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Operatio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1초

지역 거점도서관 건립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하남도서관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Establishment of Regional Base Library: Centered on Gwangju Metropolitan Library)

  • 한상우;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67-292
    • /
    • 2022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건립될 거점도서관인 하남도서관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이용자, 공공도서관 사서, 거점도서관의 관리자 등으로 대상을 구분하여 인식조사를 진행하여 거점도서관의 장서, 프로그램, 지위, 역할, 공동보존서고의 운영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이용자가 선호하는 정보자원은 문학 주제의 단행본이며, 선호하는 도서관 서비스는 정보자원의 이용과 문화행사의 참여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용자 대상 도서관서비스와 도서관 간의 협력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분담 수서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공동보존서고의 운영에 대하여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거점도서관 관리자는 거점도서관의 지위와 역할을 명확하게 하여 도서관 거버넌스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공공도서관으로서 지역의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와 협력사업의 추진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남도서관 종합운영계획의 수립 및 향후 운영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Young Adults'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한윤옥;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54
    • /
    • 2008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과제와 운영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대상의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42곳으로부터 응답한 설문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의 지향과 청소년 독서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개관시간 운영 방안 연구 - 김해시립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ning Hours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52-hour Working Week: Focused on Gimhae Municipal Library)

  • 김수경;이태안;이운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5-213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인한 공공기관의 주52시간 근무에 따라 공공도서관 개관시간의 합리적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6개 김해시립도서관이며, 연구내용은 김해시립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도서관 이용자와 직원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김해시립도서관의 개관시간 및 휴관일의 합리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설문조사, FGI 조사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김해시립도서관의 휴관일과 개관시간의 운영안을 2가지로 제시하였다. 향후 일과 삶의 균형과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을 위해 시민의 문화복지와 직원의 근로복지 간의 균형을 잡아가야 할 것이다.

통독 후 15년간 동독 공공도서관의 정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 German Public Libraries after Unification during 15 Years)

  • 노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3-236
    • /
    • 2009
  • 본 논문은 동독이 서독으로 흡수된 이후, 15년(1990~2005)동안 동독 공공도서관이 새로운 환경에서 어떻게 정착해가고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먼저 통일 전의 동독 공공도서관의 체계와 운영, 통일 전 동서독 공공도서관을 비교하였다. 동독 공공도서관이 서독 공공도서관으로의 흡수된 후, 동독 공공도서관의 구조 변화, 공공도서관과 노조도서관의 폐쇄, 공공도서관장서의 변화(폐기와 교체)가 있었다. 새로운 환경인 자본주의 경쟁체제 하에서 동독 공공도서관이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그들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등이 연구되었다.

지역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관한 연구 - 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 Collaborative Repository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Focused on the Busan Metropolitan Library)

  • 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5-76
    • /
    • 2022
  •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공통적인 문제로 장서수장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지역 단위 공동보존서고 설치를 통한 공간확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시행령」 역시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 본격적으로 공동보존서고를 운영하고 있는 부산도서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동보존서고의 운영현황과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관내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와 인터뷰, 현장조사, 내부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입수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타지역 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공공도서관 설립 사전 타당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Evaluation Model for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신영;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101-127
    • /
    • 2022
  • 2021년 12월 7일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법률 제18547호) 제31조 제1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시·도교육감은 공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려면 미리 공공도서관 설립·운영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부터 설립타당성에 관한 사전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건립의 사전평가는 공공도서관 건립규모의 적정성 제고 및 분포 조정을 통한 시·도별 및 시·군·구별 불균형 및 격차를 해소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공공도서관 건립단계에서 핵심인프라(사서, 자료, 시설, 시스템 등)의 충실한 확보를 유도하여 서비스 만족도와 운영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기본방향, 평가체계 및 평가모형(안)을 개발·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시한 평가모형(안)은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은 공공도서관 건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 제시를 통한 사전평가 준비의 혼란 방지와 편의성 제공하여 부실한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따른 세금 낭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대출보상권 제도의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Public Lending Right System)

  • 이흥용;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5-377
    • /
    • 2015
  • 이 연구는 전 세계 34개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공대출보상권 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대출보상권은 도서관의 자료 대출로 인하여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 판매기회를 잃을 수 있어 그 손실을 보상해 주는 제도이다. 이 제도를 운영하는 34개국 중 31개국은 유럽국가이고, 20개국은 저작권법에 근거하여 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공공대출보상금 재원은 25개국에서 중앙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있고, 20개국에서 보상금 산정기준으로 대출 횟수를 적용하고 있다. 저자, 삽화가, 번역가가 가장 많은 국가에서 보상금 수혜 대상자로 지정되어 있으며, 17개국이 단행본 도서만을 보상금 지불 대상 자료로 지정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조직 진단 및 운영 개선을 위한 조직모델 설계 연구 - 김해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rganizational Model Design for Organization Diagnosis and Operation Improvement of Public Libraries: The Case of Gimhae Public Library)

  • 차성종;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25-155
    • /
    • 2019
  • 본 연구는 김해시 공공도서관 조직의 진단 및 분석을 통해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 모델을 설계할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FGI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조직 모델을 설계하고 조직 재편에 따른 단위도서관별 인력을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조직 모델은 최종적으로 관련업무 통합 측면 조직, 정책기능 강화 측면 조직, 행정 효율성 강화 측면 조직의 3가지 대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거시적 및 미시적 접근을 바탕으로 김해시 공공도서관의 필요 인력을 산출한 결과, '벤치마킹 대상 지자체 비교' 방법으로 산출된 필요인원을 가장 실증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하고 단위도서관별 적정인원으로 구성하였다.

공공도서관 고객 규모의 영향요인에 대한 시계열분석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Public Library Patron Numbers)

  • 이경진;송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95-220
    • /
    • 2020
  •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전국도서관통계를 활용하여 공공도서관 고객(방문자 및 자료실이용자) 규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서수나 연속간행물 등의 변수가 고객 규모에 미치는 영향력은 6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도서관의 전통적인 기능이었던 일반 도서와 간행물에 대한 접근 서비스가 인터넷으로 대체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둘째, 문화 및 도서프로그램 요인, 도서관 운영 요인, 이용자 활동 요인, 시설규모 요인들이 공공도서관 고객 규모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장자료 요인보다 더 크고 지속적이다. 이는 이들 영역에서는 도서관이 인터넷과 보완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주민인식 연구 (Citizens' Perception on Establishing a New Public Library in Jung-gu, Daegu)

  • 조용완;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5-143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 중구에 새로운 구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에 관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 중구 관내에서 중구 주민 174명과 향후 중구립 공공도서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타 구군 주민 126명 등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민들은 공공도서관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높이 인식하였고, 공공도서관이 없을 경우,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자신과 가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주민들은 중구의 공공도서관 수는 부족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건립이 필요하며, 건립시 이용 의향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외에도 이번 조사에는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입지와 건축 방향과 장서, 서비스, 이용자에 관한 주민들의 인식도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인식적 타당성은 상당히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계획과 운영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