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mume extract(PM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매실추출물(PME)의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extract to oral microbes)

  • 장종화;김영인;이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5
    • /
    • 2014
  • Objectives : Prunus mume has been used for the folk medicine from old tim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extract to various oral microbe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against oral microb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Dentocult SM Strip mutans and Dentocult LB Strip mutans from April 5 to May 4, 2013. A total of 36 experimental and 32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Results : The MIC of Prunus mume extract was tested for 0.39% in S. mutans, S. salivarius and S. auerus, 0.78% in S. mitis, S. equi and E. coli. In vivo,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the lower Streptococcus mutans levels by the use of the gum contained Prunus mume extract from 15 days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12). The reduction was more significant in Lactobacilli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p=0.022).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oral products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s is effective in preventing oral diseases.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PME)-containing chewing gum mastication on the change of saliva ingredients

  • Jang, Jong-Hwa;Lee, Young-So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63-46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PME) on the change of saliva ingredients. On the basis of the biological background of molecules and diagnostic indices in the use of saliva, the mastication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was demonstrated in terms of secretory IgA concentration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stimulated saliva. Method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use of a research design before and after apply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group was instructed to masticate the chewing gum containing PME for 10 minutes for one month after each meal within 30 minutes. Salivary secretion was collected by the participants between 8 and 10 a.m in the morning in the research office. For the measurement of secretory IgA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in the saliva,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as used. Results: The salivation stimula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our weeks of masticating chewing gum containing PME after each meal(p<0.001). Mastication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for four weeks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ecretory IgA much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after mastication for one week(p=0.003). The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in the saliva was decreased after four week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Mastication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stimulated salivary secretion and led to oral diseas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xerostomia. Furthermore, it seems to be urgent to seek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in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xerostomia.

Alloxan에 의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매실(Prunus mume Sieb. et Zucc.) 주정추출물의 세포보호효과 (Cyto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on Alloxan-induced Oxidative Damage in Pancreatic-cell, HIT-T15)

  • 김인혜;김종배;조강진;김재현;엄애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4-192
    • /
    • 2012
  • 본 연구는 췌장베타세포인 HIT-T15 세포를 이용하여 매실주정추출물(PME)의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세포보호, 인슐린 분비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PME는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PME는 세포막 손상지표인 LDH 방출을 억제하였고 $NAD^+$/NADH ratio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alloxan 단독처리군에 비해 250 ${\mu}g$/ml PME 처리군에서 인슐린 분비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Alloxan과 PME를 동시에 처리하여 HIT-T15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했을 때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되었던 항산화효소 활성이 PME에 의해 보호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PME는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실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 흰쥐의 항산화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on the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 이정현;나명순;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8
    • /
    • 2004
  •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유발된 횐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400 mg/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고, 체중증가율 및 식이효율, 혈청중 ALT와 AST활성, 간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OD, catalase, xanthi ne oxidase 및 GSH-Px활성을 측정하고, 지질과산화물인 thiobarbituric acid reactant(TBARS) 및 GSM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증가된 유리기해독계 효소인 GSH-Px활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GSH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됨을 보였고, 알코올 투여로 상승된 ALT 및 AST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켜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에탄올에 의한 지방간 또는 손상된 간세포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매실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기산과 휘발성분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Prunus mume Extract)

  • 하명희;박우포;이승철;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5-198
    • /
    • 2005
  • 매실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매실추출물에는 유기산은 $0.47\;mg\%$ citric, $0.43\;mg\%$ malic와 $0.25\;mg\%$ oxalic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매실추출물의 휘발성화합물을 GC/MSD로 분리, 동정한 결과, 매실추출물은 항균성물질로 알려진 acetic acid($8.3\%$), ${\rho}$-cumaric acid($13.1\%$)등의 유기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항균성분으로 알려진 5-hydroxymethyl fufural($32.3\%$), furfural($2.0\%$), 3-methyl-2,3-furandione($2.3\%$) 등도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매실추출물이 발효유제품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Shelf-life of Fermented Dairy Product)

  • 최성길;오병태;박우포;이승철;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4-309
    • /
    • 2006
  • 식물성 천연항균제를 유가공설비 및 발효유제품의 항균처리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제를 조제하여 항균특성을 검토하고 그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제한 매실추출물은 유제품의 발효 및 저장유통중 부패에 관여하는 Leu. mesenteroides, B. cereus, 및 K. pneumonia, 유제품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chromobacter sp.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PME $2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미생물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광범위한 범위의 열($40^{\circ}C{\sim}150^{\circ}C$)처리온도와 pH($4{\sim}10$)에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효유제품 제조공정 설비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부패 미생물인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변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매실추출물의 처리농도 범위에서 젖산균의 성장을 크게 저해하지 않아, 젖산 발효공정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며, 표준방법에 의하여 발효제품을 제조하여 10시간내에 산도가 1.05%에 이르렀다. 아울러, 발효유제품에 $250{\mu}g/mL$ 이하의 PME를 첨가하고 유가공품을 발효시켜 적절한 숙성기간을 거쳐 제조할 경우, 젖산균을 제외한 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와 향미 및 색도면에서 관능검사적으로 손색이 없으며, 선도유지기간이 확대되어 유통구조상 상품가치가 있는 발효유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