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Teacher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4초

Finding the Research Possibilities of Computer Technologies in Art Education

  • Jung, Hyun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51-5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finding the research possibilities of computer technology in art education and understand why computer technology has such a great impact on our contemporary educa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 I have tried to find the importance articles in the journals of art education such as Studies in Art Education and Art Education published from the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one of the most well-known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o dr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 found articles and categorized the information using key words such as aesthetic, feminist, gender issues, and interactivity. After analyzing, I have discussed about the research possibilities and important issues of computer technology in art education and then categorized the information found in each article into four different subheadings: 1) the visual effects of computer graphics in art education, 2) gender issues based on the computer technology, 3) interactive multimedia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4) research possibilities with computer technologies in art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re were many research possibilities of computer technologies in art education such as ways of criticizing the contemporary art world. Secondly, I found that computer technology has a great impact on art education because students are more eager to engage with computer technologies-based media activities and very familiar with new media either at home and school. Therefore, we, as educators, must address how the student will be systematically engaged with computer technologies i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hould determine what knowledge and skills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ou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how and where they acquired this knowledge.

유리수 개념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와 추론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asoning about Rational Number Concept)

  • 강윤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83-49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유리수 개념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와 추론 성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사법대학생 (33), 공과대학생 (35), 미국대학생 (28) 등으로 구성된 세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유리수 개념 이해 관련 네 문제와 연산 추론 성향 관련 세 문제로 구성되었다. 네 문제에 대해서는 복수응답을 요구하고 연산 관련 세 문제는 선호하는 순서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유리수 개념의 여러 측면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며, 유리수 연산에 대해서 개념적 방법보다는 메커니즘적 접근방식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분수, 비, 비례, 유리수 등과 관련된 문맥에서 비논리적인 추론을 하고 이들 사이의 연계성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해 개념적으로 혼란스러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남병길의 <구장술해九章術解>의 교육적 활용 방안 (Pedagogical Approach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and Nam Byung Gil's GuJangSulHae)

  • 정해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03-116
    • /
    • 2011
  • 동아시아 수학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문헌은 <구장산술九章算術>이다. 이 책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주석가들에 의해 보완되고 재해석되며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쳤다. 우리나라 역시 이 영향권 안에서 삼국시대 이래로 <구장산술>을 기본 산학서로 취급해 왔고 19세기 조선 수학자 남병길은 이 책에 대한 주석서 <구장술해九章術解>를 출판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책의 구성과 내용을 확인하고 그것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모색해본다.

한의학 교의 사업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ffectiveness of School Doctor Program in Korean Medicine)

  • 김동수;이혜림;성현경;박선주;이주아;고재언;박재만;최석훈;김효선;고호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0-169
    • /
    • 2017
  • Objectives: Health in adolescent is very important in the whole life. But, students in Korea are very busy and hard to care about their health. This study is aimed to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ffectiveness of School Doctor program in Korean Medicine. Method: From august to december, 2015, Korean medicine association in Sungnam city conducted school doctor program for 12 middle and 8 high school. School doctor visitied 8 times and treat, lecture and consulting for students and teachers.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health lecture is 1,905.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project was 147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and 187 students in high school, totaling 334 students.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of students was very high (83.2%) for school doctor program in Korean medicine. 92.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should continue to school doctor program in Korean medicine. Conclusions: We find that Korean medicine is suitable for the school doctor program. But this study have some limitations. Large-scale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 평가제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Teacher's Colleges in South Korea and China)

  • 김이경;고소천;민수빈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97-121
    • /
    • 2017
  • 오늘날 교사 양성 질 관리 기제인 교원양성기관평가가 정착되면서 그 본질적 기능에 대한 의구심도 증폭되고 있다. 특히, 교사 공급 과잉이 발생하는 국가의 경우, 평가 자체의 적합성은 물론, 평가 결과의 활용이 예비교사 교육의 질 관리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중등교사가 과잉 공급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을 대상으로 한 평가의 특징을 평가의 주체, 목적, 주기, 지표, 방법, 결과 활용이라는 여섯 가지 준거에 따라 비교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 평가는 교원양성기관 교육 수준의 질 향상을 공식적 목적으로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 평가 추진의 내용 및 결과 활용은 본질적 목적에서 벗어나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공통적 문제가 발견되었다. 둘째, 평가 주체나 지표, 결과 활용 등에 있어서는 정부 주도의 관리 감독이나 양성 자원 통제 등에 치우쳐 있고 교사 직전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범대학의 질 제고는 뒷전이라는 상황은 교사 과잉 공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 연구결과를 토대로 양 국가의 사범대학 평가가 본질을 회복하고 진정한 의미의 질 관리 기제로 개선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공학중심 Reading & Maker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Reading and Maker Educational Program Centered on Engineering)

  • 박정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7
    • /
    • 2019
  •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초소양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은 SW교육 STEM융합교육과 연계된 메이커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이커교육에 앞서 선결되어져야 할 과제로는 테크놀로지 중심 접근보다는 교육방법적 접근이 필요하고 참여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단순히 메이커 활동을 안내하기보다 흥미와 공감을 갖고 스스로 능동적인 메이커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학중심 Reading & Maker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메이커 인식조사 결과는 사전검사보다 통계상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00).

The Nature of a Method Course for Prospectiv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Kim, Seong-A;Lee, Sun H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235-254
    • /
    • 2020
  •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capture the nature of a mathematics method course, called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a pedagogy course for teaching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aught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south eastern part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 three junior students who took the methods course and a local high school math teacher with two professors. The research has three parts. First, we designed a method course to prepare the junior or senior students for a teaching practicum. The individual students gave a mini lecture about a secondary mathematical topic as a course requirement. Second, the three students watched a classroom video-clip of the high school teacher and analyzed his instruction before the actual classroom visits. Furthermore, by "Let's Learn" program for students, the course was associated with a local community through the students and so that they could visit the teacher's classroom three times to observe his math classroom teaching. The students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mini lectures and the actual math classroom teaching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what it entails to teach an actual math class. Third, the first author supervised the students' activities in the program including their report for it to bring out their findings to the class of the method course. We found out this method course provided the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various aspects of actual math lesson as well as learning theories about the pedagogy for teaching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conclude that this course gives a model for the method course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초등 예비 교사들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온라인 교육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of Online Education on Software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43-652
    • /
    • 2020
  • 20년 전 21세기 지식정보 사회부터 온라인 교육은 강조되어 오고 있었고, 실제로 선진국에서는 온라인 대학이나 대학의 온라인 강좌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교육대학에서는 온라인 강의가 활성화되지 않고 보조 교육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2020년 2월부터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외부 요인으로 어쩔 수 없이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2019년도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강의와 똑같은 내용으로 온라인 강의를 구성하여 2020년 1학기에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도 측면, 교수학습자료 개발 측면, 평가 자료개발 및 평가방법 측면,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 측면에서 온라인 교육이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초등예비교사의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곤란도 연구 (The Study on the Class Difficul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asonal Change Unit)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0-350
    • /
    • 2023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 곤란도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 계절의 변화를 구성하는 4개 주제별 초등예비교사의 수업곤란도가 큰 주제부터 제시하면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수업곤란 도 4.05), '계절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는 어떻게 달라질까요?'(수업곤란도, 3.12), '하루 동안의 태양 고도, 그림자의 길이, 기온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수업곤란도 2.85), '계절에 따라 기온은 어떻게 달라질까요?'(수업곤란도 2.80)이다. 이것으로 초등과학 계절의 변화 단원에서 공간지각 개념이 필요한 수업주제로 분류되는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에 대한 4주제에 대한 수업이 다른 단원에 비해서 수업곤란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절변화 단원에서 수업주제별로 수업곤란도의 요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등예비교사들이 계절 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을 지도할 때 수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을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살펴보면 '자전축 기울기에 따른 태양남중 고도 비교하기 실험 지도' 가 42명(50%), '태양 남중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 설명의 어려움'이 38명(45%), '남중고도 개념 설명의 어려움'이 27명(32%), '계절별 태양의 위치변화 설명의 어 려움'이 24명(29%), '태양고도를 측정할 때 전등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합당한 이유 설명'이 20명(24%), '태양고도와 최고기온 사이의 불일치 이유 설명의 어려움'이 16명(19%), '모래(지면)온도 측정의 어려움'이 12명(14%)으로 각각 나타났다. 셋째, 수업곤란도 요인을 분석해 보면 교사요인보 다 교육과정요인이 많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곤란도가 가장 크게 나타난 계절 변화 단원 중 4주제인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에 대한 탐구활동은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년 역사의 성과와 가정과교육의 미래 비전과 사명 (Achievements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Throughout Its 30 Year History and Future Vision and Mis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태명;양지선;주수언;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3-192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지금까지의 발자취를 성찰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첫째, 30년 역사의 성과를 가정과교육의 현황,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학술대회 주제와 가정과 교사의 사회적 기여를 통해 뒤돌아보았다. 지난 30년 역사를 통해 본 가정과교육 분야의 연구와 가정과교사의 수업은 가정과교육의 역할을 제고하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래 가정과교육의 역할을 발전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가정과교육의 비전과 사명을 도출하였다. 비전과 사명의 공유는 전문분야로서 가정과교육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와 목표로 기능하여 우리가 나아가야 하는 과정으로 이끌어준다. 본 연구로부터 가정과교육의 비전과 사명의 실현은 자유로운 개인, 자유로운 사회, 지속가능한 환경으로 이끌 것이며, 궁극적으로 개인과 가족, 사회, 환경의 총체적 웰빙을 이루게 할 것이다. 이를 위한 가정과교육의 역할은 미래 사회에 더욱 지대해질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