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초

공공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와 정책속성 -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평가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Policy Properties -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

  • 이서구;신동호;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93-105
    • /
    • 2020
  •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xamines the policy attribute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choose to manage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The analysis data used raw materials for the survey of the welfare status of farmers and fishermen survey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analysis method used Quantile Regression. The policy attributes of public services wer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Peterson (1981)'s theory of policy types and the discussion of Holland (201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the greater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sector and the neighbors. The effective policy attribute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are th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where policy benefits can directly go to individuals, or lead to social improvemen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afe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our neighbors, the greater its importance.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용자 및 전문가 대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Adoption of Public Institution's Mobile Service: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and Experts)

  • 고준;손주희;양성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706-722
    • /
    • 2014
  •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공공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를 최우선으로 배려하지 않은 일방적이고 단편적인 서비스로 인해 그 이용률은 극히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의 핵심요인 다섯 가지(유용성, 편리성, 상호작용성, 정보의 신뢰성, 사회적 압력)를 도출하였다. 중소기업 지원을 전문으로 하는 공공기관(H 기관)의 '기업지원 앱'서비스 사용자 및 전문가 각 5인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 다섯 가지 핵심요인 모두가 중소기업의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제안된 의견을 신속히 반영함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사용자의 만족도는 크게 향상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고급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공공기관 간 신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사용자 가치 중심의 모바일 서비스 구현이 사용자의 서비스 수용과 사용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공공기관은 모바일 앱 개발 및 운영에 있어 사용자 요구 응대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커뮤니티케어 개선을 위한 주요 요인 탐색과 방안 연구 : 경상남도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Exploring the Main Factors and Methods to Improve Community Care :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 김준회;김건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3호
    • /
    • pp.189-204
    • /
    • 2023
  • Objectives: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exploring critical factors and methods to improve Korean Community Care through the cases of GyeongsangNamdo. Methods: For this study,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90 people involved in Community Care services of 6 region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NVivo12. In the end, we reconfirmed the process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W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In the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we extracted principle codes (Need, Lack, Absence), and sorted the contents into sub-categories. The response rate of 'Need to strengthen capabilities' was the highest, 'Need to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was the second, and 'Need for integrated operation and a control tower' was the third. Conclusion: As a result, we find the critical factors to improve Community Care. Based on them, we should conduct follow-up researches to propose concrete methods to apply to diverse regions.

사회적기업의 사회적성과척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Performance Scale of Social Enterprise)

  • 오승재;이영광;지은구
    •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 /
    • 제9권4호
    • /
    • pp.119-1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성과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사회적성과의 개념 및 구성요소, 척도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성과척도 구성요소를 취약계층고용정도, 지역사회발전 및 기여도, 사회서비스제공정도, 공동체의식으로 제시하였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적합한 질문문항을 본 연구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사회적성과를 측정하기에 알맞은 척도를 개발한 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사회적성과척도 예비문항은 총 15개 문항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문항이 제거되었으며, 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사회적성과척도의 하위요인은 지역사회발전 및 기여도, 공동체의식으로 명명하였다. 15개의 문항을 기준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문항이 제거되었다. 최종적으로 사회적성과척도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Provid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Welfare Services for Community Care

  • Lee, Eun-Jin;Lee, Hee-Jung;Oh, Danny;Park, Jung-Youn;Kim, Dongsu;Lee, Sang-Nam;Lee, Gihyun;Lee, Ji-Yeon;Kim, Kyeong Han;Sung, Soo-Hyu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3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munity care model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by developing a community care participation model for the health of the elderly and deriving tasks to implement it. Methods: This study implemented a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A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6 local governments that are implementing a leading project to identify the status of TKM service provision and welfare service linkage in all regions. An expert group interview (FGI) targeted public and private sector experts for each job role, the former represented by those in charge of the central government's health care policy and administrative delivery system, and the latter by professor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rofessors majoring in health, and local TKM societies. After forming the expert groups, three expert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Through collective interviews with experts, a model for providing TKM and welfare services in community integrated care was derived by dividing it into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levels. The strategies and tasks for promoting TKM-oriented health welfare services were derived from 3 strategies, 8 tasks, and 20 detailed tasks. Conclusion: The core direction of the TKM health care model is the region-centered provision of TKM and welfare services. To this end, policy support for the use and linkage of health care service resources is required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and linkage and provision of health welfare services centered on TKM are necessary through linkage and convergence between service subjects and between government health care projects.

SNS 기반 여론 감성 분석 (Sentiment Analysis for Public Opinion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 하상현;노태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11-120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분석기법의 응용으로서 설문 조사 기반의 여론 조사 방법론과 달리 비정형적 언어 기반의 감성 여론 조사 방법론을 제안한다. 기존의 설문 기반 여론 분석모형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 주관성에 기초한 감성 분류 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운동 기간 중 선거 관련 실시간 트위터 자료를 수집하여 속성 기반 감성 분석을 이용한 여론의 극성과 강도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별 SNS에서 사용된 단어의 극성을 분류하기 위해 Lasso 및 Ridge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극성에 영향력이 큰 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수가 극성에 미치는 긍정 및 부정에 대한 영향을 구분하고, 영향력의 강도를 분석하였다. 대중들이 소셜네트워크상에서 표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여론에 대한 긍정 및 부정의 감성 분석을 통해 여론의 향방을 예측하고 극성분석 모형의 정확도를 측정하여, 여론 조사 분야에서 감성 분석 방법론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이웅;신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59-266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 9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총 864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인 자아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탄력성과 직무수행의 하위차원인 맥락수행, 과업수행 간에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 중 자아효능감과 희망이 과업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보였다. 셋째, 맥락수행에 대해서는 자아효능감과 희망, 그리고 낙관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지역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연결망과 지역사회 역량 (The Network Analysis for Community Voluntary Organizations and Its Implication for Community Capacity Building Toward Health Promotion)

  • 정민수;조병희;이성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81
    • /
    • 2007
  • The paradigm of health promotion request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ts active problem-solving. Community is conceptualized as a resource pool to be organized. Such resource is called community capacity. Community participation is a process of capacity building. Community voluntary associations are considered as valuable resource to be used for health promotion.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network structure among community voluntary associations and to infer the possibility to make such network of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Two survey data were used for this research: 1) Measurements and Evaluations of Community Capacity on Dobong-gu (N=94) 2) A development plan of health medicine service to be Healthy Gangdong-gu (N=69). The questionnaire included such variables measuring community capacity as leadership, membership,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etc. Both regions had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organization's budget and membership. 2) Organizational types were associated with their founded years. Two regions showed the following differences: Dobong displayed the high density of community organizations, but Gangdong showed the low density. Dobong community organizations were able to be classified into three network clusters such as women & environments, youth & adolescent, and sports organizations. Each cluster of organizations favored the different typ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Gangdong community organizations were less developed, and not possible to be clustered. Depending upon the level of community capacity or community organizations' differentiation, the strategy of community participation could be settle down in different ways. Particularly the health agency had to pay more attention to support the growth of civil organizations.

Determinants of Working Internat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Belonging

  • Do-Hyun, Im;Richard, Basilisco;Kwan-Soo, Shin;Seong-Chan, 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322-336
    • /
    • 2022
  • South Korea is in the limelight in the past decades as Korean universities races for internationalization. As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tremendously increasing,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understand international working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sense of belonging.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outline which determinants affects life satisfaction as mediated by sense of belonging. With the samples size of 102 respondent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SPSS. Results show that all determinants (Recognition, Quality of Education,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ublic Service and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oward Sense of Belonging. Likewise sense of belonging holds the positive indirect significant effects of the four determinants to life satisfaction.

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I: 모델 개발을 위한 사례관리 적용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Operation of An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for Model Development)

  • 김정우;이주열;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07-131
    • /
    • 1998
  • 다양한 사회복지와 보건의료 서비스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통합기능 창출 노력의 첫 단계로서, 서울시 은평구에서 각종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생활보호 노인 및 장애인들을 시법 사례로 선정하여 사례관리 팀 접근법을 적용 실천해 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관리 팀의 구성과정 및 실천과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보건소의 가정도우미 및 담당 사회복지사, 방문간호사, 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담당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사례관리팀에서는 1) 클라이언트와 생활환경에 대한 정보 교환, 2) 각 기관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내용 파악, 3)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내용 파악, 4) 클라이언트 욕구에 대한 우선 순위 설정, 5) 단일 클라이언트에게 중복 실시되는 서비스 내용 조정, 6) 사례별 사례관리자의 지점, 7) 서비스 통합 또는 연계 체계 구축 시 고려해야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보건소나 사회복지관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각 기관별로 부분적인 사례관리를 하여 단일 클라이언트에 대한 관리체계의 분열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사례관리 팀을 운영함으로써 중복된 서비스 지원의 방지와 적절히 조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통합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서비스 통합 체계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주체가 중요한데 지역사회 단위에서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어 민간기관의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 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