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6초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성향점수 분석과 회귀모델을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Propensity Score Approaches)

  • 차선아;배수영;남상훈;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61-7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2020년에 수집된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분류한 인지기능, 종속변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이다. 인지기능 그룹 간 공변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활용법 중 역확률가중치를 적용 후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역확률가중치 적용 전의 다중회귀분석과 적용 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총 6,116명으로 인지정상군 4,367명, 경도 인지손상군 1,155명, 중증 인지손상군 594명으로 구성되었다. 성향점수 역확률가중치 적용 결과로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확인하여 0.2 이상인 변수를 다시 통제하고 분석한 다중회귀모델에서 인지기능 그룹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정상 vs. 경도: β = -2.534, p < .0001; 정상 vs. 중증: β = -2.452, p < .0001).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인지손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음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성향점수 활용 후 중증 인지손상보다 경도 인지손상에서 더 부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낸 결과는 인지손상은 저하된 정도와 관계없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감퇴가 나타난 모든 환자들은 구강관리의 중요성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ing and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Start-ups)

  • 김혁준;한유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43
    • /
    • 2024
  • 최근 제품과 서비스를 보호하고 차별화하기 위한 기업 경쟁력의 핵심 자원으로서 상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가치가 투영된 브랜드 관리와 점차 빈발하고 있는 상표권 분쟁 대응을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고, 창업기업과 개인은 안정적 사업 영위와 투자금 유치를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규명을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분석데이터는 2021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 2,230개의 법인기업 응답데이터가 활용되었고, 분석방법으로는 성향점수매칭법,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이항로짓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 보유는 비즈니스 전략의 수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는 주로 내부역량화 과정을 통해서만 비즈니스 전략을 고도화하는 반면 외부역량화 과정을 통한 비즈니스 전략 고도화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벤처창업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수준 중 원가우위전략 수준이 상표 보유성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원가우위수준의 완성도가 높아 지면 높아질수록 상표보유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안정적 판매·공급을 위해, 그리고 향후 고부가가치화로 전환하기 위해 상표보유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I 중소기업 바우처 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PSM-DID 결합모형을 활용한 정책효과 분석 (The Impact of Voucher Support on Economic Performance for AI Companies: Policy Effectiveness Analysis using PSM-DID Model)

  • 최석원;이주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57-69
    • /
    • 2023
  •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전환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AI 기업 육성이나 AI 산업생태계 환경조성은 더디기만 하다. 정부는 대내외적으로 힘든 경제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거액의 공적자금을 투입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미진하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PSM)과 이중차분법(DID)을 활용하여 정부 인공지능 솔루션 바우처 지원 사업이 수혜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정책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공개한 AI 중소기업 정보 중 바우처 지원 이력이 있는 461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 이후 매출 실적을 활용해 PSM-DID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혜기업은 정부지원 이후 자산증가, 임금, 연구개발비 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수익측면에서는 유의미한 기여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AI 바우처 정책사업이 단기적으로 기업 외형성장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였으나 수익창출 여부는 중장기적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역사회 당뇨병 유병자와 비유병자의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증상과 대처방안 인지도 비교: 성향점수매칭 분석 (Awareness of Early Symptoms and Emergency Responses to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Compared to Non-diabetic Population in the Community: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

  • 김미나;이영훈;김남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6-398
    • /
    • 2020
  • Background: We determine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abetes mellitus in the community. Methods: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identified 20,812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aged 40-79 years. Using 1:1 matching by propensity score, 20,812 people without diabetes mellitus but with simila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a comparison. Outcome variables were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nd awareness of coping strategies in case of occurrenc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diabetic and diabetic people in terms of recognizing all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nondiabetic, 42.7%; diabetic, 43.0%; p=0.43) and stroke (nondiabetic, 49.4%; diabetic, 49.4%; p=0.91).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ndiabetic and diabetic people in the proportion of knowing correct emergency response to myocardial infarction (nondiabetic, 84.6%; diabetic, 84.4%; p=0.56) and stroke (nondiabetic, 81.3%; diabetic, 81.4%; p=0.77). Conclusion: Since people with diabetes are at greate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an the general public, it is important to lower the risk of disability and death by improving their awareness of early symptoms and correct emergency response to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Long-Term Nutritional Outcomes of Near-Total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Treatment: a Comparison with Total Gastrectom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 Seo, Ho Seok;Jung, Yoon Ju;Kim, Ji Hyun;Park, Cho Hyun;Kim, In Ho;Lee, Han Ho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2호
    • /
    • pp.189-19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whether near total gastrectomy (nTG) confers a longterm nutritional benefit when compared with total gastrectomy (TG)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nTG or TG for gastric cancer were included (n=570). Using the 1:2 matched propensity score, 25 patients from the nTG group and 50 patients from the TG group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for oncologic outcomes, including long-term survival and nutritional status. Results: The length of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tumor nodes, metastasis stage, short-term postoperative outcomes, and long-term surviva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body mass index values, and serum total protein and hemoglobin levels of the patients decreased significantly until postoperative 6 months, and then recovered slightly over time (P<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s between the groups. The prognostic nutritional index values and serum albumin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until postoperative 6 months and then recovered (P<0.05); the levels decreased more in the nTG group than in the TG group (P<0.05). The mean corpuscular volumes and serum transferrin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until postoperative 1 year and then recovered slightly over time (P<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rum vitamin $B_{12}$, iron, and ferritin levels of the patien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over time, and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A small remnant stomach after nTG conferred no significant nutritional benefits over TG.

Can Robotic Gastrectomy Surpass Laparoscopic Gastrectomy by Acquiring Long-Term Experience? A Propensity Score Analysis of a 7-Year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ion

  • Hong, Sung-Soo;Son, Sang-Yong;Shin, Ho-Jung;Cui, Long-Hai;Hur, Hoon;Han, Sang-U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4호
    • /
    • pp.240-246
    • /
    • 2016
  • Purpose: It is hypothesized that robotic gastrectomy may surpass laparoscopic gastrectomy after the operators acquire long-term experience and skills in the manipulation of robotic arm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learning curve of robotic distal gastrectomy (RDG) for gastric cancer compared with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LDG).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8 to December 2015, patients who underwent LDG (n=809) were matched to patients who underwent RDG (n=232) at a 1:1 ratio, by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fter stratification for the operative year. The surgical outcomes, such as trends of operative time, blood loss, and complication rat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RDG group showed a longer operative time (171.3 minutes vs. 147.6 minutes, P<0.001) but less estimated blood loss (77.6 ml vs. 116.6 ml, P<0.001). The complication rate and postoperative recovery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RDG group showed a longer operative time and similar estimated blood loss compared with the LDG group after 5 years of experience (operative time: 159.2 minutes vs. 136.0 minutes in 2015, P=0.003; estimated blood loss: 72.9 ml vs. 78.1 ml in 2015, P=0.793). Conclusions: In terms of short-term surgical outcomes, RDG may not surpass LDG after a long-term experience with the technique.

Impact of Anti-Tuberculosis Drug Use on Treat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Pulmonary Fluoroquinolone-Resistant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 Hongjo Choi;Dawoon Jeong;Young Ae Kang;Doosoo Jeon;Hee-Yeon Kang;Hee Jin Kim;Hee-Sun Kim;Jeongha M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3호
    • /
    • pp.234-244
    • /
    • 2023
  • Background: Effective treatment of fluoroquinolone-resistant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FQr-MDR-TB)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available core anti-TB drugs and high rates of resistance to anti-TB drugs other than FQ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anti-TB drugs that are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with FQr-MDR-TB in a real-world setting. Methods: The impact of anti-TB drug use on treat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pulmonary FQr-MDR-TB was retrospectively evaluated using a nationwide integrated TB database (Korean Tuberculosis and Post-Tuberculosis). Data from 2011 to 2017 were included.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082 patients with FQr-MDR-TB. The overall treatment outcomes were as follows: treatment success (69.7%), death (13.7%), lost to follow-up or not evaluated (12.8%), and treatment failure (3.9%). On a propensity-score-match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use of bedaquiline (BDQ), linezolid (LZD), levofloxacin (LFX), cycloserine (CS), ethambutol (EMB), pyrazinamide, kanamycin (KM), prothionamide (PTO), and para-aminosalicylic acid against susceptible strains increased the treatment success rate (vs. unfavorable outcomes). The use of LFX, CS, EMB, and PTO against susceptible strains decreased the mortality (vs. treatment success). Conclusion: A therapeutic regimen guided by drug-susceptibility testing can improve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FQr-MDR-TB. In addition to core anti-TB drugs, such as BDQ and LZD, treatment of susceptible strains with later-generation FQs and KM may be beneficial for FQr-MDR-TB patients with limited treatment options.

Bioprosthesis in the Mitral Position: Bovine Pericardial versus Porcine Xenograft

  • Han, Dong Youb;Park, Sung Jun;Kim, Ho Jin;Jung, Sung-Ho;Choo, Suk Jung;Chung, Cheol Hyun;Lee, Jae Won;Kim, Joon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69-76
    • /
    • 2022
  • Background: While the use of bioprosthetic valves for mitral valve replacement (MVR) is increasing, very few studies have compared bovine pericardial and porcine valves in the mitral position to help guide bioprosthetic selection.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patients who underwent MVR using bovine pericardial valves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underwent MVR with porcine bioprostheses between January 1996 and July 2018. Those with prior MVR, infective endocarditis, congenital mitral valve disease, or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were excluded. The primary outcomes were structural valve deterioration (SVD) and mitral valve reoperation from any cause, and death was regarded as a competing risk. Competing risk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matching were used for comparisons. Results: Among the 388 patients enrolled, pericardial and porcine bioprostheses were implanted in 217 (55.9%) and 171 (44.1%), respectively. Propensity score-matching yielded 122 pairs of patients that were well-balanced for all baseline covari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unadjusted (p=0.09) and adjusted overall survival (hazard ratio [HR], 1.13; 95% confidence interval [CI], 0.72-1.76; p=0.60). Competing risk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sks of mitral reoperation (HR, 1.07; 95% CI, 0.50-2.27; p=0.86) and development of SVD (HR, 1.57; 95% CI, 0.56-4.36; p=0.39) between the groups. Matched population analysis confirmed similar results regarding reoperation (HR, 0.99; 95% CI, 0.40-3.22; p=0.98) and SVD (HR, 1.39; 95% CI, 0.41-4.73; p=0.60).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or valve dur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bovine pericardial and porcine bioprosthetic MVR. These findings require further validation through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스타트업 대상 정부 R&D 지원금의 벤처 투자 유도 효과 (The Signaling Effect of Government R&D Subsidies on Inducing Venture Capital Funding)

  • 홍슬기;배성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39-5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시그널링 이론을 기반으로 스타트업이 정부 R&D 지원금을 받았을 때 벤처 투자를 유치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벤처캐피털 투자자들의 투자 의사결정 과정과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이해하였다. 정부 지원금의 시그널 효과와 정부 R&D 지원금의 민간자금 투자 유도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부 R&D 지원이 스타트업의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 그리고 정부 R&D 지원이 실제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2021년 벤처기업으로 인증받은 업력 7년 이하의 스타트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부 R&D 지원과 벤처투자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고 정부 R&D 지원이 벤처투자 유도에 미치는 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과 이중차분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 후 정부 R&D 지원금을 많이 받은 기업일수록 벤처 투자를 유치할 확률이 높아지며, 최초 정부 R&D 과제를 수행한 뒤 2년이 지난 시점부터 정부 R&D 지원의 벤처투자 유도 효과가 발생해 최초 과제수행 후 3년이 지난 시점까지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정부 R&D 사업이 벤처투자 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하는 정부 R&D 사업 기획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규 자금 조달이 필요한 스타트업에도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혁신의 원천에 따른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Does the Inward Technology Drive Job Growth?: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Sources on the Employment of Firms in Korea)

  • 서일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67-787
    • /
    • 2018
  • 본 연구는 기술혁신의 일자리 창출효과에 관해 산업조직론적인 관점에서 내/외부 기술소스가 고용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간 과학기술 사업화정책은 공공부문이 생산한 기술을 기업이 흡습하여 기술력이 향상되면 부가가치가 창출되어 결과적으로 고용으로 이어진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나, 실증적인 검증과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이에,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들의 재무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공기술의 이전여부에 따라 기업의 고용지표를 비교하고 인과관계에 관해 분석한다. 성향점수기법을 활용하여 외부기술을 도입한 그룹과 자체 연구개발을 추진한 기업을 비교한 결과, 연구개발 전담인력과 기업 전체 고용인원 면에서 외부기술 도입그룹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분석파트에서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해 연구개발 투자가 고용효과로 전환되는 인과적 영향을 파악한 결과, 외부기술 도입그룹의 전환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외부로부터 기술을 도입한 기업들은 기술을 내재화하는 과정, 후속개발 등에 추가적인 자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용효과 측면에서 볼 때, 이 결과는 기업이 외부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면 자체적인 투입요인(연구인력, 총 고용)을 줄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달리, 분석대상 기업들은 둘 사이의 관계를 보완적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