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우수 사례 통해 본 공공도서관 건축 경향 분석 - 북미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Trends in Public Library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Reviewing the Excellent Cases of the Awarded Library Building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 구정화;조용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1-208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북미지역의 공공도서관 신축과 리모델링을 한 사례들 중에서 우수 건축 및 디자인상을 수상하였거나 우수 사례로 소개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축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 과정을 위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여 향후 개관될 공공도서관 건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0곳의 우수 도서관들의 주요 건축적 특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여섯 개의 건축 경향을 도출하고 각 건축 경향별로 구체적인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주요 건축경향이 국내 공공도서관 신축 혹은 리모델링 과정에서 시사하는 점들을 제시하고 관련 후속연구를 위해 몇가지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북미 공공도서관계 정신건강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 (A Study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es of North America)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1-7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정신건강 관련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밴쿠버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도움요청과 이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지원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공공도서관은 국가적 비극이나 자연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겪게 되는 주민들의 충격과 불안,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시적 서비스를 비롯하여 독자상담과 정보서비스의 일환으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문제를 일상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특히 어린이청소년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입양, 이혼, 재혼, 별거가족, 친구, 장애, 죽음, 자아존중, 정서, 왕따, 폭력, 학대, 자살, 질병, 중독, 성문제, 청소년임신 등)와 관련한 지원이 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에서 사서들의 핵심적 역할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합한 책을 선정하여 추천하며, 관련 전문기관을 안내하고 연결해주는 데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A Study of the Governance Discussion on Community Archives in North America)

  • 이경래
    • 기록학연구
    • /
    • 제38호
    • /
    • pp.225-264
    • /
    • 2013
  • 이 글은 미국과 캐나다의 북미 국가들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참여 아카이브(participatory archives)'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의 발전에 긍정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은 북미에서의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주요 특징들, 즉 추진 주체로서 주류 문화기관, 수집기관 중심의 아카이브 정리 및 기술, 그리고, 평가 주체로서 아키비스트의 역할론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국가들이 역사적으로 관 주도형 하향식 모델을 지배적 아카이브 시스템으로 채택하고 있음을 재차 확인한다. 이 때문에 하향식 모델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민 관의 협치에 기반하여 아카이빙 전 과정에 공동체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북미 국가들이 최근 시도하고 있는 참여 아카이브의 제안을 살핀다. 결론에서는, 북미 거버넌스 논의의 비판적 독해를 통해 한국적 함의를 살핀다. 즉 국가기록원을 비롯해 다양한 주류 문화기관들이 추진 주체가 되어 구축해 왔던 대부분의 공동체 아카이브가 여전히 관주도의 '공동체에 관한(about the community)' 기록에 머물러 있는 우리 상황에서, 북미 참여 아카이브에서 보여지는 타자화된 공동체 기억을 복원하려는 논의는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가 재활력을 얻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한다.

이주민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의 현황 분석 (Current Status of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Korea)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5-269
    • /
    • 2007
  • 2007년 현재 국내 체류 외국인이 약 백만명에 다다를 정도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과 민간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이주민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외국의 이주민 도서관 서비스 사례를 검토하고 이주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10개 공공도서관과 5개 민간도서관 대상으로 담당자와의 면담을 실시하고 다양한 관련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도서관의 이주민 서비스의 현황과 한계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협력기반의 다문화자료 입수 체계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Library Cooperative Systems for Acquisition of Multi-cultural Materials)

  • 조용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70
    • /
    • 2011
  • 한국사회가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모되어 가는 과정에서 이주민 모국어가 포함된 다문화자료의 입수와 관련하여 개별도서관과 사서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는 북미와 유럽, 호주 등 서구의 도서관계에서는 어떠한 해결책들을 모색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3개의 국가도서관, 주립도서관, 공공도서관, 도서관협력체의 사례를 조사하였는데, 이들은 크게 공동구입 방식과 일괄대출 방식 등 협력기반의 다문화자료 입수방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는 국가적 범위, 주 범위, 도시 또는 도시 내 자치구 범위, 개별 도서관 범위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어서 조사대상 협력체들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서구의 협력기반 다문화자료 입수방식을 국내 도서관 환경에 적용가능한 방안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의 경험과 교훈 (Lesson from the Cataloging Experience on Multicultural Collection)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7-420
    • /
    • 2008
  •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도서관이나 도서관에서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아시아공동체 부설 국제어린이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만 여권의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 경험에 기초하여 향후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적용할수 있는 체험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그동안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관한 국내외 도서관계의 기존 논의를 추적하고, (2)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그리고 민간도서관에서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 장서 목록 구축의 사례와 북미 도서관계의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본 다음, (3) 실제 목록 구축의 경험을 통해 향후 우리 도서관계에서 다문화 장서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한국 독서운동의 현단계와 전망: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The Present Stage and Prospects of the Reading Campaign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One Book, One City' Projects)

  • 이용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25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운동과 독서운동의 지평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조명하였다.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최근 수년 간 북미 전역에 확산되었으며, 많은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독서운동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여러 도시가 이러한 독서운동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한 책, 한 도시'운동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보고. 국내 '한 책, 한 도시'운동의 주요 도시별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국내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특징을 규명하고 한국 사회에 맞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