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Safety-LT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재난통신 체계에 따른 품질요건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Quality Requirements for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 양정모;김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327-335
    • /
    • 2015
  • 재난통신망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에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대역 이동통신 기술인 Public Safety-LTE(Long Term Evolution) 자가망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의 일원화된 통신체계 유지를 위해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난재해 현장에 위치한 피해당사자와의 통신을 고려하지 않고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 지휘통제를 중심으로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동향과 해외 선진사례를 해석하여 전 범위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고 통신주체와 목적에 따라 재난통신 영역을 새롭게 정의하여 재난통신 영역을 통제통신, 대응통신, 현장통신, 당사자통신, 경보통신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정의 된 재난통신 영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핵심 품질요건을 재설계하여 영역별 음영지역 없는 전 범위 재난통신 체계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긴급통신망시스템 통합구축 방안 (For Making an Efficient Disaster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Public Safety in South Korea)

  • 최관;김민지
    • 시큐리티연구
    • /
    • 제44호
    • /
    • pp.169-19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범국가적 재난상황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도화된 국가긴급통신망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긴급통신망시스템은 전 세계에서도 소위 VHF, UHF, TRS 등 다양한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긴급통신망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기존 음성위주의 긴급통신망시스템에서 재해 및 재난 현장상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영상통신 및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광대역데이터 통신기술 필요성이 야기되었다. 한국은 그 동안 대구 지하철 화재, 삼풍백화점 사건, 세월호 사건과 같은 재난을 겪어왔지만 현장 중심의 적절한 긴급통신체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가, 2014년 7월 한국정부는 소방, 경찰, 군, 철도 등 재난대응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국 단일 무선통신망을 첨단 LTE 방식으로 구축하는 사업을 'PS-LTE'로 정의하고 시스템구축을 위한 준비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긴급통신망시스템분야에 대한 연구는 초보단계인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국민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긴급통신망시스템 구축방안을 연구하였고 통합운용을 위해 3가지 시사점((1) PS-LTE를 기반으로한 통일된 지휘통신체계 확보, (2) 전물 내 음영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700MHz 주파수 확보, (3) PS-LTE망 구축을 위한 자가망 및 상용망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Novel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Mobile Technology for the Safety of Navigation: LTE-Maritime focusing on the Cell Planning and its Verification

  • Shim, Woo-Seong;Kim, Bu-Young;Park, Chan-Yong;Lee, Byeong-Hye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31-237
    • /
    • 2021
  •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highlighted by the issue of cell planning in the sea area because of lack of an appropriate Propagation Loss Model (PLM). To resolve the cell planning issue in vast sea areas, it was essential to develop the (PLM) matching the intended sea area.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gaps between the prediction of legacy PLMs and field measurement in propagation loss and there was a need to develop the adjusted PLM (A-PLM). Therefore, cell planning was performed on this adjusted model, including modification of the base station's location, altitude, and antenna azimuth to meet the quality objectives. Furthermore, in order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 cell planning,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Monitoring System (CS-QMS) was developed in the LTE-Maritime project to collect LTE signal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onboard equipment at regular intervals and to ensure that the service quality was high enough to satisfy the goals in each designated gri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e success rate of RSRP was 95.7% for the intensive management zone (IMZ) and 96.4% for the interested zone (IZ), respectively.

한전 Gateway를 활용한 Smart Office 기능 연구 (Study on Smart Office Functionality Utilizing KEPCO Gateway)

  • 남강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107-1112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전력 eIoT(: energy Internet of Thing)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오피스 기능이고, 망구성은 센싱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플랫폼, 그리고 서비스서버로 구성 한다. 핵심 기능들은 게이트웨이와 디바이스간 LoRa(: Long Range)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토콜 데이터 전달하는 부분, 지능화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부분 그리고 PS-LTE(: Public Safety-Long-Term Evolution) 시스템에 연동되는 공공 안전 데이터처리 부분이다. 그리고 스마트오피스에서 서비스될 수 있는 리소스트리가 제시되며,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디바이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PS-LTE 환경에서 최적기지국 위치 선정 (Optimal Positioning of the Base Stations in PS-LTE Systems)

  • 김현우;이상훈;윤현구;최용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4호
    • /
    • pp.467-47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PS-LTE(Public Safety-Long Term Evolution) 환경에서 단독기지국의 설치에 있어서 전체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기반의 최적기지국 위치 선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전체 재난 지역을 탐색하여 최적의 위치를 찾는 완전탐색(Exhaustive Search) 방법, 임의보행(Random Walk) 이동모형을 적용하여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 기지국 균일 배치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경우 모든 지역을 탐색하여 최적위치를 찾는 완전탐색 방법과 유사한 최적위치 및 전체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을 갖지만, 최적해 수렴시간에 있어서 완전탐색의 경우 재난지역의 크기가 커질수록 증가하지만, 제안하는 방법 경우 빠른 수렴 시간 및 거의 일정한 수렴시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700MHz 대역 지상파 UHD 방송 주파수 배치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Frequency Allocation of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in 700MHz Band)

  • 이상운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82-9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상파 UHD 방송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분배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 방송, 통신, 공공분야에서 각각 UHD 방송, 차세대이동통신 및 통합공공 등의 용도로 분배를 요구하고 있는 700M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분배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각의 수요에 대해 관련 자료들의 조사를 통하여 방송 및 통신 수요에 대한 타당성 등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UHD 방송용 주파수 분배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론으로는 700MHz 대역 내에 기 분배된 공공재난통신용 주파수 10MHz 2개 대역을 고려한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한 9개 채널과 보호 대역을 제안하였다.

재난안전 통신망 서비스를 위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소형화 (Miniaturization of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for PS-LTE Service)

  • 전후동;허수영;고지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70-17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통신망(Public Safety LTE: 698~806 MHz) 서비스를 위하여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Log-Periodic Dipole Array) 안테나의 소형화 구조를 제안하였다. LPDA 안테나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배열 다이폴에 반복성 프랙털 나무(fractal tree) 소자를 새롭게 추가하여 배열 다이폴의 길이를 단축하였다. 그 결과, 전형적인 LPDA 안테나와 비교하여 약 25 % 정도 소형화 되었다. 제안한 LPDA 안테나 설계 규격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께가 1.5 mm인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실제 제작 및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계산 결과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재난안전통신망 앱스토어를 위한 AI 보안 방안 마련 (AI Security Plan for Public Safety Network App Store)

  • 정재은;안중현;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8-460
    • /
    • 2021
  • 우리나라 재난안전통신망 제공 및 응용 서비스는 개발 추진, 초기 구축, 실증 및 초기 서비스 단계로 재난안전통신망 모바일 앱에 대한 보안 대응은 아직 미흡하다. 재난안전통신망(PS-LTE)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은 개방형 안드로이드 기반 전용 단말로 다양한 모바일 악성코드에 사용될 수 있는 취약성이 잠재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국의 FirstNet Certified 및 구글의 Google Play Protect와 비슷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응용서비스 앱을 재난안전통신망 모바일 앱스토어에 등재하기 전, 악성 앱 및 정상 앱에 대해 데이터 셋을 구축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가장 효과적인 AI 모델을 선정하여 정적 및 동적 분석을 수행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악성 앱이 아닌 경우 앱 스토어에 등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해당 방안으로 악성행위 앱 등재를 사전에 차단하는 서비스 제공이 필수가 되어 공인된 인증을 부여함으로써 재난안전통신망의 보안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인증된 앱을 재난안전 제공 및 응용 서비스 지원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안전통신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 PDF

산지 재난대응을 위한 상용 이동통신망 통신체계 현황분석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Commercial Mobile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for Mountain Disaster Response)

  • 이시형;류정림;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654-662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지 내 재난안전통신망 통화권 확보 여부 판단 지표인 상용 이동통신망의 공개된 커버리지 현황을 분석하여 재난안전통신망(PS-LTE)의 보다 안정적 운용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삼척시의 대규모 산지 내 산림 도로를 대상으로 체감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통신 3사의 공개 상용 이동통신망 커버리지 데이터와 공간 중첩 후, 비교한 결과를 공개된 상용 이동통신망의 커버리지와 체감 통신 품질 측정 결과 간 공간적 불일치가 존재함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따라서, 산지내 재난안전통신망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서는 재난안전통신망(PS-LTE) 이동기지국의 추가 확보 및 공개된 상용 이동통신망 커버리지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대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Controllability Function and Sevice Design for Disaster Damage Reduction in the IoT Environment

  • Yang, Jung-Mo;Kim, Jeo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3-49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ntrollability function and service design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control of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using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e era for building a disaster communications system without exclusion over the entire areas has emerged. National wireless mesh networks for public safety and disaster relief have been evolving to strengthen the pre-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various technologies and servi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mand and control between disaster response agencies. In line with such a technological paradigm shift, the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s in the IoT has been emerging as a key quality requirement of a disaster communications system. In this study, the objects are classified by the subject of control according to the IoT component, such as data, network resources and services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their controllability. In addi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of this controllability, technologies and services have been designed that ca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disasters.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must be implemented in the current disaster safety network systems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infrastructure for the networks in order that all persons are a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disaster communications system for their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