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disease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8초

화병과 주요우울증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Neuro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Hwa-byung an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윤영환;이소희;최종혁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181-188
    • /
    • 2005
  • Objectives:Hwa-byung has been studied clinically for several years and introduced as Korean Culture- Bound Syndrome. However, the definition and the diagnostic method are not yet clarified, and there has not been any sufficient comparative study on this disease ent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linical symptoms and the profile of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in Hwa-byung(HB)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and We wish to identify any critical factors that differentiate the disorders. Methods:A total of 102 participants were examined, including 34 participants with MDD, 34 with HB, and 34 healthy controls. The MDD and HB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mong inpatients and outpatients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or the period from May to December of 2004. As a major diagnostic tool of MDD, diagnostic reference of DSM-IV-TR was used and as HB's diagnostic tool, We use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Psychiatric symptomatology was evaluated by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ymptom Checkist-90-Revision(SCL-90-R). One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 and Chi-Squre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The participants in three groups did not differ in terms of age, sex, and education. Assessment of BDI indicated that the MD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than the HB group. MDD and HB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on the SCL-90-R in comparison to the controls. The MDD group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more symptoms of depression than the HB group, based on the depression subscale of the SCL-90-R.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suggest several results 1) Within the memory domain, it was found that one of the two memory tests in MDD and HB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air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2) Within the attention domain, it was found that only the MDD group was significantly impair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3) Within the higher cortical function domain,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 impairment exist in MDD group and HB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everity of impairment was found to be more profound in the MDD group than in the HB group.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HB group and MDD group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neurocognitive function than the control group, and neurocognitive function of the HB group is better than that of the MDD group.

  • PDF

국내 생강 에센셜오일이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이 항진된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 Ginger Essential oil on Chronic Mild Stress-induced Rats Model of Sympathetic Hyperactivity)

  • 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88-1197
    • /
    • 2019
  • 스트레스는 인체의 다양한 기관과 정신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 항진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에서 국내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스트레스 호르몬 및 뇌 조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세포독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혈청 바이오 마커와 뇌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이 기초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 제작 후 2주간 100 n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은 100 nl/㎖ 농도 이하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6-진저롤 함량이 345 ppm으로 확인되었다.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복측피개부(VTA) 및 흑색질 치밀부(SNpc) 부분에서 TH-면역 반응이 때때로 중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교감신경 항진을 개선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산 생강은 교감신경 항진에 대한 아로마오일의 새로운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만성 복막투석 아동용 삶의 질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o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 신민섭;조수철;장재연;정해일;최용;하일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02-212
    • /
    • 2008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복막투석 아동용 삶의 질 척도(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o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QOLCPD)를 개발하였다. 방 법 : QOLCPD문항 개발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복막투석 중인 30명의 만성 신부전 환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타 임상 집단으로 28명의 소아정신과 장애 아동과 32명의 소아정형외과 아동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정상 통제집단으로는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7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들의 연령범위는 7세-16세였다. 56개의 예비문항으로 이루어진 QOLCPD와 한국판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모든 아동들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 수집된 자료에 대해 주축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전체 상관이 낮고 요인부하량이 .2이하인 16문항을 제외시켜서 총 40문항으로 이루어진 최종 QOLCPD를 개발하였다. QOLCPD의 신뢰도 계수인 Chronbach's $\alpha$는 .87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복막투석 집단과 소아정신과 아동 집단은 정상 집단에 비해 더 낮은 삶의 질 총점을 보였다. 특히 두 집단은 삶의 질 영역 중 신체적 기능과 학업 기능에서 정상집단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복막투석 집단의 CDI 점수는 경한 우울 수준에 해당되었다. 결 론: 자기보고형 만성 복막투석 아동용 삶의 질 척도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군 장병에서의 불안장애의 발생률 (The Incidence Rate of Anxiety Disorders in the Korean Military)

  • 이승엽;윤창교;민정아;이창욱;박동언;안종성;이상돈;백명재;장준영;양주연;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67
    • /
    • 2014
  • Objective : To obtain the incidence rate of anxiety disorders among the active duty Korean military personnel, who visited the military hospitals from 2011 to 2013, this descriptive epidemiological study was performed. Methods : After acquiring the data for the anxiety disorders from Defense Medical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the annual incidence rates were analyzed by forces, position status, and specific disease entities. Results :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thirteen (1,913) active duty male military personnel were diagnosed with any kinds of anxiety disorders in their first visit to the psychiatric outpatient department (OPD). The total OPD visit counts were 7,870 during the same period. Anxiety disorder, NOS was the most frequent disorder, followed by panic disorder. While the incidence rate for anxiety disorder, NOS decreased, panic disorder displayed increasing tendency. Stress-related disorders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were positioned third and fourth, respectively, for the number of first visit and they both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annual incidence rates. Social anxiety disorder, specific phobia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nd mixed anxiety-depressive disorder followed next. The annual incidence rates for anxiety disorders showed decreasing tendency, particularly evident in army soldiers. However, naval officers showed higher anxiety disorder incidence rate compared to those of the army and the air forces. Conclusion : Comparing to general population, panic disorder was higher while specific phobias and GAD were lower in the Korean military.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higher incidence rate for anxiety disorder in naval officers and warrants further evaluation.

정신분열병의 결핍증후군과 비결핍증후군에서 QEEG와 sLORETA를 이용한 비교연구 (Comparing Quantitative EEG and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Imaging between Deficit Syndrome and Non-Deficit Syndrome of Schizophrenia)

  • 이상은;임선진;이미경;이재원;한규희;이종일;심민영;윤해주;신병학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2호
    • /
    • pp.91-99
    • /
    • 2010
  • 목 적: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결핍증후군과 비결핍증후군이 다른 생물학적 동등성을 가진 독립된 질환일 수 있다는 가설 아래 quantitative EEG와 standardized LORETA (sLORETA)를 이용한 전기생리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생물학적 병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 법: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42명의 뇌파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중 결핍증후군 환자군은 남자 10명과 여자 11명이었고 비결핍증후군 환자군은 남자 12명, 여자 9명이었다. 주파수 대역은 delta(1.5~4 Hz), theta(4~8 Hz), alpha(8~12 Hz), low beta(12~15 Hz), high beta(15~30 Hz)의 5가지로 분할하였고 EEG LAB을 이용한 파워스펙트럼 분석 및 standardized sLORETA software package를 이용하여 신호원을 국소화 하였다. 결 과: 파워 스펙트럼 분석에서 결핍증후군 집단은 비결핍증후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두엽, 두정엽 및 측두엽 영역에서 delta파와 theta파의 유의한 활성도 증가를 보였으며 뇌파 스펙트럼은 간편 정신상태 평정 척도 중 철퇴/지연과 적대/의심 항목의 임상적인 특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sLORETA분석 결과에서는 배측 전대상피질에서 결핍증후군에서 유의하게 delta파의 활성도가 증가되었다. 결 론: 결핍증후군은 비결핍증후군과는 연관된 뇌 영역이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전두엽 영역의 신경회로 이상이 일차적 음성증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분석 로봇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obot Analyzing Mental Disorder Risks for a Single-person Household Worker through Facial Expression-Detecting System)

  • 이성웅;이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89-49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도록 설계 및 구현한다. Q.bo One은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및 기타 센서들로 구성된 소셜 로봇으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추어 센서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로봇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공한 정신질환의 기준 DSM-5를 기반으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구체화하고, Q.bo One이 대상의 얼굴 표정을 1주~2주간 분석하여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소아청소년에서의 과체중 및 비만 연구 -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 (Overweight & Obesity in Children &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Retrospective Chart Review -)

  • 임우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29-135
    • /
    • 2015
  • 연구목적 지난 20년 동안 아동에 있어 과체중(overweight)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진단 받는 아동의 숫자도 매해 증가하고 있다. ASD를 진단받은 아동의 비만(obesity)에 대한 연구가 미국에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ASD를 지닌 아동의 과체중 및 비만의 유병률 및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3세에서 18세 사이의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전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소아 청소년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의무기록으로부터 진단적, 의학적, 인구학적 정보를 추출하였다. 신체질량지수인 Body mass index(BMI)는 병원에서 시행하여 의무기록에 기입되어 있는 키와 체중으로 토대로 계산 하였다.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BMI z-score을 사용하였다. 결 과 ASD를 지닌 아동 군에서 ASD를 지니지 않은 군보다 더 높은 BMI 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32). 또한 ASD를 지닌 아동들이 ASD를 지니지 않은 아동에 비해 비교적 더욱 과체중 및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병률에 있어서는 ASD가 있는 아동(35%)이 ASD가 없는 아동(19%)에 비해 과체중 및 비만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 론 ASD를 지닌 아동과 지니지 않은 대상에 대한 과체중 및 비만에 관한 연구로서, ASD를 지닌 아동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더욱 과체중 및 비만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ASD 비만에 대한 유발 및 보호인자에 대한 장기적이고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유방암 환자의 정신사회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 (Psychosomatic Integrative Care for Psychosocial Distres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양찬모;장승호;이혜진;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77-85
    • /
    • 2021
  • 유방암은 여성에서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암으로, 진단과 치료과정 및 치료 후에도 다양한 정신사회적 디스트레스가 자주 나타난다.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는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가 필요하다. 유방암 환자는 스트레스, 불안장애, 우울장애, 적응 장애 등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고, 이러한 정신장애는 유방암의 악화 또는 재발과 연관이 있다. 유방암 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대한 정신사회적 치료는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유방암의 재발과 악화를 감소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5편의 유방암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정신사회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정신사회적 치료와 대체의학적 치료가 포함된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5편의 가이드 라인에서 사용한 서로 다른 근거 기준은 US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 (USPSTF) 기준에 맞춰 연구자들이 평가하여 근거를 기술하였다. 또한 유방암 환자의 불안, 우울, 기분, 삶의 질에 대한 정신사회적 치료의 효과 크기를 요약하였고,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장벽과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학제 팀을 구성하고, 환자 요구도를 조사하며, 정신사회적 치료의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환자와 가족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준비된 계획에 따라 정기적으로 정신사회적 디스트레스를 평가하고, 정신신체의학 전문가 또는 자문조정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 의한 정신신체의학적 통합치료가 환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응급실로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자살 진정성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 분석: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관리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Analysis of social factors influencing authenticity of suicide for patient who attempt to suicide in emergency department: Retrospective study based Post-suicidal Care Program data)

  • 지재구;김양원;강지훈;장윤덕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authenticity of suicidal ideation' based post-suicidal care programs in emergency departments (ED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an analysis using the data of patients who had attempted suicide and visited the ED in tertiary urban hospitals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8. The variables examined included gender, age, history of previous psychiatric disease, suicide method, and the number of previous attemp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registration rate for the community-based post-suicide care program. Results: Overall,1,460 suicides were analyzed, 177 (1.16%) showed a high authenticity of suicide. The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authenticity of suicide intent were the unmarried status of men and women, joblessness, history of mental illnesses, more than two previous suicide attempts,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an attempt to commit suicide after midnight more specifically between 24:00 to 6:00 hours in the morning (p<.0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the condition of high authenticity suicide patients were low Glasgow coma scores (12 points or less), lactate levels, and oxygen saturation observed in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for treatment and died (p<.05). Conclusion: The need for evidence-based preventive measures and early assessment tools at the emergency medicine level is emphasized to reduce the rate of suicide attempts.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in the management of suicide prevention, the evaluation of the authenticity of suicide intent will be more likely to be made at the emergency medicine level, allowing the severity to be assessed earlier.

우울증에서 자가소화작용의 역할 (The Role of Autophagy in Depression)

  • 서미경;박성우;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12-820
    • /
    • 2022
  •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 무쾌감증, 피로 및 인지 기능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으로 일상 기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우울증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심각하고 흔한 정신질환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자가소화작용은 정신질환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자가소화작용에 의한 세포사멸이 신경가소성에 영향을 주어 우울증을 유발하고, 항우울제가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자가소화작용은 용해소체를 통해 불필요한 세포소기관이나 단백질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이화과정이다. 그리고,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자가소화작용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며 우울증은 스트레스 관련 질병이다. 최근, 신경세포에서 자가소화작용 기전의 역할이 조사되고 있지만, 우울증의 자가소화작용은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 리뷰에서 우울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치료에 자가소화작용이 관여한다는 새로운 증거를 강조하고자 한다. 증거를 강조하기 위해 자가소화작용이 우울증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임상 및 전임상 연구결과들을 소개한다. 우울증에 대한 자가소화작용의 관련성과 연구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은 자가소화작용 조절이 항우울제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