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mume extrac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매실추출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동정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Prunus mume extract)

  • 박우포;이승철;김성용;최성길;허호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78-883
    • /
    • 2008
  • 항균력이 탁월한 매실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하고,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phtometer 측정기에 의하여 항균활성물질의 화학구조를 다음과 같이 분리 동정하였다. 즉, 매실추출물을 상온에서 메탄올에 현탁한 후, ethyl ether, ethyl acetate, n-butanol로 각각 분배 추출하여 각 용매의 수용성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각 용매의 수용성 추출물을 loading한 후, silica gel(70-230 mesh, Merck)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소획분을 얻었다. 분리된 분획 중 항균력이 있는 소획분을 Sephadex LH 20을 충진하고 column chromatography하여 각 항균분획물질을 분리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에서 분리한 각 항균분획물질(Compound A, Compound B, Compound C)의 구조분석을 위해 $^{1}H$$^{13}C$ NMR 스펙트럼을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NMR은 Bruker DRX500 (500MHz)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용매와 기준물질은 $CDCl_3$와 TMS를 각각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분리한 각 항균분획물질을 NMR 분석법으로 동정한 결과, isoeugenol, nomilin 및 $\beta$-sitosterol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확시기별 매실의 생리활성 변화 (Change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Prunus mume Fruit)

  • 서경순;허창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9-273
    • /
    • 2008
  • 매실의 개체당 평균 수분 함량은 $88.34{\sim}90.04%$ 범위로서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수확시기별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섬유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polyphenol 함량은 매실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water, hexane, ethylacetate 및 ether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결과 methano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항균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가진 메탄을 추출물의 활성은 $100^{\circ}C$에서 30분 가열한 조건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고, pH 변화에 따른 안정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매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methanol > ethylacetate > water > ether > hexa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매실함유 음료섭취가 장시간 운동시 심박수, 호흡가스 변인 및 혈중 젖산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orts Drink Including the Extract from Prunus mume on the Changes of Respiratory Variables,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Submaximal Exercise)

  • 김기진;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1시간동안의 최대하운동시 매실함유 음료, 생수 및 기온이온음료 등의 섭취에 따른 호흡가스변인,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변화를 비교하여 매실을 주된 성분으로 한 기능성 음료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1시간 동안의 최대하운동중 산소섭취량 및 환기량의 변화는 음료유형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시기간에는 유의한(P<0.0001)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cebo군이 다른 음료유형에 비해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다소 높은 환기량을 나타냈으며, 음료 E군이 다소 낮은 환기량을 나타냈다. 또한 산소섭취량에 대한 환기량의 비율은 음료 E군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최대하운동중과 회복기의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변화도 음료유형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시기간에는 유의한(P<0.0001) 차이를 나타냈는데 운동중에 증가한 후 회복기에 감소하는 동일한 변화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Placebo군이 다른 음료유형에 비해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다소 높은 심박수 변화양상을 나타냈으며, 매실음료군이 다소 낮은 심박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cebo군은 운동중 모든 시기에서 젖산역치수준의 2.25$\pm$0.32mM을 상회하는 혈중 젖산농도를 나타낸데 반해서, Control군과 매실함유음료군은 젖산역치수준의 혈중젖산농도보다 낮게 나타나는 시기가 많았다. 특히 매실함유량이 높은 D군과 E군은 운동중 40분부터 1.44-2.00mM 범위의 현저히 낮은 혈중 젖산농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1시간동안의 최대하운동시 산소섭취량,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변화에서 매실함유 음료섭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최대하운동시 매실함유 음료섭취가 환기효율의 증가,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 감소 등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PDF

인체 백혈병세포에서 매실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 (Apoptosis Induction by M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Fruits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 정유정;박철;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09-1119
    • /
    • 2011
  • 예로부터 한국, 일본 및 중국에서 민간처방 약재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되어온 매실은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체 암세포에서 유발하는 항암작용 및 그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기작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혈구암 U937 세포에서 매실의 메탄올 추출물(MEPM)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한 결과, MEP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억제 및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PM에 의해서 유발되는 apoptosis에는 XIAP 및 survivin 등과 같은 IAP family의 발현 감소와 더불어 FasL의 발현 증가, Bcl-2의 발현 감소 및 Bid의 단편화 현상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apoptosis 유발 개시 및 최종 apoptosis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spase-8과 -9 및 -3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기질단백질의 발현 감소 및 단편화가 동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위적인 caspase-3의 활성 차단으로 MEPM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MEPM은 암세포의 chemotherapeutic agent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지만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활성물질의 동정 및 관련 기전의 비교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LPS가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rf2/HO-1 경로 조절을 통한 매실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 (Inhibition of NO Production by 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Frui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Regulation of the Nrf2/HO-1 Signaling Pathway)

  • 강혜주;최은옥;정진우;박신형;박철;홍수현;신순식;정재훈;최영현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7
  • Objectives : The fruit of Prunus mume Siebold & Zucc.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medicine and functional food in Korea and Japan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purposes. However, its molecular actions and mechanism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have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P. mume fruit (EEPM)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sought to understand the associated molecular mechanisms. Methods : Cytotoxicity was assessed by an MTT assay. The amount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nitrite assay. The mRNA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as analyzed by RT-PCR. In addition, expression levels of iNOS,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protein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Our data indicated that EEPM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EEPM suppressed LPS-induced iNOS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EEPM markedly enhanced HO-1 express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duc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Moreover, the inhibitory effect of EEPM against LPS‑induced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hemin, a HO-1 inducer; however, EEPM's effect on the production of NO was abolished by zinc protoporphyrin IX, a HO-1 inhibitor.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EEPM can act as a suppressor agent on NO production through an activation of Nrf2/HO-1 signaling pathway, and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Screening Methods for Anti-senescence Activity in Dermal Fibroblasts under Pyruvate-deprivation Conditions

  • Kil, In Sup;Shim, Jinsup;Cho, Gayoung;Choi, Sowoong;Son, Eui Dong;Kim, Hyoung-June
    • Korea Journal of Cosmetic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9
    • /
    • 2019
  • The identification of compounds with anti-senescence activity in cell culture system is a first step in aging research. Given that pyruvate can be used energy source by conversion to acetyl-CoA in mitochondria, and protects cultured cell from various stress-induced cell damage and cell death, synthetic media (e.g., DMEM) often includes 1 mM pyruvate, which is very higher than the pyruvate concentration in human blood (approximately 30 ��M). However, the use of medium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pyruvate is not suitable for screening anti-senescence compounds, because pyruvate also protects against the cellular senescence of primary human dermal fibroblasts (NHDFs) through NAD+ generated during conversion to lactate. In this study, four extracts, i.e., Sprouted seed and fruit complex,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Jaum balancing complex, and Prunus mume extract were used for evaluation of different anti-senescence effect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0.1 mM pyruvate, similar to the physiological pyruvate concentration. The senescence in NHDFs cultured with DMEM in the presence of 0.1 mM pyruvate (approximately the physiological concentration in human blood) is accelerated, as observed in pyruvate deprivation conditions. The cytotoxicity of the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was protected by pyruvate, and Jaum balancing complex and Prunus mume extract had anti-senescenc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0.1 mM pyruvate, but not in the absence of pyruvate. Given that pyruvate is a powerful protector against both cytotoxicity and cellular senescence, the screening of candidate agents for anti-senescence in high pyruvate conditions using an in vitro cell culture system is not valid. Therefore, we recommend the use of a low concentration of pyruvate to evaluate the anti-senescence effects of candidates, which is more similar to in vivo aging conditions than excessive stress-induced senescence models, to exclude the effect of excessive pyruvate in vitro.

매화꽃봉오리의 추출용매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Plunus mume flower buds Extract by Various Solvents)

  • 김단희;복영옥;이현순;우원홍;문연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8-19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distilled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Plunus mume flower buds (PFB). The various solvent extracts of PFB were evaluated for their total polyphenol, flavonoid, reducing power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FRAP and DPPH analysis. The ethanol extract of PFB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total polyphenols (145 mg GAE/g) and flavonoids (25.43 mg QE/g) than methanol (132 and 25.42) and distilled water (113.6 and 18.04). Among solvent extracts of PFB, the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The 100% ethanol extract of PFB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an 70% and 50% ethanol extracts. Moreover, the 100% ethanol extract of PFB showed high efficac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This results suggest that 100% ethanol extract of PFB has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to the methanol and water extracts tested in the present study. Thus, it can be applied for the effective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 from PFB for usage of cosmeceutical and/or food industries.

오매의 간디스토마 살충성 물질에 관한 연구 (The Anthelmintic Principle of "O-Mae",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gainst Clonorchis sinensis)

  • 곽영실;류성호;백병걸;이재구;안병준
    • 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2-38
    • /
    • 1985
  • The anthelmintic substance of the roasted fruits of Prunas mume against Clonorchis sinensis was isolated and its structure was identified by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 methanol extract of the roasted fruits of P. mume was fractionated into four parts: petroleum eth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water soluble part. Among these, etherial fraction was found to have strong wormicidal effect on liberated meta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2) From the etherial fraction, the wormicidal substance was isolated by silica gel, polyamide and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 and identified to be 5-hydroxymethylfurfural (5-HMF) by chemical and spectral data. 3) 5-HMF was synthesized and administered to the rabbits infected with C. sinensis. On the 2nd day after administration, the EPG (eggs per gram in feces) reached to the maximal value. Among the adult worms isolated from the bile duct of the treated animal, 84% of worms were damaged morphologically. 4) The content of 5-HMF in the fruits of P. mume which were roasted in an oven at $90-110^{\circ}C$ for 52 hours and that in the fresh fruits was evaluated by HPLC. The content of 5-HMF was 0.8% in the roasted fruits and 0.02% in the fresh ones.

  • PDF

유동층조립기를 이용한 금매분말과립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eamed Prunus mume Powder Granules in a Fluid-Bed Granulator)

  • 신명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00-705
    • /
    • 2012
  • 매실은 구연산함량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아, 재배가 증가됨에 따라 공급과잉에 이르러 다양한 가공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매실의 저장성을 높이고, 매실 성분을 그대로 섭취하기 위하여 금매분말과립을 제조하였다. 과육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청매를 증숙하여 금매를 제조하고 과육만을 분리하여 건조한 후 유동층조립기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였다. 과립제조 시 증류수와 매실농축액을 분사하여 제조된 과립 SPPGW와 SPPGE에 대하여 일반성분, 매실제품의 지표성분인 구연산,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PPGE에서 금매제조 시 추출액에서 유래한 지방과 구연산함량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리적 특성 분석에서는 금매분말을 과립화하였을 때 유동성과 용해성이 증진되어 과립화가 분말의 형태보다 편리한 제품의 형태임을 알 수 있었고, SPPGW가 유동성은 우수하였으나 용해성이 SPPGE보다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냈다. 관능특성분석 결과에서는 SPPGE는 색이 진하고 과립이 반짝거리며, 입안에서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비자기호도 평가결과에서는 SPPGE가 외관,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소비자들은 SPPGE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매실을 금매의 형태로 제조하여 분말화한 후 과립화하는 것이 편리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과립화 과정 중 분사액은 물로만 분사하는 것보다 매실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이 용해성이나 기호성을 높이는데 효율적이었다.

매실추출물이 발효유제품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Shelf-life of Fermented Dairy Product)

  • 최성길;오병태;박우포;이승철;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4-309
    • /
    • 2006
  • 식물성 천연항균제를 유가공설비 및 발효유제품의 항균처리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제를 조제하여 항균특성을 검토하고 그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제한 매실추출물은 유제품의 발효 및 저장유통중 부패에 관여하는 Leu. mesenteroides, B. cereus, 및 K. pneumonia, 유제품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chromobacter sp.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PME $2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미생물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광범위한 범위의 열($40^{\circ}C{\sim}150^{\circ}C$)처리온도와 pH($4{\sim}10$)에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효유제품 제조공정 설비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부패 미생물인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변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매실추출물의 처리농도 범위에서 젖산균의 성장을 크게 저해하지 않아, 젖산 발효공정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며, 표준방법에 의하여 발효제품을 제조하여 10시간내에 산도가 1.05%에 이르렀다. 아울러, 발효유제품에 $250{\mu}g/mL$ 이하의 PME를 첨가하고 유가공품을 발효시켜 적절한 숙성기간을 거쳐 제조할 경우, 젖산균을 제외한 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와 향미 및 색도면에서 관능검사적으로 손색이 없으며, 선도유지기간이 확대되어 유통구조상 상품가치가 있는 발효유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