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sequela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아동 성학대 - 개념, 병태생리, 정신과적 휴유증, 치료적 개입 - (CHILD SEXUAL ABUSE - CONCEPT, PATHOPHYSIOLOGY, PSYCHIATRIC SEQUELAE, INTERVENTION -)

  • 김붕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47-66
    • /
    • 2002
  • 성학대는 여러 종류의 아동학대 유형들 중 가장 심각한 정서적-인지-행동 상의 휴유증을 남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4{\sim}5$년간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성폭력과 성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국내에서도 크게 늘고 있고, 실제 임상에서도 성학대나 성폭력을 당한 소아-청소년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에 본 고에서는 성학대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신병리로 연결되는 병태생리를 폭넓게 고찰하였으며, 성학대로 인한 단기 및 장기 휴유증에 대해 살펴보았고, 성학대 아동에 대한 적절한 초기치료전략과 현재까지의 치료결과에 대한 보고들을 종합하였다. 향후 성학대 및 성폭력에 희생된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국가적 예방 및 치료사업에 소아-청소년 정신과 의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해 본다.

  • PDF

유방절제술 후 물리치료적 접근 (The Physical Therapy Approaches on Post-Mastectomy)

  • 전유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9-457
    • /
    • 2000
  • The causes, risk factors and sequelae of mastectomy were studied, and the physical therapy approaches on post-mastectomy was discuss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taken mastectomy have experienced pins and needles in muscle, weakening of muscle, pains, deterioration of motion in joint reg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sychiatric sequelae, and etc even after the conservertive therapies like the chemical therapy, radiotherapy, immunotherapy, and hormone therapy. However, few study on the physical therapy approaches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has been carried in Korea at present. The followings were proposed as the physical therapy approaches. 1. Shoulder joint motion approach to relax the limit of range of motion 2. Control of breathing exercise for dealing with removal of the pectorailis muscle 3. Method to reduce the edema of arms for tackling the cut of lymph node 4. Method to reduce pains, pins and needles 5. Support home exercise program after discharging from hospital, sexual life and pregnan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method.

  • PDF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부모의 정신의학적 문제 (Psychiatric Problems in the Stud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Their Parents)

  • 장혁진;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4호
    • /
    • pp.224-229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hool violence on the mental health of student victims and their parents. Methods : A total of 56 (aged 7-18) student victims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3. They completed a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relationship,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Beck Depression Inventory,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and Parental Bonding Instrument to evaluate psychiatric complications and to understand the emotional bonding between them. Results : The stud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ar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p<.001). The student's high CDI sco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igh level of impact of event (p<.001). In addition, higher level of the student's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understandability of family showed association with lower level of impact of event (p<.01,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sychiatric sequelae of school violence is seriously affected by family support and parent's level of impact of event. Therefore, more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for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의학적 후유증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ANALYSIS OF THE PSYCHIATRIC SEQUELAE IN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 육기환;이호분;노경선;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32-241
    • /
    • 1997
  •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은 경우,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정신적인 문제가 더 클 수 있다. 폭력을 당한 이후에 공포심, 우울감, 분노감, 자존심의 저하, 자살, 그리고 만성적으로는 인격장애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학교폭력과 연관하여 사회심리적인 위험요인을 조사하고, 동시에 폭력에 노출된 후에 나타나는 정신의학적 후유증을 알아보는 일은 학교폭력 예방과 해결에 주요한 임상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교폭력의 실태조사만큼이나 중요하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5월 사이에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고 정신과에 내원한 청소년 환자 13명을 대상으로하여 임상자료와 사회심리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임상자료는 폭력의 정도와 동기, 기간과 방법, 폭력후의 정신과적 증세, 심리검사 소견 및 치료경과 등을 포함하였고, 사회인구학적 자료는 대상들의 성장과정과 가족적 특성, 그리고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였다. 13명의 전체대상 중 8명은 만성적인 정신장애를 겪은 반면, 5명은 $1{\sim}3$개월동안 불안, 우울, 및 자살기도등의 일시적인 정신과적 증상을 겪은 후에 학교와 가정생활에 복귀할 수 있었다. 만성 정신장애를 보인 8사례 중, 4명은 폭력을 경험한 후에 $3{\sim}6$개월 이상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및 우울장애를 나타냈으며, 다른 4명은 폭력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일정기간 겪은 후 피해에 대한 강한 보상심리 또는 가해자에 대한 동일시 등에 의하여 공격적인 행동장애 내지 폭력가해 사례가 되었다. 만성적 정신장애를 보인 사례들은 일시적인 급성스트레스장애를 나타낸 사례에 비하여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신체적인 약점이나 질환, 자아기능의 결손, 가족적 지지체계의 결핍 등을 특징적으로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 피해사례들의 임상적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심각하고 만성적인 정신장애가 나타난 한편, 임상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일부가 가해 사례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Workplace Violence Toward Mental Healthcare Workers Employed in Psychiatric Wards

  • d'Ettorre, Gabriele;Pellicani, Vincenz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4호
    • /
    • pp.337-342
    • /
    • 2017
  • Background: Workplace violence (WPV) against healthcare workers (HCWs) employed in psychiatric inpatient wards is a serious occupational issue that involves both staff and patients; the consequences of WPV may include increased service costs and lower standards of ca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valuate which topics have been focused on in the literature and which are new in approaching the concern of patient violence against HCWs employed in psychiatric inpatient wards, in the past 20 years. Methods: We searched for publications in PubMed and Web of Science using selected keywords. Each article was reviewed and categorized into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based on its subject matter: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occurrence rates, and physical/nonphysical consequences. Results: Our search resulted in a total of 64 publications that matched our inclusion criteria. The topics discussed, in order of frequency (from highest to lowest), were as follows: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occurrence rates," and "physical/nonphysical consequences." Schizophrenia, young age, alcohol use, drug misuse, a history of violence, and hostile-dominant interpersonal styles were found to be the predictors of patients' violence. Conclusion: Risk assessment of violence by patients appeared the way to effectively minimize the occurrence of WPV and, consequently, to better protect mental HCWs. We found paucity of data regarding psychologic sequelae of WPV. According to these findings, we suggest the need to better investigate the psychologic consequences of WPV, with the aim of checking the effective interventions to assist HCW victims of violence and to prevent psychologic illness.

두부외상의 신경정신과적 관점 (Neuropsychiatric Aspect of Traumatic Brain Injury)

  • 김영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2호
    • /
    • pp.157-168
    • /
    • 1995
  • The neuropsychiatric sequelae of traumatic brain unjury(TBI) are effects on complex aspect of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They include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psychosis, personality change, dementia, and postconcussion syndrome. The damage is done not only to the cortex of the brain but also to subcortical and axial structures. The diffuse degeneration of cerebral white mailer is axonal damage that is caused by mechanical forces shearing the neuronal fiber at the moment of impact(diffuse axonal injury, DAI). The DAI and the changed receptor-agonist mechanism ore the most important mechanisms in genesis of neuropsychiatric sequalae by mild TBI. The most important instrument for diagnosis of neuropsychiatric sequalae of TBI is a physician or psychiatrist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most effective therapeutic tool is a professional who understands the nature of the problem.

  • PDF

외상성 뇌손상 후의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김영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46-54
    • /
    • 2000
  • 외상성 뇌손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공포장애 등의 불안장애가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빈발하는 불안장애인데 비해 의사들로부터 적절하게 관심을 받지도 못했으며 치료받지도 못하였다. 외상성 뇌손상 후 불안장애는 뇌손상 자체에 의해, 뇌손상과 기능상실에 대한 환자 또는 간호인의 반응에 의해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속되기도 한다. 의사는 이들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손상의 기전과 양상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하며, 불안증상을 호소하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이해하고 수용하고 지지해주는 태도를 취해야 하며, 불안증상이 뇌손상에 의한 것인지 통상적인 불안 증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 뇌손상 환자들은 약물의 부작용에 아주 취약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시에는 약물의 작용기전은 말할 것도 없고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PDF

외상성 뇌손상 아동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 평가 (NEUROPSYCHIATRIC SEQUELAE AND ITS EVALU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김혜경;방형석;박광수;왕미란;민성호;박기창;안정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1999
  • 본 연구는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을 조사하고, 이 증상에 손상요인, 치료요인, 환경요인이 관련되어 있는 지와, 후유증을 평가하는데 일반적인 심리검사가 적절한지를 규명함으로써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 치료, 예방 및 평가에 관한 임상적 지침을 얻고자하였다.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와 신경외과에서 뇌손상에 관한 치료를 받고 최소한 6개월이 지난 후 정신과에 신경정신과적 평가가 의뢰된 47명의 아동(연령 $5{\sim}14$세)을 대상으로 후유증을 네 범주로 나누어 조사했다. 초기 GCS 점수, 동반손상, 치료방법, 입원일수를 조사하고, EEG, MRI, 지능검사, 심리검사를 시행한 후 통계처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지증상이 행동증상, 정서증상,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이들 증상의 빈도는 경도집단과 중등도-중증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인지증상은 두부수술을 받지 않은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1). 3) 행동증상은 뇌손상 당시의 연령이 낮은 아동과(p<0.05), 투약한 아동에서(p<0.05) 더 많이 호소되었다. 4) 정서증상은 동반손상이 있는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5). 5) 신체증상은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아동에서(p<0.05), 지능지수가 높을수록(p<0.05) 많았다. 6) GCS 점수가 낮을수록 지능지수가 낮았다(p<0.05). 인지증상을 호소한 총 42명 중 25명에서 심리검사상 인지장애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입원일수가 길었다(p<0.05). 7) 정서증상을 호소한 총 25명 아동 중 심리검사를 통하여 정서장애가 확인된 아동은 22명이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인지증상이 더 많았다(p<0.05).

  • PDF

간헐적 복통과 오심, 구토로 내원한 Trichobezoar 1례 (A Case of Trichobezoar in a Child Who Visited with Intermittent Abdominal Pain, Nausea and Vomiting)

  • 안승인;유정석;오경창;김봉림;김성섭;김연호;장진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4호
    • /
    • pp.433-437
    • /
    • 2005
  • 위석은 비교적 흔하지 않은 질환이지만, 진단을 못할 경우 위궤양과 출혈, 장천공, 장중첩증, 장폐쇄, 복막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는 만성적 복통의 한 원인이며, 모발석 환아의 대부분은 발모벽과 식모증의 과거력이 있다. 저자들은 내원 4년 전까지 자기 머리카락을 뽑아서 먹는 습관이 있었고, 이후 간헐적 복통과 오심, 구토를 일으킨 11세 여아에서 모발석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