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Stigma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생의 낙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 추구태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Stigma,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in College Students)

  • 김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91-402
    • /
    • 2016
  • 본 연구는 낙인이 상담 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담에 대한 기대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낙인과 사회적 낙인이 상담 추구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담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서는 자기낙인은 상담에 대한 기대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사회적 낙인과 상담에 대한 기대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낙인과 상담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상담에 대한 기대에 의해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낙인과 상담 추구태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제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담 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각 개인이 지닌 심리 정서적 문제의 인식보다는 개인이 경험하는 자기낙인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상담 추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서의 상담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낙인이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Effects of Stigma on Help-Seeking Intentions for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Korean Soldiers)

  • 김지인;권호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9-38
    • /
    • 2017
  • 자살 위험성이 있는 사람이 주변지지 체계에 도움요청을 하는 행위는 자살예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기제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총 471명의 한국 군 병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이 자살생각과 도움요청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은 자살생각과 도움요청의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살생각은 낙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낙인은 자기 낙인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도움요청 의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군 병사의 자살에 대한 도움요청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 모두를 감소시키는 자살예방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uberculosis and COVID-19 Related Stigma: Portuguese Patients Experiences

  • Ana Alfaiate;Rita Rodrigues;Ana Aguiar;Raquel Duart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3호
    • /
    • pp.216-225
    • /
    • 2023
  • Background: Tuberculosis (TB)-related stigma has been well-documented. Since the emergence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different organizations have been alerted to the fact that stigma could arise again. Due to stigma's negative effects,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igma felt by patients by evaluating the following: COVID-19 stigma and its temporal progression through the pandemic; stigma perceived by different patients with TB before and during COVID-19 pandemic; and difference perceived by individuals who contracted both diseases. Method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vailable literature on the theme. It was performed individually in 2022 upon receiving signed informed consent. Participants were recruited with a purposive sampling approach by searching medical records. Those who currently or previously had pulmonary TB and/or COVID-19 were included. Data were subjected to thematic analysis. Results: Nine patients were interviewed, including six (66.7%) female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1±14.7 years. Four participants (44.4%) had completed high school and four (44.4%) were never smokers. Three had both TB and COVID-19. Four only had TB and two only had COVID-19. Interviews identified eight main themes: knowledge and beliefs, with several misconceptions identified; attitudes towards the disease, varying from social support to exclusion; knowledge and education, assumed as of extreme importance; internalized stigma, with self-rejection; experienced stigma, with discrimination episodes; anticipated stigma, modifying actions for avoiding stigma; perceived stigma, with judgment by others prevailed; and temporal evolution of stigma. Conclusion: Individuals expressed strong stigma for both diseases. De-stigmatization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is crucial for limiting stigma's negative impact.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공중의 신뢰, 낙인과 낙관적 편향성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rust, Stigma, Optimistic Bias on Risk Perception of Nuclear Power Plants)

  • 송해룡;김원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62-173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 거주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원자력 발전소 관련 정부 및 규제기관, 운영기관에 대한 일반 공중의 신뢰, 낙인과 낙관적 편향성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공중의 신뢰는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낙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 공중이 정부나 운영기관, 규제기관에 대해 신뢰할수록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낙인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일반 공중의 신뢰는 낙관적 편향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공중의 낙인은 위험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일반 공중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낙인효과가 높을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일반 공중의 낙관적 편향성은 위험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낙관적 편향성이 높을수록 위험인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risoner's Perception of Stigma on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공정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57-84
    • /
    • 2018
  • 본 연구는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이 출소자를 기피하고 차별하는 의식들의 근저에는 낙인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결국 출소자들의 재범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낙인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인의 하위척도를 대중낙인, 개인낙인, 그리고 자기낙인으로 구분한 Phillips(2016)의 견해에 기초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이 자기 낙인보다는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하면서도, 대인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대중낙인보다 자기낙인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소자들이 외면적인 사회적 인식보다는 내면적인 심리적 인식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소자의 내면적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낙인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기낙인이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기낙인이 심할수록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중에서는 자녀, 사회관계 중에서는 직장동료, 그리고 일반관계 중에서는 자신과의 신뢰에 낙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낙인이 출소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타자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셋째 출소자들은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데, 자기낙인은 자아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재정립하여 스스로를 일탈자로 인식하고 불량한 생활양식을 보이며, 경력범죄자로 발전해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자아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청된다. 넷째 본 연구는 남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낙인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낙인은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결국 사회 내 재통합과 재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를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Multiple Stakeholder Perspectives on Cancer Stigma in North India

  • Gupta, Adyya;Dhillon, Preet K;Govil, Jyotsna;Bumb, Dipika;Dey, Subhojit;Krishnan, Suneet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141-6147
    • /
    • 2015
  • Background: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A large proportion of cancer deaths are preventable through early detection but there are a range of social, emotional, cultural and financial dimensions that hinder the effectiveness of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efforts. Cancer stigma is one such barrier and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health awareness and promotion, and hence,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The impact and extent of stigma on the cancer early detection and care continuum is poorly understood in India. Objectives: To evaluate cancer awareness and stigma from multiple stakeholder perspectives in North India, including men and women from the general populat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educators, and 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in-depth interviews (IDI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among 39 individuals over a period of 3 months in 2014.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were chosen purposively - 1) men and women who attended cancer screening camps held by the Indian Cancer Society, Delhi; 2) health care providers and 3) cancer survivors. Results: Most participants were unaware of what cancers are in general, their causes and ways of prevention. Attitudes of families towards cancer patients were observed to be positive and caring. Nevertheless, stigma and its impact emerged as a cross cutting theme across all groups. Cost of treatment, lack of awarenes and beliefs in alternate medicines were identified as some of the major barriers to seeking car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spreading awareness, knowledge about cancers and assessing associated impact among the people. Also Future research is recommended to help eradicate stigma from the society and reduce cancer-related stigma in the Indian context.

정신 장애인의 낙인(stigma) 경험 (The Lived Experience of Stigma among Mentally Ill Persons)

  • 현명선;김영희;강희선;남경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6-2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stigma among mentally ill persons. Method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us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elve people with mental illness enrolled at the 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from August 30 to October 1, 2010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framework. Results: Four themes and sixteen formulated meanings were identified for the stigma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mental illness. The four themes were 'Incapable of struggling against unfair treatment', 'Living as an outsider', 'Being constrained by oneself', 'Being in suspense over disclosure of oneself'.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an educational and awareness programs to reduce public stigma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and self-stigma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addition, efforts are also needed to prioritize mental illness stigma as a major public health issue at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level.

지체장애인의 지각된 낙인과 자아존중감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 이인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2-60
    • /
    • 2007
  • Purpose: Perceived stigma may disrupt the ability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to successfully adapt to their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among adults with physically disabled. Method: The sample was drawn from August to October of 2006 at the rehabilitation center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4 persons with physical difficulty. Self-esteem was measured using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Perceived stigma was measured using the Perceived Stigma Scale for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developed by Le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ived stigma of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sing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perceived stigma may promote self-esteem among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 PDF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stigma on Self-care in People with Diabetes

  • Seo, Kawou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6-94
    • /
    • 2021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stigma on self-care in people with diabetes.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377 patients with diabetes enrolled in university hospitals in D city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S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 July to 31 August, 2017,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Diabetes self-c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betes self-efficacy,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abetes self-stigma.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type of medication, self-efficacy, and self-stigma explained 42.4% of the variance in diabetes self-car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abetes self-efficacy and self-stigma ar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self-care in patients with diabetes. Therefore, systematic programs for enhancing self-efficacy and reducing self-stigma of these individuals should be developed.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Distress and Self-stigma among Old Adults with Diabetes in South Korea

  • Kim, Hyesun;Seo, Kawou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46-45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distress and self-stigma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approach was adopted using 187 patients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by an endocrinology doct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 to 31 March, 2020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for diabetes distress, self-stigma, and acceptance action were 2.98±0.64, 2.54±0.74, and 4.16±0.35, respectively. Acceptance 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distress and self-stigma (z=1.98, p=.024),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1.0%. Conclusion: To reduce diabetes self-stigma among old adults in diabetes distress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acceptance action and develop step-by-step differentiated acceptance action enhancement programs through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