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 among Stigma,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i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낙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 추구태도 간의 관계

  • 김정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Received : 2015.07.20
  • Accepted : 2016.01.27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mong self-stigma, public stigma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27 university students and this research investigated some results by using SPSS 17.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is study reported the negative effects of public stigma and self-stigma on the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Self-stigma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gard to expectation for the counseling, on the other hand, expectations about the social stigma and counseling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And this study verified th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meaning in that particular search was made for variables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tigma of individual acts effects on using real counseling services than emotional issues with each individual.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e needs of development about the counseling and the education program as a special intervention.

본 연구는 낙인이 상담 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담에 대한 기대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낙인과 사회적 낙인이 상담 추구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담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서는 자기낙인은 상담에 대한 기대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사회적 낙인과 상담에 대한 기대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낙인과 상담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상담에 대한 기대에 의해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낙인과 상담 추구태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제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담 추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각 개인이 지닌 심리 정서적 문제의 인식보다는 개인이 경험하는 자기낙인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상담 추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서의 상담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 E. Stefl and D. C. Prosperi, "Barriers to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21, pp.167-178, 1985. https://doi.org/10.1007/BF00754732
  2. S. K. Nam, S. I. Choi, J. H. Lee, M. K. Lee, A. R. Kim, and S. M. Lee, "Psychological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A meta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44, No.1, pp.37-45, 2013. https://doi.org/10.1037/a0029562
  3. 신연희, 안현의,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서 접근 요인과 회피요인이 상대적 중요성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177-195, 2005.
  4. F. T. L. Leong and P. Zachar, "Gender and options about mental illness as predictorsof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Vol.27, pp.12-132, 1999.
  5. D. L. Vogel, N. G. Wade, and A. H. Hackler, "Perceived public stigma and the willingness to seeking counseling: The mediating roles of self-stigma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4, pp.40-50, 2007. https://doi.org/10.1037/0022-0167.54.1.40
  6. M. G. Kushner and K. J. Sher, "The relation of treatment fearfulness and psychological service utilization: An overview,"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22, No.3, pp.196-203, 1991. https://doi.org/10.1037/0735-7028.22.3.196
  7. 이미경, 상담에 대한 양가태도 집단의 특성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M. Rutter and L. A. Srouf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Concepts & Challeng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12, pp.265-296, 200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3023
  9. 최정아,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적 도움 요청 태도 간의 경로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pp.285-286, 2015.
  10. P. W. Corrigan,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Vol.59, No.7, pp.614-625, 2004. https://doi.org/10.1037/0003-066X.59.7.614
  11. 최상진, 유승엽,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6권, 제2호, pp.137-157, 1992.
  12. D. L. Vogel and S. R Wester, "To seek help or not to seek help: The risks of self-disclosur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0, No.3, pp.351-361, 2003. https://doi.org/10.1037/0022-0167.50.3.351
  13. 장유진, 최보영,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이 상담 서비스 이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제23권, 제1호, pp.151-173, 2011.
  14. 김주미, 유성경,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문화적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pp.991-1002, 2002.
  15. 노희순, 남숙경, "부모가 지각한 아동문제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관계에서 사회낙인과 상담에 대한 기대이득의 매개역할: 거제지역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769-3784, 2013.
  16. G. M. Morrison, J. Laughlin, S. San Miguel, D. C. Smith, and K. Widaman, "Sources of support for School-related issu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6, No.2, pp.233-252, 1997. https://doi.org/10.1023/A:1024508816651
  17. M. G. Kushner and K. J. Sher, "Fear of psychological treatment and its relation to mental health,"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20, pp.251-257, 1989. https://doi.org/10.1037/0735-7028.20.4.251
  18. P. W. Link and J. C. Phelan, "Conceptualizing stigma,"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7, pp.363-385, 2001. https://doi.org/10.1146/annurev.soc.27.1.363
  19. 송해룡, 김원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공중의 신뢰, 낙인과 낙관적 편향성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62-173, 2013.
  20. 최희철, 계획적 행동 이론을 적용한 상담추구 의도 예측 모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1. D. L. Vogel, N. G. Wade, and S. Haakes, "Measuring the self-stigma associated with seeking psychologic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3, pp.325-337, 2006. https://doi.org/10.1037/0022-0167.53.3.325
  22. 이민지, 손민정,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관계: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949-966, 2007.
  23. N. Komiya, G. E. Good, and N. B. Sherrod, "Emotional openness as a predictor of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sychologic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1, pp.138-143,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1.138
  24. 오일영, 대학생의 자기낙인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자기고향 편향의 중재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D. J. Tinsley and H. E. A. Harris, "client expectatio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3, pp.173-177, 1976. https://doi.org/10.1037/0022-0167.23.3.173
  26. D. L. Vogel and M. Wei, "Adult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d: The mediating rol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pp.347-357, 2005. https://doi.org/10.1037/0022-0167.52.3.347
  27. 김미숙, 윤선미,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낙인, 기대, 비자발성, 심리적 반발심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권, pp.301-328, 2010
  28. Garfield, Research on client variables in psychotherapy, In S. L. Garfield & A. E. Bergin(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4th. ed.), pp.190-228, 1994
  29. 금명자, 이장호,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권, pp.23-43, 1990.
  30. 박애선,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감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31. E. H. Fischer and J. L. Turner,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ttitude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5, pp.79-90, 1970. https://doi.org/10.1037/h0029636
  32. E. H. Fischer and A. Farina,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A shortened form and considerations for research,"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36, pp.368-373, 1995.
  33. 유성경, "한국 대학생의 상담, 심리치료, 정신치료에 대한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3호, pp.617-632, 2005.
  34. 유성경, "우울의 표현 및 상담에 대한 태도에 관한 문화간 비교연구: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 간의 비교," 청소년상담연구, 제6권, pp.93-114, 1998.
  3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s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6. 김현순, 김병석,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23-37, 2007.
  37. P. E. Holems and L. P. River, "Individual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 stigma of severe mental illness," Cognitive and Behavior Practice, Vol.5, No.2, pp.231-239, 1998. https://doi.org/10.1016/S1077-7229(98)80008-4
  38. D. W. Sue, "Asian-American mental health and help-seeking behavior," Comment on Solberg et. al. (1994), Tata and Leong (1994),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1, pp.292-295, 1994. https://doi.org/10.1037/0022-0167.41.3.292
  39. J. Ting and W. Hwang, "Cultural influences on help-seeking attitudes in Asian American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9, pp.125-132, 2009. https://doi.org/10.1037/a0015394
  40. 정진철, 양난미, "낙인과 자존감, 전문적 도움 추구태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3호, pp.631-65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