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anil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수종 Phenoxy 제초제에 대한 수도 품종별(品種別) 신근(新根) 및 분얼수반응 (Varietal Response to Phenoxy Herbicides on Number of New Root and Tiller in Rice Plant)

  • 박훈;오승환;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1
    • /
    • 1980
  • Propanil, MCPA, 2, 4, 5-T와 Silvex 의 10개(個) 농도(濃度) 수준(水準)을 수경액(水耕液)과 엽면철포(葉面撤布)로 태중재래 1호, Caloro, PI 245717 및 Bluebonnet 50의 수도 품종(品種)을 사용(使用) 신근수 및 분얼수를 조사(調査)하였다. 산화(酸化) phenol 계(系) 제초제는 초장(草長)이나 근장(根長)에 대하여 보다 분얼수나 근수증가에 더 영향(影響)을 주었다. MCPA만이 사용량(使用量)범위내에서 분얼수 증가가 가능(可能)하였다. Silvex는 신근생성(新根生成)을 촉진(促進)하는데 필요(必要)한 수준(水準)보다도 높은 수준(水準)에서 분얼(分蘖)을 촉진(促進) 시켰다. 제초제에 대한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은 제초제 투여부분(投與部分)에 따라 달랐다. 내비성(耐肥性)이 강한 품종(品種) 일수록 제초제의 촉진효과(促進效果)가 큰 경향(傾向)이었다. Propanil은 산화(酸化) Phenol계(系) 제초제의 20배(倍)의 고(高) 농도(濃度)에서도 수도생육에 아무런 영향(影響)이 없었다.

  • PDF

제초제(propanil, butachlor) 저항성 잡초 선발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ection Method of Herbicide (propanil, butachlor) Resistant Weeds)

  • 정성엽;김영미;박재현;이재현;김학윤;이인중;신동현;김길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7권
    • /
    • pp.65-70
    • /
    • 1999
  • 피의 유묘 및 줄기를 사용하여, 실내에서 간편하게 제초제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묘 검정법으로 6일 동안 돌피를 생육시킨 결과, 돌피의 생육이 제초제 추천량의 1/4 처리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2. Stem node 검정법으로 20일 동안 돌피를 생육시킨 결과, 돌피의 생육이 제초제 추천량의 1/2 처리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묘 검정법과 stem node 검정법을 이용한 생물검정의 결과, 유묘 검정법이 stem node 검정법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그리고 낮은 농도의 범위에서 저항성 반응을 효과적으로 검정할 수 있었다.

  • PDF

제초제(除草劑)의 연용(連用)이 논잡초(雜草)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epeated Use of Same Herbicide on Weed Growth in Lowland Rice)

  • 최충돈;김순철;황동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89
  • 동일(同一) 제초제(除草劑)의 연용(連用)이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및 군락변화(群落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Butachlor 등(等) 농가(農家)에서 상용(常用)하고 있는 주요(主要) 제초제(除草劑)를 대상(對象)으로 1985년(年)부터 1988년(年)까지 4 개년간(個年間)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지 않은 손제초구(除草區), 무제초구(無除草區), 자연방임구(自然放任區)에서 4 개년간(個年間) 잡초발생량(雜草發짧量)은 연차적(年次的)으로 급증(急增)하였으며, 제초제처리구(除草劑處理區)에서도 같은 양상(樣相)이었는데 Butachlor/Pyrazolate fb. Bentazon+Propanil 처리구(處理區)가 연간(年間) 증가율(增加率)이 120%정도(程度)로 가장 낮았으며, Bifenox 연용구(連用區)가 280% 이상(以上)으로 가장 높았다. 2. 주요(主要) 초종별(草種別) 우점도(優占度)는 연차간(年次間) 많은 변화(變化)를 보였는데 대체로 피의 발생(發生)은 줄어들고, 올챙고랭이, 올방개, 너도방동사니가 점차(漸次) 우점(優占)하였으며 특(特)히 Butachlor/Pyrazolate 처리구(處理區)에서 올방개와 올챙고랭이의 발생(發生)이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3. 군락우점도(群落優占度)와 Simpson 지수(指數)가 연차적(年次的)으로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는데, Bentanzon과 Propanil 처리구(處理區)에서는 특정초종(特定草種)의 우점(優占)으로 Simpson 지수(指數)가 높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4.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의 증가(增加)로 수량성(收量性)은 연차적(年次的)으로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고,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과 수량(收量)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출수기(出穗期)의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수량(收量)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쳤다.

  • PDF

수종의 Phenoxy 제초제에 대한 수도품종별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 반응(反應)에 관하여 (Varietal Response to Phenoxy Herbicides on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in Rice Plant)

  • 박훈;김무성;오승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2
    • /
    • 1979
  • Propanil, MCPA, 2, 4, 5-T와 Silvex의 이들 10개(個) 농도수준(濃度水準)을 수경액(水耕液)과 엽면철포(葉面撤布)로 태중재래(台中在來) 1호, Caloro, PI 245717 및 Bluebonnet 50의 수도품종(水稻品種)을 사용(使用)하여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을 조사(調査)하였다. Silvex를 엽면(葉面) 철포(撤布)한 경우 태중재래(台中在來) 1호(號)의 초장(草長)이 증가되며 근부투여(根部投與)의 경우(境遇) 모든 수준(水準)에서 Bluebonnet PI 245717의 근장(根長)이 감소(減小)되었다. 모든 Phenoxy 계제초제(系除草劑)는 근부투여(根部投與) 경우(境遇) 4ppm 이상(以上)에서 모든 품종(品種)의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켰다.

  • PDF

벼 건답직파답(乾畓直播畓)에서 사마귀풀 발생양상(發生樣相)과 방제체계(方劑體系) (Occurrence and Control System of Aneilema japonica in Dry Seeded Rice)

  • 문병철;박성태;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8-113
    • /
    • 1996
  • 건답직파답(乾畓直播畓)에서 중요 우점초종(優點草種)인 피를 전년도에 방제시(防除時) 다음해 잡초발생(雜草發生) 생태변화(生態變化)와 직파답(直播畓)에 발생이 증가(增加)되고 있는 사마귀풀의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연구(防除硏究)를 위해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년도 출수전(出穗前) 피를 완전히 방제(防除)한 구는 무방제구에 비하여 총(總)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파종후(播種後) 30일에 47.7%, 파종후(播種後) 60일에 7.8%가 감소(減少)하였다. 초종별(草種別)로는 파종후(播種後) 60일에 피는 46.9% 감소(減少)하였으나 사마귀풀, 여뀌는 각각 231%, 11.8% 증가(增加)하였다. 2. 군락내(群落內) 발생초종의 다양성(多樣性) 정도를 나타내는 다양성(多樣性) 계수(係數)는 방제구에서 낮았으며 방제구에서는 피의 우점도(優點度)가 떨어진 반면 특히 사마귀풀의 우점도(優點度)가 높아졌다. 3. 사마귀풀은 대체로 파종후(播種後) 40일 전후부터 벼 생육(生育)에 영향을 주었고, 사마귀풀 $m^2$당 300본 및 700본 구는 무발생구(손제초구)대비 수수가 61-72% 적고 등숙비율(登熟比率)이 5-15% 떨어져 쌀 수량(收量)이 74-93% 감수(減收)되었다. 4. 수량성과 다른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效果)를 고려한 사마귀풀의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방법(防除方法)은 Butachlor(파종후(播種後) 5일)와 Propanil/Molinate(파종후(播種後) 25일)를 체계처리(體系處理)와 파종후(播種後) 20일 Lgc 40863 + Pendimethalin의 일발처리(一發處理) 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라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 PDF

제초제(除草劑)가 토양환경중(土壤環境中)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erbicides on Enzyme Activities in Soil Environment)

  • 김장억;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79-85
    • /
    • 1988
  • 제초제(除草劑)가 토양환경내(土壤環境內)의 생화학적(生化學的) 전환과정(轉換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하기 위해서 화학구조(化學構造)가 다른 여러 종류의 제초제(除草劑)를 질소질비료(室素質肥料)인 요소(尿素)와 함께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하였을때 토양효소(土壞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제초제(除草劑)의 처리(處理)로 Urease의 활성(活性)에는 Urea계(系), dinoseb, propanil, diphenylether계(系), 산amide계(系)의 순(順)으로 저해율(沮害率)이 높았다. L-Glutaminase 및 protease의 활성(活性)에는 dinoseb, urea계(系), diphenylether계(系), 산amide계(系)의 순(順)으로 저해율(沮害率)이 높았으며 phosphatase는 dinoseb, diphenylether계(系), urea계(系), 산amide계(系)의 순(順)으로 저해율(沮書率)이 높았다. 대체적으로 제초제(除草劑)의 처리(處理)로 처리초기(處理初期)에는 저해(沮害)를 보이다가 28일(日) 이후(以後)에는 거의 영향(影響)이 없거나 활성(活性)을 약간 증가(增加)시켰다. 요소(尿素)의 시용(施用)으로 인(因)해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해서 약간 촉진(促進)되었다.

  • PDF

농약(農藥)에 의한 참잉어 및 이스라엘잉어의 급성독성비교(急性毒性比較)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Pesticides between Carp(cyprinus carpio L.) and Israeli Carp(Cyprinus israeli carpio L.))

  • 임요섭;한성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3-170
    • /
    • 1995
  • 담수산(淡水産) 어류(魚類)인 이스라엘 잉어 (Cyprinus israeli carpio L.)와 참잉어(Cyprinus carpio L.)에 대(對)한 13개(個) 농약(農藥)의 급성독성(急性毒性) (96hr)과 이스라엘 잉어에 대한 5개(個) 살충제(殺蟲劑)(diazinon, malathion, carbofuran, cartap, methomyl)에서 acetylcholinesterase(AchE)와 glutathione s-transferase(GST)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이스라엘 잉어에서 공시농약(供試農藥)의 $LC_{50}$치(値)에 의한 독성(毒性)크기 순서(順序)는 endosulfan, captafol, chlorothalonil, butachlor, captan, carbofuran, cartap, diazinon, nitrofen, methomyl, propanil, malathion, isoprothiolane순(順)이었고, 독성(毒性)의 차이(差異)는 endosulfan(0.0061ppm)이 isoprothiolane(12.8ppm)보다 2,000배(倍)의 독성(毒性)을 나타냈으며 참잉어에서의 독성(毒性)크기 순서(順序)는 endosulfan, captafol, chlorothalonil, captan, butachlor, carbofuran, nitrofen, diazinon, cartap, methomyl, propanil, malathion, isoprothiolane 순(順)으로 endosulfan(0.0026ppm)이 isoprothiolane(13.20ppm) 보다 5,000배(倍) 독성(毒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독성(毒性)은 diazinon, carbofuran, cartap, endosulfan, nitrofen에서는 참잉어가 이스라엘잉어 보다 약(約) 2-6배(倍)의 독성(毒性)을 나타냈으나 malathion, methomyl과 captafol에서는 이스라엘잉어의 독성(毒性)이 약간 높았다. 준치사(準致死) 농도(濃度)의 살충제(殺蟲劑)가 이스라엘잉어의 AchE가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유기린계(有機燐系) 살충(殺蟲) 제(劑)인 diazinon과 malathion에서는 각각(各各) 약(約) 31%와 52%의 저해(沮害)를 나타냈으며 이스라엘 잉어의 GST 활성(活性)은 methomyl 처리시 유의적(有意的)으로 유기(誘起)되었다.

  • PDF

조직배양(組織培養) 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한 제초제(除草劑) 작용성(作用性) 및 제초제(除草劑) 저항성(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 연구(硏究) (Tissue Culture Method as a Possible Tool to Study Herbicidal Behaviour and Herbicide Tolerance Screening)

  • 김순철;이수관;정근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4-190
    • /
    • 1986
  • 조직배양(組織培養) 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하여 제초제(除草劑)의 작용성(作用性) 및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의 개선(改善)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해 1985년(年)~1986년(年)까지 2개년(個年)에 걸쳐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 온실(溫室) 및 조직배양실험실(組織培養實驗室)에서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진행(進行)하였던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작용성(作用成)을 연구(硏究)하는 데 사용(使用)되는 배지조건(培地條件)으로서는 기존의 MS, $N_6$, $N_6-Y_1$ 등(等)의 배지(培地)는 벼 자체(自體)의 생육(生育)을 50%이상(以上) 억제(抑制)하므로 현미배양배지(玄米培養培地)로서는 적합(適合)하지 않았으며,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가 첨가(添加)되지 않은 순수한천배지(純粹寒天培地)를 이용(利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현미배양방법(玄米培養方法)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농도반응(濃度反應)을 뚜렷이 밝힐 수 있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수도용제초제(水稻用除草劑)은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보다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 억제정도(抑制程度)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광(光)의 유무(有無), 제초제(除草劑) 흡수부위(吸收部位)에 따라 작용성(作用性)의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butachlor, 2,4-D, propanil은 광(光)이 있는 상태(狀態)에서, 그리고 DPX-F5384와 CGA 14264는 광(光)이 없는 상태(狀態)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 영향(影響)이 컸다. 그리고 흡수부위(吸水部位) 반응(反應)에 있어서는 butachlor, chlornitrofen, oxadiazon, BAS-514는 근부(根部)와 유아부(幼芽部)를 동시(同時)에 제초제(除草劑)에 접촉(接觸)됨으로서 벼에 대(對)한 약해정도(藥害程度)가 증가(增加)되었고, 그 외(外) 제초제(除草劑)는 두 접촉방법간(接觸方法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피(E. crusgalli)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傾向)이었으나, 전반적(全般的)으로 벼보다는 생육억제(生育抑制) 정보(程度)가 월등(越等)히 높았으나 butachlor, 2,4-D, chlornitrofen, oxadiazon, pyrazolate 및 BAS-514는 근부(根部)만 접촉(接觸)시켜도 피의 엽록소(葉綠素) 생합성(生合性)을 억제(抑制)시킬 뿐 아니라 생육(生育)이 거의 진전(進展)되지 않았으며, 그 외(外) 제초제(除草劑)들은 근부(根部)와 유아부(幼芽部)를 함께 접촉(接觸)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은 검정방법간(檢定方法間)에 다소차이(多少差異)를 보였는데 유묘검정(幼苗檢定)의 경우는 기존(旣存) 제초제(除草劑)인 butachlor, pretilachlor, thiobencarb, perfluidone, oxadiazon, 등(等)에 있어서는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 >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 > 인도형(印度型) 품종(品種)의 순(順)으로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이 높았으나 DPX-F5384, NC-311, pyrazolate, pyrazoxyfen에 대(對)해서는 오히려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이 가장 낮은 저항성(抵抗性)을 보였으며, 현미검정(玄米檢定)의 경우 butachlor, propanil, chlornitrofen, oxadiazon, 등(等)에 있어서는 유묘검정(幼苗檢定)과는 달리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이 통일형품종(統一型品種)이나 인도형품종(印度型品種)보다 저항성(抵抗性)이 낮게 나타났다. 4) 동일품종(同一品種) 유형내(類型內)에서도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의 품종간차이(品種間差異)를 보였는데 유묘검정(幼苗檢定)이나 현미검정(玄米檢定)에서 다같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저항성(抵抗性)을 보인 품종(品種)은 통일형(統一型)의 경우는 밀양(密陽)42호(號), 청청(靑靑)벼, 삼강(三綱)벼가 일본형(日本型)의 경우는 섬진벼가 낙동(落東)벼보다 인도형(印度型)의 경우는 IR50이 IR36보다 높은 저항성(抵抗性)을 보였다. 5) 현미배양방법(玄米培養方法)과 callus 배양방법(培養方法) 다같이 제초제(除草劑) 종류(種類)에 관계(關係)없이 제초제(除草劑) 농도(濃度)에 따른 벼 생육반응(生育反應)이 비슷하였는데, callus 생육반응(生育反應)이 더욱 민감(敏感)하였다. 6)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callus 생육반응(生育反應)은 벼 뿐만 아니라 피 (E. crusgalli)에 있어서도 대단히 예민(銳敏)한 반응(反應)을 보였는데, $10^{-9}{\sim}10^{-8}M$의 저농도(低濃度)에서 제초제(除草劑) 종류간(種類間)의 차이(差異)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10^{-7}M$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제초제성질(除草劑性質)에 관계(關係)없이 모든 제초제(除草劑)가 피의 callus 생육(生育)을 크게 억제(抑制)시켰다. 공시제초제(供試除草劑) 중(中)에서 BAS-514가 가장 낮은 농도(濃度)에서도 피의 callus 생육(生育)을 뚜렷이 억제(抑制)시켜 피에 대(對)한 살초력(殺草力)이 탁월(卓越)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callus 생육반응(生育反應)은 광(光)의 유무(有無)에는 큰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 PDF

벼 건답휴립직파재배(乾畓畦立直播栽培)에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사용법(使用法) (Effective Herbicide Application on Dry Seeded Paddy Rice)

  • 이석순;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0
    • /
    • 1991
  • 벼 간답직파에 효과적인 제초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앙재배를 하여온 논에 시판중인 수도용 제초제를 초기 (파종후 1 일), 중기 (파종 18 일), 후가 (파종 40 일)의 3개 시기에 처리하여 제초제의 약해, 제초효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재배를 하므로서 밭상태인 초기 30 일간은 피, 바랭이, 드렁새, 강아지풀, 적미(赤米), 냉이류 등과 같이 밭잡초가 발생하였으나 상시담수 이후에는 밭잡초의 생육은 억제되었고, 대신 자귀풀, 올방개, 너도방동산이, 여뀌바늘, 사마귀풀과 같은 논잡초의 발생이 증가되었다. 2. 공시한 제초제 어느것도 벼 입묘수(立苗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잡초방제 효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초기 밭상태 30 일간 제초효과가 좋고 벼의 약해가 거의 없었던 것은 thiobencarb, pyrazoate/butachlor 및 chlomethoxyfen/butachlor의 파종직후 처리와 propanil + butachlor의 파종 18일후 처리이었다. 그러나 벼 출수기의 제초효과 가 우수하였던 bentazone/quinchlorac의 파종후 40일 처리구만 손제초의 90% 이상 제초효과를 보였을 뿐 나머지는 제초효과가 매우 낮았다. 3. 출수기의 잡초발생은 간장, 수수, 천립중, 등 숙비율, 수량을 크게 감소시켰고, 생육초기부터 잡초와 경합이 심했던 무제초구에서 이들 형질의 감소정도는 각각 7, 82, 19, 55, 87%로서 수수와 수량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4. 파종후 30일의 잡초발생량은 벼 수량과 관계가 없었으나 벼 출수기의 잡초발생량과 벼 수량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벼 수량이 50% 감소되는 잡초 건물중은 $m^2$ 당 600-700g이었다. 5. 출수기의 잡초발생량이 많을수록 벼 상위 3 빛 4위 절간의 도복지수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Adjuvant에 의한 농약살포액의 물리성 개선 및 약효증진 효과 (Enhancement of Physical Properties and Efficacy of Pesticide Spray Solution by Addition of Adjuvants)

  • 진용덕;이희동;유오종;김진배;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1-428
    • /
    • 2008
  • Adjuvant 첨가에 의한 농약살포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약효증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농약살포액의 분무입경은 adjuvant의 첨가로 다소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효과는 약제 및 보조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또한 보조제 첨가에 의한 농약의 작물체 부착량은 일정한 경향없이 살포 방법 및 살포량에 따라 상반된 효과를 나타냈다. Adjuvant에 의한 tricyclazole WP와 fenobucarb EC 희석액의 살포 6시간 후 강우처리시 내강우성은 벼의 부위에 따라 $1.5{\sim}4.1$배의 높은 증진효과를 보였다. 또한 보조제 첨가에 의한 Propanil EC의 피 방제효과는 무첨가에 비해 $8{\sim}30%$의 약효 증진 효과를 보여 적절한 보조제를 혼용함으로써 농약의 살포회수 및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