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thetic and implant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초

다양한 중합방법에 따른 악안면 보철용 폴리우레탄과 자가중합 레진 간의 결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hesiveness between Polyurethane Sheet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and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in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 김두열;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23-132
    • /
    • 2000
  • The field of maxillofacial prosthetics is concerned with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of missing head and neck tissue. Currently, facial prostheses are usually applied in cases of defects caused by the surgical removal of tumors or congenital defects. While silicone has been most widely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missing maxillofacial defects, it does not have ideal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bonding a thin polyurethane sheet to silicone prostheses was recommended. In this case skin adhesives were used for the retention of maxillofacial prostheses. But retention of devices has always been problematic. The contributions of implants can b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Implants have reduced the need for adhesive use, simplifying cleaning procedures and thus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stheses. For implant-retained prostheses, retentive matrix is necessary to hold attachments and/or magnets. The retentive matrix is usually fabricat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or visible light- polymerized re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dhesion-in-peel force of silicone adhesive to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and polyurethane sheet with two different surface textures : pumice polish only or retention groove, and three surface primers : Dow corning 1205 primer or Dow corning S-2260 primer or FactorII A-304 primer, and two polymerization methods : room temperature or dry heat oven.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as determined as described in ASTM Standard D1876-72.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NOVA test,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peel bond strength of A-304 primer was the highest an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2260(p<0.05). 2.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ith retention groov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polished with pumice(p<0.05). 3.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polymerized in dry heat oven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in room temperature(p<0.01).

  • PDF

Modern Possibilities and Prospects of Nanotechnology in Dentistry

  • Sergiy, Chertov;Valery, Kaminskyy;Olha, Tatarina;Oleksii, Mandych;Andrii, Oliiny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97-106
    • /
    • 2022
  • Objective. Nanotechnology is spreading among all areas of life, from everyday devices to medicine. The concept of nanotechnology argues that not only can new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aterials be discovered, but also the new potential of nanostructures when reduced to the nanoscal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in dentistry contributes to the proliferation of the range of nanomaterials used by specialists. The purpose of this review of information sources was to analyze the prospects for the use of nanomaterials in dentistry. Methods. We used the bibliographic semantic method of research, for which we analyzed electronic databases of primary literature sources Scopus, Web of Science, Research Gate, PubMed, MDPI, and MedLine. English-language scientific articles published after 2017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earch study among modern information primary sources, nanotechnology improves the preventive properties of oral care products, improves the structural-mechanical and aesthetic properties of composite mixtures for dentistry,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dental implants. Despite the prospects of nanotechnology applications in medicine in general and dentistry in particular, the existing economic and technological problems require a thorough solution for further implementation of nanostructures. Scientific novelty. For the first time, the analysis of modern trends in th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in dentistry is carried out and the peculiarities of materials are highlighted, the problems and prospects of nanostructures implementation in modern dental implantology are given, physical, chemical, mechan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nanomaterials are evaluated. The effect of nanomaterials on the microbial adhesion of the tooth or implant surface is described. Practical significance. The presented publication can become a scientific basis for the solution of urgent problems hindering the introduction of nanotechnology into dental practice. Conclusions. Thus, the use of nanostructures opens up great opportunities for the treatment of a wide range of diseases, not only of dental nature but also in medicine in general.

양악 무치악 환자에서 NobelGuideTM 시스템을 이용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수복 (Fixed Prosthetic Restoration in an Edentulous Patient with NobelGuideTM System)

  • 신형주;김대곤;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43-253
    • /
    • 2009
  • 임플란트 술식에서 방사선 영상 기술,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정확한 진단 및 surgical guide의 제작이 가능해졌다. 본 증례는 양악 무치악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을 위해 CAD/CAM technique을 이용하여 수술을 하고 즉시 하중을 가한 증례이다. Planning software program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구조물과 단면상을 고려하여 상 하악에 각각 6개씩의 임플란트를 최적의 위치에 계획하였다. 정밀한 surgical guide 이용하여 미리 계획된 위치와 방향으로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시행하였다. 즉시 사용 가능한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미리 제작해 수술 직후 장착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으며, 이를 6개월간 평가하여 심미적이며,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최종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었다.

Peri-implantitis 환자에서의 전악 재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peri-implantitis: A case report)

  • 최낙현;조영은;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16-424
    • /
    • 2019
  •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은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의 20%가량에서 발병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유병률이 증가한다. 경도 또는 중등도의 임플란트 주위염은 비수술적 또는 수술적 방법을 통해 치료될 수 있으나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경우 임플란트 제거(explanation)를 동반한 재건이 요구된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재발 가능성이 높아 치료계획 단계에서부터 임플란트 주위염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임플란트 주위염과 만성치주염으로 진단된 환자의 증례로, 다수의 임플란트 제거 및 다수 치아 발치 후 상악은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 하악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전악 수복하였다. 임플란트 주위염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수술적, 보철적 방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수복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전치부에서 단일 치아 발거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 areas of aesthetic priority)

  • 이승훈;김영성;김원경;이영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637-646
    • /
    • 2007
  • Implants placed immediately after tooth extraction have been shown to be a successfully predictable treatment modality. Several clinical papers suggest that placing implants immediately after tooth extraction may provide some advantages: reduction of the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or patient visits, preservation of the dimensions of alveolar ridge, and shortening of the interval between the removal of the tooth and the insertion of the implant supported restoration. In this case report, three patients received single immediate implant placements to replace a maxillary anterior tooth at the time of extraction. As the three cases were somewhat different, treatment protocols had to be modified as follows: Case 1. Immediate implant placement with healing abutment connection. Case 2. Immediate implant placement with immediate provisionalization. Case 3. Immediate implant placement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GBR). Every implant of these cases was placed in proper position buccolingually, mesiodistally and apicocoronally, The procedures following implantation such as immediate provisionalization and GBR were free of problem. Healing of each case was uneventful. In all cases, treatment outcomes were mostly satisfactory and the results maintained during follow-up periods. However, one case (Case 3) showed some papilla loss due to failure in delicate soft tissue handling during surgery. This papilla loss was compromised by prosthetic means. In conclusion,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 the fresh extraction socket can be a valid and successful option of treatment in aesthetic area. Moreover, this treatment protocol seems to maintain the preexisting architecture of soft and hard tissues in most cases.

미니 임플란트 시스템의 적용에 대한 다기관 후향적 임상연구 (Multicentric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mini implant system)

  • 김영균;여인성;이양진;김운규;문경남;전승준;조용석;윤필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325-330
    • /
    • 2010
  • Introduction: Mini-implant system is applicable to areas of narrow space and area requiring temporary loading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a mini-implant system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mini-implant system in the dental clinical field.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from Jan 2007 to Dec 2007 in the four dental facility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re enrolled.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outcome,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age, area of surgery, type of implant, diameter and length of the implant, and the purpose of the mini-implant system application. Results: From 147 implants, only three implants failed, one of them was for temporary loading. There were no serious surgical or prosthetic complications in this study. Conclusion: An analysis of the preliminary data revealed a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 However, more long-term evaluation of narrow ridge type as well as the patient’s satisfaction on the use of a provisional type mini-implant system is needed.

Computer guided implant surgery와 immediate loading을 활용한 무치악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restor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 using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 and immediate loading: A case report)

  • 성현미;설경희;강선우;김정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31-139
    • /
    • 2024
  •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융합 국소 의치, 하이브리드 보철물, 임플란트 유지 및 지지 피개의치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만성 치주염에 이환 되어 전악 발치가 필요한 환자에서 computer guided surgery를 이용하여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상악은 불량한 골질로 초기고정력이 충분하지 않아 지연 부하를 시행하였고 골 유착 기간 동안 임시 의치를 사용하였다. 하악은 안정적인 초기 고정을 얻어 즉시 부하를 이용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켰다. 임플란트 일차 안정은 즉시 부하를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기 때문에 수술 전 반드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잔존 치조골 양 및 골질을 파악해야 한다.

임플란트 시대의 치근절제술의 다양한 활용증례 및 부가적 효용 (Revisiting root resection treatment in the age of dental implants)

  • 주지영;권은영;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232-239
    • /
    • 2016
  • 목적: 임플란트가 대중화 되어 있는 시대에서 치근절제술의 다양한 적용사례와, 장기적 관점에서 보철 치료 또는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 긍정적인 부가적 효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다양한 원인으로 치근절제술을 시행한 증례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치근절제술의 부가적 효용을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증례에서 부작용 보고 없이,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주었고, 장기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다. 다근치에서 유지하는 치근 주변의 치조제는 잘 보존되고, 절제된 치근부의 치조제는 양호한 회복을 보여주었다. 결론: 손상된 치주조직을 가진 임상증례에서, 다양한 치료 접근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차후 임플란트를 대비한 치조제 회복을 도모하는데, 치근절제술의 부가적인 장점이 있을 것이다.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A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using implant supported surveyed crown in a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 성시영;최연조;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9-36
    • /
    • 2022
  • 상악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을 계획할 때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과 총의치 수복 또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총의치 수복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 없고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일반적으로 총의치 수복에 비해 기능적인 부분이 우수하지만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환자의 요구 및 잔존 치조골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도 시도되고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전방부의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시행한 증례로 심미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다수의 임플란트발거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실패한 환자에서의 잔존 임플란트를 이용한 부분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증례 (Case report: Application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due to Multiple Dental Implant Loss of the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 강정경;남기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0
    • /
    • 2014
  • 부분 무치악을 수복하는 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의 옵션으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지지-고정성 보철물 등이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적 또는 구강의 상태(수술적인 술식이 제한되는 전신병력, 지지조직의 부족 그리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치료비용에 대한 허용 정도에 따라 모든 옵션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구강위생 관리 및 상,하악 악간관계의 부조화를 수정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기존 악궁 형태에서는 제한되는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지지형 RPD(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ISRPD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악의 임플란트지지형 고정성 보철이 제한되는 환자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보철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PD를 이용한 보철계획 수립시 전략적 위치에서의 임플란트의 사용은 고전적인 가철성 국소 의치에서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구강위생관리 또한 용이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하악의 bar-type overdenture를 사용중이던 59세 남성환자에서 상악 #15i임플란트의 abutment screw fracture와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로 인한 다수 임플란트를 발거 후 남은 #15i,24i,25,26,i의 잔존 임플란트와 #23 자연치를 활용해 상악에 ISRPD를 적용한 경우이다. #23 surveyed crown, #24i=25i=26i surveyed bridge 및 #15i에 gold coping을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안정을 도모하였다.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고 2년간 주기적인 follow up 통해 예후를 관찰중이며 지대치로 사용한 임플란트에서 screw loosening이나 파절, 골흡수 등의 증상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