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B5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Production, Purific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Antibiotic Substances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B5

  • Kim, Beom-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12-18
    • /
    • 1993
  •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B5 with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and Magnaporthe grisea, was isolated from pepper-growing soil. From the culture of P. aeruginosa strain B5 grown on King's medium B, antibiotic substances were purified using XAD-2 column chromatography. XAD-2 eluates inhibited not only the mycelial growth of P. capsid and M. grisea, but also the development of Phytophthora blight on pepper plants. The crude antibiotic substances were further purified by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plates,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phy gave good separation of the four antibiotic substances. The pure antibiotics P1, P2, and P3 finally purified by preparative HPLC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 capsici, at concentrations from 7 to 10 $\mu g/ml$. Only P1 and P2 ha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 grisea at 8 $\mu g/ml$. P1 and P3 were highly inhibitory to the mycelial growth of Botryosphaeria dothidea and Botrytis cinerea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However, the three antibiotics had n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antibiotics are being identified.

  • PDF

Pseudomonas aeruginosa BCNU 1204의 항균활성과 활성 물질 (Antimicrobial Activ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BCNU 1204 and Its Active Compound)

  • 신화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4-89
    • /
    • 2019
  • 신규 항세균물질을 탐색하는 사전조사에서 몇몇 분리균주들이 그람양성 세균과 그람음성 세균 모두에 항균활성을 보이며, 심지어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 중에서 한 균주가 표현형과 계통분석을 이용하여 특히 16S 리보좀 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Pseudomonas aeruginosa로 동정되었다. BCNU 1204 균주의 항균물질은 King's medium B (pH 7.0)에서 $35^{\circ}C$의 온도 조건으로 4일 배양 후 가장 최대로 생산되었다. 항균물질을 각종 유기용매로 분획한 결과, P. aeruginosa BCNU 1204의 dichloromethane (DCM)분획과 ethylacetate (EA) 분획이 그람 양성 세균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ethylacetate (EA) 분획이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Recycling preparative LC와 preparative TLC 로 활성물질 하나(분획 5-2)를 분리하여 GC-MS 분석한 결과 phenazine 화합물에 속하는 phenazine-1-carboxylic acid 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MRSA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가 MRSA균주인 CCARM 3089, 3090, 3091 그리고 3095 균주에 대하여 각각 $25{\mu}g/ml$, $50{\mu}g/ml$, ${\geq}25{\mu}g/ml$ 그리고 ${\geq}50{\mu}g/ml$ 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P. aeruginosa BCNU 1204 분리균주는 항 MRSA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잠재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으로 기대되며, P. aeruginosa BCNU 1204 균주로부터 리더 화합물을 획득하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서울근교 약수터에서 분리한 Pseudomonas속균의 혈청생화학적 특성 및 항균제 감수성 (Se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 Sensitivity of Pseudomonas spp. Isolated from Spring Waters in Seoul Area)

  • 박석기;김무상;함희진;김은정;황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5-312
    • /
    • 1998
  • 서울시내 약수에서 Pseudomonas속균의 균종분포, 생화학적 특성, 혈청학적 특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수 57개소에 대하여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조사하였다. 총 57개 약수를 조사한 결과, 33개 (57.9%)의 약수에서 Pseudomonas속균이 검출되었다. 봄, 여름, 가을에 모두 검출된 곳은 1곳(1.8%) 이었으며, 2회에 걸쳐 검출된 곳은 9곳 (15.8%)이었으며, 1회만 검출된 곳은 13곳 (22.8%)이었다. 지역별로는 청계산이 50%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북한산, 35.7&, 대모산 33.3%, 도봉산 29.6%, 수락산 25.9%, 우면산 22.2%, 불암산 7.4% 순이었다. 분리된 균종은 Ps. putidark 22주(50%)로 가장 많았으며, Ps. aeruginosa, Ps. fluorescens 및 Ps. mendocins 각 6주(13.6%), Ps.aureofaciens 4주(9.1%)이었다. 분리된 Ps. aeruginosa6주의 혈청형은 모두 5종으로 A형 2주 , B, C,E 및 G형 각 2주씩이었다. 분리된 Ps. aeruginosa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Amoxicillin 90.9%, Chloramphenicol 84.1%, Carbenicillin 81.8%, Nalidixic acid 68.2%, Neomycin 38.6%, Streptomycin 31.8%, Gentamicin 4.6%, Kanamycin 4.6% 그리고 Colistin 2.3%이었다. Ps.aeruginosa는 다른 슈도모나스균에 비해 carbenicillin에 대한 감수성이 있으나 kanamycin에 대한 내성이 높았다. Ps. aureofaciens는 다른 슈도모나스균에 비해 streptomycin에 대하여 내성이 없었다. 분리된 Ps.aeruginosa의 항생제에 대한 다제내성양상은 5제내성이 31.8%로 가장 높았으며, 내성양상에서는 NA-CB-CTE-AMC가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코코피트로부터 분리한 섬유소분해세균의 분리, 동정 및 특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degrading Microorganism from Cocopeat)

  • 장재은;김진환;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4호
    • /
    • pp.84-89
    • /
    • 2011
  • 퇴비 제조시 유용한 수분조절제로 각광받고 있는 코코피트를 대상으로 섬유소 분해능을 지닌 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각기 다른 코코피트를 시료로 하여 섬유소 분해세균을 분리한 결과 각 시료로부터 다양한 세균들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을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sp., Bacillu subtilis, Sphingomonas sp., Rhodotorula sp.를 비롯하여 여러 Pseudomonas sp. 등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4종류의 균주, 즉 B. subtilis, P. aeruginosa, P. stutzeri, P. luteola 를 선별하여 이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배양액을 대상으로 섬유소 분해효소의 일종인 CMCase의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CMCase의 활성비교를 위한 표준균주로 Cellulomonas sp.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결과 P. aeruginosa, P. stutzeri, B. subtilis, P. luteola 균주에서 각각 표준균주 효소활성의 83%, 40%, 8%, 6%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통고추장에서 유해균 억제 및 Biogenic Amines 분해 능력을 가지는 Bacillus licheniformis SCK B11의 분리 (Antimicrobial and Biogenic Amine-Degrading Activity of Bacillus licheniformis SCK B11 Isolated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Red Pepper Paste)

  • 김용상;정진오;조성호;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3-170
    • /
    • 2012
  • 장류의 유해균과 biogenic amines 함량을 줄이기 위해 항균작용과 biogenic amines 분해능력이 있는 한 균주를 83종의 전통장류로부터 분리하였다.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 16S rRNA 유전자 서열 해독 결과 이 균주는 Bacillus licheniformis에 속했으며, B. licheniformis SCK B11로 명명되었다. SCK B11을 이틀간 배양한 후의 원심분리 상층액은 유해 균주들인 Enterococcus faecalis, Listeria monocytogenes, Micrococcus luteus,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spergillus flavus에 대해 균 증식 저지력을 보였다. 이 균주의 항균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B. licheniformis의 항균물질로 알려진 surfactin, lichenysin, lichenicidine 합성 유전자들에 대한 PCR을 수행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와 이 항균 물질은 기존에 보고된 물질들과는 다름을 보였다. 또한 전자 현미경 사진 결과 이 항균 물질은 유해균들의 세포막 손상을 야기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균주는 각각 5.3%의 histamine과 tyramine이 함유된 삶은 콩에서 10일의 발효 기간 동안 histamine 함량의 72%, tyramine 함량의 66%를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K B11의 항균 및 biogenic amine 분해 특성을 고려할 때, 공정상 필연적으로 유해균 증식 및 biogenic amine 생성 문제를 지닌 전통 장류 발효 과정에서 이 균주는 이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ynthesis of Biosurfactant-Based Silver Nanoparticles with Purified Rhamnolipids Isolated from Pseudomonas aeruginosa BS-161R

  • Kumar, C. Ganesh;Mamidyala, Suman Kumar;Das, Biswanath;Sridhar, B.;Devi, G. Sarala;Karuna, Mallampalli SriLakshm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7호
    • /
    • pp.1061-1068
    • /
    • 2010
  • The biological synthesis of nanoparticles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in view of their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low toxicity. We isolated and purified rhamnolipids from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BS-161R, and these purified rhamnolipids were used to synthesize silver nanoparticles. The purified rhamnolipids were further characterized and the structure was elucidated based on one- and two-dimensional $^1H$ and $^{13}C$ NMR, FT-IR, and HR-MS spectral data. Purified rhamnolipids in a pseudoternary system of n-heptane and water system along with n-butanol as a cosurfactant were added to the aqueous solutions of silver nitrate and sodium borohydride to form reverse micelles. When these micelles were mixed, they resulted in the rapid form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UV-Visible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The nanoparticles formed had a sharp adsorption peak at 410 nm, which is characteristic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of the silver nanoparticles. The nanoparticles were monodispersed,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1 nm (${\sigma}={\pm}5.82$ nm), and spherical in shape. The EDS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elemental silver signal in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The formed silver nanoparticles exhibited good antibiotic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pathogens and Candida albicans, suggesting their broad-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Lactobacillus spp. 이용 발효 붉나무의 기능성물질 검색에 대한 연구 (Functionality Analysis of Rhus javanica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 이동성;강민수;김윤철;임남경;김현수;정길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Lactobacillus속 균주로 발효시켜 기능성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한 발효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은 100% methanol로 추출하여 Lactobacillus속 균주와 MRS배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10가지 중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고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마우스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했으며, 이는 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에 의한 것 임을 밝혔다. 또한, 뇌세포 보호에 heme oxygenase-1 발현의 주요 기전인 Nrf2 핵 내의 전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의 발효 전과 후의 항균, 항산화 효과 비교 실험에서는 붉나무를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fermentum KCTC 3112, Lb. brevis KCTC 3498 균주로 각각 발효한 한약재는 발효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casei KCTC 3109로 발효한 붉나무 발효액과 ethyl acetate 여액층은 Bacillus subtilis 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다.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은 B. subtilis PCI 219, E. coli 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균주에서 발효한 추출물이 단순 붉나무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Biosurfactant Production from Novel Air Isolate NITT6L: Screening,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Media

  • Vanavil, B.;Perumalsamy, M.;Rao, A. Seshagir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229-1243
    • /
    • 2013
  • In this paper, an air isolate (NITT6L) has been screened based on hemolytic activity, emulsification activity, drop collapsing test, and oil displacement test, as well as lipase activity. It was found that strain NITT6L was able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medium from 61.5 to 39.83 mN/m and could form stable emulsions with tested vegetable oils. Morphological, biochemical,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and fatty acid methyl ester analysis using gas chromatography confirmed that the air isolate under study was Pseudomonas aeruginosa. Characterization of the biosurfactant using agar double diffusion assay revealed that the biosurfactant was anionic in nature, and CTAB-methylene blue assay and Molisch test revealed its glycolipid nature. The FT-IR spectrum confirmed that the crude biosurfactant was a rhamnolipid. Using unoptimized medium containing sucrose as the carbon source, the isolate was found to produce 0.3 mg/ml of rhamnolipid in batch cultivation (shake flask) at $37^{\circ}C$ and pH 7. Optimization of the medium components was carried out using design of experiments and the yield of rhamnolipid has been enhanced to 4.6 mg/ml in 72 h of fermentation.

개 외이도에서 분리한 세균 및 M pachydermatis의 약제감수성에 대하여 (Drug susceptibility of bacteria and M pachydermatis isolated from canine external ear canals)

  • 김기향;최원필;여상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60-565
    • /
    • 1999
  • The present work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rug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anine external ear canals. Antifungal susceptibility test of M pachydermatis (17 strains) was perfomed by agar dilution method, using 11 antifungal drugs including amphotericin B(A), nystatin(N), pimaricin(P), griseofulvin(G), bifonazole(B), clotrimazole(C), miconazole(M), econazole(E), ketoconazole(K), tolnaftate(T), 5-fluorocytosine(F). All isolates were highly sensitive to K, M, T(geometric mean MIC ; GM $MIC{\leq}0.16{\mu}g/ml$) but they weren't sensitive to P, F and G(GM $MIC{\geq}92.37{\mu}g/ml{\sim}{\geq}128{\mu}g/ml$). Antibacterial susceptibility test against 119 isolates of bacteria was performed by agar dilution method, using 9 antibacterial drugs including erythromycin(ET), chloramphenicol(CP), gentamycin(G), vancomycin(V), ampicillin(AP), amoxacillin(AX), chlortetracycline(CT), ciprofloxacin(CF), enrofloxacin(EF). All isolates of Staphylococcus spp(101 strains) were highly sensitive to EF, CF, G(GM MIC $0.33{\sim}1.47{\mu}g/ml$). In other gram positive cocci(4 strains), they were highly sensitive to EF, CF, V(GM MIC $1{\sim}4.76{\mu}g/ml$) and CT(GM MIC 1 UFL unit/ml). In gram positive rods(13 strains), they were highly sensitive to EF, CF, G(GM $MIC{\leq}0.19{\sim}1{\mu}g/ml$). In Pseudomonas aeruginosa(1 strain), it was highly sensitive to AX, EF, ET, CF(GM MIC $0.06{\sim}1{\mu}g/ml$) and CT(GM MIC 1 UFL unit/ml). All isolates weren't sensitive to AP(GM MIC 16~>$32{\mu}g/ml$).

  • PDF

로스팅 커피와 홍삼 혼합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 최유현;김상은;허진;한영환;이문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비교적으로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음성 균주 E. coli와 진균인 C. albicans 2종에서는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나머지 균주에서는 열수 추출보다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B. cereus 균주에서는 모든 샘플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ES2 샘플은 P. aeruginosa와 S. Typhimurium 균주에서 각각 19 및 2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0.25 및 0.125 mg/mL의 농도로 MIC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성을 보인 대부분의 시료에서 0.5~1.0 mg/mL의 MIC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자유기 소거효과를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55.38~60.01%, 에탄올 추출물에서 59.37~70.50%로 AA보다는 약하지만 BHT의 결과와 비슷하여 비교적 높은 자유기 소거효과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93.57~109.18 mg/g으로 커피와 홍삼의 혼합비율이 9:1일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05.16~119.79 mg/g으로 혼합비율이 7:3일 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혼합 비율에 따라 각 시료의 항균 효과와 항산화력 역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홍삼의 일반 식품 이용가능성으로 커피와의 함량 조절로 커피의 항균효과와 항산화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 생리활성물질의 분석과 생리활성기능을 연관 지어 연구를 진행한다면 기존의 기호음료로서의 커피에서 기능성 음료로서의 커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