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teridium aquilinum var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6초

고사리 열수 추출물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산성 다당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s Activating Complement System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 오병미;권미향;나경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1994
  •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bracken(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 Korean win edible plant,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HPA-1) was obtain ed by methanol reflux, ethanol precipitation, dialysis, and lyophilization. HPA-1 contained 81.80% of total sugar, 30.40% of uronic acid, and 15.60cA of protein. HPA 1 was purified consecutively by cetavlon fractionation and chromatography including ion exchange nth DEAE-Sepharose CL 6B and gel permeation with Sephadex G-100 and Sepharose CL-6B. HPA-2- IVa and HPA-Va-2 were nearly homogeneous on HPLC and had 500,000 and 560,000 daltons of molecular weights, respectively. HPA-2-Wa consisted of fucose,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40 : 0.97 : 1.88. HPA-2-Va 2 was composed of rhamnose, galactose, and galact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00 : 1.38 : 1.39. The polysaccharides were found to activate the C3 component both In the presence and In the absence of Ca2+ through the crossed-immunoelectrophoresis suggesting that those Involved in both classical and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 PDF

주요 산채류 재배에 대한 소득분석 (Income Analysis on the Cultivation of Major Wild Edible Greens)

  • 최수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3호
    • /
    • pp.316-323
    • /
    • 2018
  • 본 연구는 고사리, 곰취, 산마늘 등 주요 산채류에 대한 재배공정을 조사하여 소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임산물에 대한 손실보상 기준 및 임업경영진단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품목별 재배형태는 크게 노지재배와 산지재배로 구분되었다. 품목별 단위면적당($3.3m^2$) 연간 평균소득은 고사리 노지재배는 6.5천원, 고사리 산지재배는 3.2천원, 곰취 노지재배는 20.4천원, 산마늘 노지재배는 20.9천원, 산마늘 산지재배는 7.3천원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소비자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산마늘과 곰취의 노지재배 단위면적당($3.3m^2$) 연간 평균소득은 고사리에 비해서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고사리 재배 시 경영비(토지임차료, 고용노동비)의 투입비중이 타 품목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연간 평균소득이 높은 곰취와 산마늘의 경우 종묘 및 종근 구입 등 초기 투자비용이 경영비의 평균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농산촌지역의 소득원 및 재배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부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 지대의 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at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in Jirisan National Park)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1-186
    • /
    • 2003
  • 종석대 아고산초원의 생태계 변화관찰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종석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아고산지대의 초원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40개의 방형구(5m${\times}$5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종석대의 관목지대에는 미역줄나무의 상대우점치 (I.P.)가 23.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털조록싸리 등의 순이었다. 종석대 고산초원의 초본식물은 큰까치수영. 고사리. 수리취, 여로, 원추리 및 노루오줌 등 6종이 우점종이었다.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등록된 흰참꽃나무가 종석대 정상 바위틈에서 여러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고사리 전엽체의 증식에 미치는 배지구성물질과 배양방법의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nents and Culture Methods on Prothallus Propagation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Hell.)

  • 신소림;이무열;최재선;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7-342
    • /
    • 2009
  • 본 연구는 식용 양치식물인 고사리의 대량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에서 전엽체 증식에 미치는 배지종류, 당의 종류와 농도, agar 농도, 전엽체 접종량 및 배양기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MS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배지구성물질을 1/4${\sim}$2배 첨가한 배지와 Hyponex를 0.1${\sim}$0.4%에서 전엽체를 배양한 결과 2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MS배지 구성물질들 중 인산염이 고사리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원의 종류 및 농도별로는 sucrose와 glucose 공히 1% 이상을 첨가한 구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gar의 첨가량은 전엽체의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gar를 첨가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도 전엽체 증식이 왕성하였다. 액체배지 100 mL에 전엽체를 각각 100과 200 mg 접종하여 22일 동안 진탕배양한 결과, 전엽체는 20일 이후에는 증가속도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기 접종량이 20일 후 전엽체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100 mg을 곱게 다져 진탕배양 한 후, 20일 후 계대배양 하여 증식시키거나, 기외로 이식하여 포자체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주국립공원 소금강지구 산불피해지의 식생변화 분석 (Analysis on Vegetation Change of Forest Fire Damaged Area in Sogeumg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6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hange of vegetation of forest fire damaged area in Sogeumg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The covergae ratio, a number of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changed overall in forest fire damaged area. The final result of the change is as follows. In case of coverage ratio in the shrub layer, Site 1 was 30%, 40% in Site 2, 50% in Site 3, 60% in Site 4 and 30% in Site 5. In the herb layer, Site 1 was 90%, 80% in Site 2, 90% in Site 3, 60% in Site 4 and 20% in Site 5. In case of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hrub layer, Site 1 was 11 species, 8 species in Site 2, 6 species in Site 3, 10 species in Site 4, 7 species in Site 5, and in the herb layer, Site 1 was 22 species, 25 species in Site 2, 12 species in Site 3 and Site 4 each and 11 species in Site 5. In the dominant species, the shrub layer was Lespedeza maritima(Site 1, 2), Quercus serrata(Site 3), Quercus serrata and Lespedeza bicolor(Site 4) and Styrax japonicus(Site 5), the herb layer wa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Site 1, 3),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nd Carex humilis var. nana(Site 2), Quercus serrata(Site 4) and Carex humilis var. nana andS tyrax japonicus(Site 5).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was summarized as 91 taxa including 35 families, 69 genera, 78 species, 2 subspecies, 10 varieties and 1 form.

산화 당년에 재생되는 식물군집의 종 구성과 식물의 영양염류 흡수량 (Species Composition and Nutrient Absorption by Plants in the Immediate Postfire Year)

  • 문형태;정연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1호
    • /
    • pp.27-33
    • /
    • 1997
  • Species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nutrients absorbed by regenerating plants on a pine forest in the immediate postfire year were compared with those in an unburned pine forest in Kosung, Kangwon Province.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Cyperus amuricus, Lespedeza biolor, Quercus serrata, Lysimachia clethroides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in burned area. In unburned area. Quercus mongolica, Rhododendron mucronulatum, Carex humil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podiopogon sibiricus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Standing biomass of understory vegetation in burned and unburned area was 170.2 g $D.W/m^2$ and 171.3g $D.W/m^2$, respectively. Nutrient concentrations of plants in burned area, especially for phosphorus and potassium, were higher than those in unburned area. The amounts of nutrients absorbed by understory plants in burned and unburned area were 37.4 and 33.6 kg/ha for N, 0.36 and 0.19 kg/ha for P, 30.6 and 18.8 kg/ha for K, 8.5 and 7.8 kg/ha Ca, 5.2 and 5.7 kg/ha for Mg,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regenerating vegetation can hold the significant amount of nutrients, although there may be considerable losses of nutrients from ecosystem after fire.

  • PDF

임자도 대광사구의 식생유형과 대상분포 특징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Type and Zonation on Daegwang Coastal Dune in Imja-do, Korea)

  • 김윤미;이중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76-587
    • /
    • 2012
  • 임자도 대광사구의 현존상관식생은 해안 방풍림으로 조성된 곰솔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아까시나무군락, 갯그령군락, 띠-갯그령군락, 통보리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띠군락, 갈대군락, 띠-산조풀군락이 띠모양 또는 파편화로 분포하였다. 조사지점 74개소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한 결과, 대광사구식생의 종조성은 7개군락, 5개군으로 총 10개 식생단위로 유형화되었다. 7개 군락은 곰솔군락, 갯그령군락, 아까시나무군락, 해당화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산조풀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곰솔군락의 하위단위로 고사리군, 갯그령군, 곰솔전형군의 3개군과 산조풀군락의 하위단위로 갈대군, 산조풀전형군의 2개군으로 구분되었다. 종의 해안선으로부터 대상분포는 갯그령 -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 갯완두 - 갯메꽃 - 순비기나무, 갯완두, 갯쇠보리 - 해당화 순으로 나타났다. 종단면을 분석한 결과, 전사구의 초본식생의 폭이 넓고, 전사구 전면부의 경사가 완만하며, 사구열이 많고, 구조물이 없는 유형이 사구의 침식에 덜 취약하고, 회복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RCP4.5와 8.5 시나리오를 이용한 온량지수 변화에 따른 서울시 적응 가능한 식물종 연구 (The Study of Adaptable Plant Species to the Change of Warmth Index by Using RCP4.5 and RCP8.5 Scenarios in Seoul City)

  • 공석준;김정섭;양금철;김경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3-282
    • /
    • 2015
  • 본 연구는 RCP 4.5와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서울시 온량지수 변화를 추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적응 가능한 식물종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서울시의 온량지수 변화의 차이는 있었으나 냉온대 남부림에서 난온대림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부터 2099년까지 서울시 온량지수 분포변화를 예측한 결과에 따른 적응 가능한 식물종은 교목층에 졸참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상수리나무, 때죽나무, 곰솔 등 6종이었으며, 관목층에는 쥐똥나무, 조록싸리, 개옻나무, 작살나무, 산딸기, 찔레꽃, 초피나무 등 7종이었고, 초본층은 주름조개풀, 고사리, 닭의 장풀 등 3종, 덩굴성식물에는 청미래덩굴, 댕댕이덩굴, 담쟁이덩굴, 인동, 계요등, 노박덩굴, 사위질빵, 멍석딸기, 마, 으름, 마삭줄 등, 등 11종을 포함하여 총 27종이 공통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온량지수의 변화에도 적응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