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Whey 배지에서의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L. acidophilus KCCM 32820 and P. freudenreichii KCCM 31227 in Whey Broth)

  • 이정훈;차욱진;백현동;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1-6
    • /
    • 2006
  •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과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MRS, RCM, MRS와 RCM 합성배지 및 whey broth에 배양하여 OD(Optical Density), pH, 총산도, 생균수 등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 KCCM 32820을 NRS 배지에서 배양시 균 증식, 총산도 값의 증가율 및 pH 저하율은 9-21시간에 가장 컸으며,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RCM 배지에서 배양시에는 균의 증식, 총산도 값의 증가율 및 pH 저하율은 24-60시간에 가장 컸다. 또한 합성배지에서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pH와 총산도 변화는 18-54시간에 가장 높았다. When broth에서는 L. acidophilus KCCM 32820이 P. freudenreichii KCCH 31227보다 균의 성장이 좋았으며, 두 균 모두 6%보다 12% whey broth에서, 고압증기멸균보다 저온살균한 whey broth에서 높은 균수를 나타냈고, 저온살균한 12% whey broth에서 증식이 가장 높았다.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과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혼합배양시 유기산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by Fermentation with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in Whey Broth)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1
    • /
    • 2007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성장곡선 및 5%와 10% 유청 배지를 고압증기멸균 및 저온살균하여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혼합배양시 생성되는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 양을 측정하였다. L. acidophilus KCCM 32820의 대수기는 $6\sim21$시간,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대수기는 $36\sim108$시간으로 나타났다. 혼합배양시 propionic acid의 생성량은 5% 유청 배지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고압증기 멸균보다는 저온살균에서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Propionic acid의 최대 생산량은 10% 유청 배지를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120시간에 7.88 mg/mL이었다. Acetic acid도 5%보다는 10% 유청 배지에서 높은 생성량을 나타냈고 그 생성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ropionic acid 생성량의 $2:1\sim3:1$이었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로 혼합 배양한 Whey 발효물이 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Whey Produced by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 Effect on Quality Properties of Bread)

  • 윤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14
    • /
    • 2005
  • [ $10\%$ ] 유청배지에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ropionibacterium freudereichii를 혼합 배양할 때 유청 발효물 중의 생균수의 변화, 유당 소모량, 프로피온산과 초산생성량 등을 측정하였고, 유청 발효물을 식빵 제조에 일정량 첨가하여 식빵의 부피, 조직감, 보존성 등을 분석하였다. 4일 배양동안 L. acidophilus의 생균수는 배양 36시간에 $2.4\ties10^9$ cfu/mL, P. freudenreichii는 배양 96시간에 $9.42\times10^8$ cfu/mL로 최대값을 나타냈고 L. acidophilus가 P. freudenreichii보다 빠르게 증식하였다. 유당의 소모율은 $87.5\%$이었고, 4일 배양 후 프로피온산은 18.5g/L, 초산은 4.8g/L 생성되었으며 그 비율은 3.8:1이었다. 식빵의 부피는 유청 발효물을 많이 첨가할수록 작았으나 조직감은 유청 발효물이 많이 첨가될수록 낮은 경도 값으로 부드럽게 나타났으며, 보존성은 유청 발효물을 $10\%$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하여 2일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hey 배지의 살균방법 및 yeast extract 첨가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Broth's Sterilization Method and Yeast Extra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 이정훈;윤미숙;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6-11
    • /
    • 2007
  •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whey 배지에서 배양시 whey 배지의 살균방법 즉, 고압증기멸균(121$^{\circ}C$, 15분), 저온살균(60$^{\circ}C$, 30분) 방법과 배양액에 yeast extract를 0.5, 1% 첨가하였을 때 생균수와 총산도를 측정하여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6% whey 배지보다는 12% whey 배지에서, yeast extract 0.5% 보다는 1.0% 첨가 시 생균수가 높았고,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고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72시간에 7.5${\times}10^7$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총산도는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여 저온살균하였을 때 5.2로 가장 높았다. 배양 72시간 동안 생균수와 총산도의 증가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성은 고온살균보다 저온살균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FCC 31227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KFCC 32825의 단독 및 혼합배양에 의한 영양성분의 상호작용 (Identification of the growth stimulatory components in the single and mixed cultures of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FCC 31227 and Lactobaciilus acidophilus KFCC 32825)

  • 민윤식;김기철;이명열;이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5호
    • /
    • pp.352-357
    • /
    • 1993
  • S.G.Y.배지(skim milk, glucose, yeast extract)와 S.M.W.배지(skim milk whey). 배지에 P. freudenreichii KFCC 31227과 L. acidophilus KFCC 32825를 단독 또는 혼합배양 후, 두 균주의 생육 및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발효여액의 영향과 당의 변화 및 이용 효과를 검토한 결과, 자신의 발효여액보다는 상대편의 발효여액에서 그리고 단독배양보다는 혼합배양에서 생육이나 산 생성의 효과가 촉진되었으며, 배지중의 glucose 및 lactose 의 이용효과를 보면 P. freudenreich-ii KFCC 31227 단독 배양시는 lactose 를, L. acdophilus KFCC 32825 단독배양시는 glucose를 생육이나 산 생성에 더 잘 이용하였다. 또한 두 균주의 혼합배양시에는 단독배양에 비해 발효에 glucose 나 lactose 를 이용하는 시간이 더욱 단축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혼합배양시 두 균주의 상호작용에 의한 synergism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로 발효한 유청이 밀가루 반죽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ofWheyFermentCulturedby Lactobacillus acidophilusand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onRheologicalPropertiesofWheatFlour Dough)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5년도 제33차 정기춘계학술세미나
    • /
    • pp.11-18
    • /
    • 2005
  • $\blacktriangleright$ Farinograph에서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반죽발전시간은 길었으나 안정도는 짧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Extensograph에서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저항성은 높았으나 신장성은 낮았다. $\blacktriangleright$ 반죽의 발효부피는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낮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반죽의 총산도 변화는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에서 높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반죽의 pH 변화는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에서 낮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발효물의 첨가는 반죽의 호화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빵의 저장성 증진을 위한 종균배양 방법 (Development of Starter Cultures for the Extension of the Shelf Life of Bread)

  • 국승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6-241
    • /
    • 1996
  • Starter cultures were developed for the extension of the shelf life of bread.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acterium longum were selected as the mixed culture with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P. fredenreichii with B. longum and L. plantarum produced 2.261% and 1.715% total acid, and pH value of cultured solutions was near 3.95. Propionic acid was produced 14 ~16 mg/ml by P. freudenreichii with L. plantarum and B. longum during 17 days, which was more than that of L. brevis. The pH values of the bread were 4.83 and 4.89 in respect to B. longum and L. plantarum when the fermented products were used to make the bread. Mold was not found for 10 days of storage of the bread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fermented products of B. longum were used for making bread. 37$^{\circ}C$, pH 6.0 and the lowest agitation wer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propionic acid in the scaled up fermentation.

  • PDF

조랭이 떡에 존재하는 자연균총 유전자 군집분석 및 천연유래 프로피온산 생성능 분석 (Genetic Analysis of Natural Microflora in the Stored Joraengyi Rice Cake and Their Capability of Propionic Acid Production)

  • 박희대;채정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5-382
    • /
    • 2018
  • 본 연구는 조랭이떡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분석과 자연균총의 프로피온산 생성능을 분석하였다. 조랭이떡의 자연균총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해 프로피온산 생성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프로피온산 생성균을 포도당이 첨가된 액체배지(TSB)에 배양해 온도별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FID)를 이용하여 프로피온산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에테르로 용매 추출하는 전 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을 측정해 프로피온산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유통기한이 지나 미생물이 많이 자란 조랭이떡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총 98종의 균이 검출되었고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점종은 Lactobacills casei group으로 50.48%를 차지했고, Lactobacillus buchneri가 29.60%였다. 프로피온산 생성균은 Propionibacterium thoenii, P. cyclohexanicum, Propionibacterium_uc, P. jensenii, P. freudenreichii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자연균총의 약 2.4%를 차지했다. 조랭이떡 자연균총과 Lactobacillus 속은 14일 배양에서도 프로피온산을 생산하지 않았으나 P. cyclohexanicum, P. freudenreichii subsp. Shermanii, P. thoenii, P. jesenii는 4일차부터 프로피온산을 각각 263.47, 338.90, 325.43, $222.17{\mu}g/mL$를 생산하였고, 7일차에는 1,572.78, 2,496.63, 1,519.65, $2,660.41{\mu}g/mL$, 14일차에는 각각 2,462.02, 2,904.78, 2,220.64, $3,519.17{\mu}g/mL$로 프로피온산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살펴볼 때 전분과 포도당으로 구성된 떡류의 특성상 저장중 자연균총 미생물의 성장으로 높은 농도의 프로피온산이 천연유래로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떡류 등 전분질 식품의 프로피온산 등 천연유래 보존료 검출의 인정 및 기준규격 등 안전관리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Effects of Microbial Inoculants on the Fermentation, Nutrient Reten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Barley Silage

  • Zahiroddini, H.;Baah, J.;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1429-1436
    • /
    • 2006
  •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nutrient reten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barley silages prepared using 6 commercial inoculants were evaluated using 126 mini-silos (3-L)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hole barley forage was chopped, wilted to 39% DM and treated with water (control, S) or one of six inoculants: A (containing Lactobacillus plantarum); B (L. plantarum and Enterococcus faecium); C (L. plantarum and Pediococcus cerevisiae); D (L.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plus hydrolytic enzymes); E (Lactobacillus buchneri plus hydrolytic enzymes); F (L. buchneri and P. pentosaceus plus hydrolytic enzymes). Samples of treated forage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t the time of ensiling, and then 18 silos of each treatment were filled, capped and weighed. Triplicate silos were weighed and opened after 1, 3, 5, 7, 33, and 61 d. On d 61, $400{\pm}5g$ of material from each silo was placed in 1-L styrofoam containers, covered with cheesecloth and held at room temperature. Silage temperature was recorded hourly for 14 d via implanted thermocouple probes.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orage at ensiling was consistent with previously reported values. At d 61, pH was lowest (p<0.01) in silage S. Ammonia-N was lower (p<0.05) in silage A than in silages S, B, E, or F. Compared to pre-ensiling values,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centrations were elevated in silages S, A, B, C and D, and decreased in E and F.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similar (p>0.10) across treatments. Acetic acid levels were highest (p<0.01) in silage E and lowest (p<0.01) in silage D. Recovery of DM was lower (p<0.01) in silage F than in silages S, A, B, C, or D. On d 61, yeasts were most numerous (p<0.01) in silage D, which was the only silage in which temperature rose more than $2^{\circ}C$ above ambient during aerobic exposure. Silage D also had the highest (p<0.01) pH and ADIN content after aerobic exposure. Lactic acid and WSC content of silage D decreased dramatically during the 14-d aerobic exposure period. Yeast counts (at d 14 of exposure) were lowest (p<0.01) in silages E and F. In general, the commercial inoculants did not appear to enhance the fermentation of barley silage to any appreciable extent in laboratory si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