 준용하고 있다.

  • PDF

공공도서관의 노인편의증진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ilities for Old Persons in the Public Library Buildings)

  • 김선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67-178
    • /
    • 2004
  • 본 연구는 '장애인${\cdot}$노인${\cdot}$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1999)'에서 정한 공공도서관의 편의시설의 세부기준과 노인의 표준인체지수를 비교분석하여 시행규칙의 세부기준에서 제시한 수치가 노인에게도 적합한지를 조사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편의시설의 종류는 출입구(문), 복도 및 통로, 계단,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대변기 소변기, 접수대 또는 작업대, 그리고 우체통으로 총 10가지이며, 이들 각각의 세부기준에 대한 적합성을 밝힌다.

공공도서관 자료열람실 공간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patial Standard for Data Reading Rooms in Public Libraries)

  • 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28-33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ios of area, according to the domains and functions, of a public library. To this end, 20 public libraries were selected as samples from the 201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Casebook and from cases of consulting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The domains of a public library were categorized into data reading, cultural education, operation, common use, and others.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area ratios between public libraries that were built with the aid of consulting (Group B) and those without consulting (Group A). In functional terms, the data(bookshelf) space and reading space had similar ratios within a data reading room, while the ratio of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was smaller. Within a general data reading room, the ratio of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was 12%, while the ratios of the data space and seating space were 44%, respectively. Moreover, within a data reading room for children, the ratios of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and children's space were adjusted to 14%, respectively, while the data space and seating space each accounted for 36%, with either 3- or 5-decker bookshelves installed. This study has identified how to calculate the area for each domain, capacity of books, and seating capacity by applying area ratios through functions in the data storage domain, along with numbers of books and seats per unit space. This study has also succeeded in calculating the required area and seats for each type of data storage room by applying the number of books that exist. However,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Metropolis, Small & medium size cities, Rural areas) were not considered because the number of samples was only 20 libr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