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motion focus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27초

Oncologists Experience with Second Primary Cancer Screening: Current Practices and Barriers and Potential Solutions

  • Shin, Dong-Wook;Kim, Yeol;Baek, Young-Ji;Mo, Ha-Na;Choi, Jin-Young;Cho, Ju-H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671-676
    • /
    • 2012
  • Objectives: Screening for second primary cancer (SPC) is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cancer survivorship ca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oncologists' experience with promoting second primary cancer screening. Methods: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oncologists of diverse backgrounds. Recurrent issues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ematic categories. Results: Most of the oncologists did not consider SPC screening promotion as their responsibility and did not cover it in routine care. All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experience with unexpected SPC cases, and they were under emotional tress. There was no systematic manner of providing SPC screening. Oncologists usually prescribe SPC screening in response to patients' requests, and there was no active promotion of SPC screening. Short consultation time, limited knowledge about cancer screening, no established guideline for SPC screening, and disagreement with patients about oncologists' roles were major barriers to its promotion. An institution-based shared care model was suggested as a potential solution for promoting SPC screening given current oncology practices in Korea. Conclusion: Oncologists could not effectively deal with the occurrence of SPC, and they were not actively promoting SPC screening. Lack of knowledge, limited health care resources, and no established guidelines were major barriers for promoting SPC screening to cancer survivors. More active involvement of oncologists and a systematic approach such as shared-care models would be necessary for promoting SPC screening considering increasing number of cancer survivors who are vulnerable.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 하은혜;장윤금;권나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1-200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고취하기 위하여 전국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0까지 이루어진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경험이 풍부한 학교도서관 사서들과의 표적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첫째, 사업성과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기획과정,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 중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가 성과만족도를 예측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성을 위해 전문인력 충원 및 연구와 조직 확대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및 매뉴얼 개발과 보급 등이 제언되었다.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Policy for Reading Promotion)

  • 정일권;조윤경;채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69-19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서진흥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독서문화진흥법"을 중심으로 국내 독서진흥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독서진흥 정책은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법, 캠페인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독서진흥에 기여정도, 여론지지 정도, 정책 시행의 현실성 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책의 대상이자 독서를 하는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가 교육적 도구가 아닌 즐거움의 도구라는 인식의 전환과 그러한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확인했다.

Meeting Recommende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in Relation to Preventive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Among Adults

  • Hart, Peter D.;Benavidez, Gabriel;Erickson, James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0-1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eeting the recommende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A) with health status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adults. Methods: A total of 5630 adults 18 years of age or ol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 was assessed using a series of questions that categorized activities based on their metabolic equivalent values and then categorized individuals based on the reported frequency and duration of such activities. Participants reporting 150 minutes or more of moderate-intensity PA per week were considered to have met the PA guidelin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meeting PA guidelines and health status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while controll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Overall, 53.9% (95% confidence interval [CI], 51.9 to 55.9%) of adults reported meeting the recommended levels of PA. Among adults with good general health, 56.9% (95% CI, 54.7 to 59.1%) reported meeting the recommended levels of PA versus 43.1% (95% CI, 40.9 to 45.3%) who did not. Adults who met the PA guidelin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not to report high cholesterol, diabete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rthritis, asthma, depression, or overweight. Furthermore, adults meeting the PA guidelin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having health insurance, consuming fruits daily, consuming vegetables daily, and not being a current cigarette smoker.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meeting the current guidelines for PA to have a protective relationship with bo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in adults.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focus on strategies that help individuals meet the current guidelines of at least 150 minutes per week of moderate-intensity PA.

농업 분야 국가 R&D 기술이전 사업화 성공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National R&D Commercialization in Agriculture)

  • 송영헌;이정인;김준기;황의웅;엄인용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1-58
    • /
    • 2023
  •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s that can be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national R&D resul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Unlike other industries, the agricultural sector has a non-systematically scaled and processed industrial structure, and R&D is led by government rather than the private sector. Although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national agricultural R&D, especially the number of patents and publications, has increased rapidly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government R&D budget,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the results of agricultural R&D has been accompanied by difficulties for SMEs.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d the success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of state-owned technologi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m, analysed the success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specific to the agricultural sector. It also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Delphi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experts from academia, research and industry, and a survey of agricultural companies to derive success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ve indicators with positive correlation and three indicators with negative correlation within technology characteristics, suppliers, adopters, policy and market factors were finally derived as key factors for agricultural commercializ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ndependent factor analysis of the food and seed sectors, which have independent industry characteristics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will be needed.

소비자의 규범적 기대와 예언적 기대가 소비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성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s'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Regulatory Focus)

  • 박도형;정재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62-8471
    • /
    • 2015
  • 소비자 만족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등의 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구전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서 고객 충성도를 향상시킨다. 기존의 소비자 만족 연구는 기대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기대, 지각된 성능, 이에 따른 기대불일치 정도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대를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이 "어느 정도는 되어야 한다" 는 규범적 기대와 "어느 정도는 될 것이다" 의 예언적 기대로 구분하여 조절초점 이론에서 제안하는 소비자의 성향 (향상초점 vs. 예방초점) 에 따라 어떤 기대불일치가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규범적 기대 불일치보다는 예언적 기대 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예방초점 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예언적 기대 불일치보다는 규범적 기대 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기대 (예언적 기대) 뿐만 아니라 규범적 기대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밝힌 점과 기대불일치 하에서 조절초점의 조절 역할을 밝힌 점에서 이론적인 공헌을 가지며, 고객들의 기대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가진다.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Perceived Overload Confusion due to Modular Product's Option Size)

  • 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4
    • /
    • 2017
  • 다양한 선택사항이 있는 모듈형 제품은 제품 구조나 배열 변경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소비자들의 제품선택 폭을 확대해주고 맞춤형 제품의 구매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역할을 수행케 함으로써 구매 후 부조화 감소와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이용만족도도 높여 준다. 하지만 과도한 모듈화 또는 선택사항의 증가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정보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과잉혼란을 유발하여 구매결정의 연기 및 포기하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 사항 즉 옵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과잉혼란의 지각 정도가 소비자들의 심리적 성향인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 등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에 따른 과잉혼란 지각정도가 이들 세 가지 변수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3가지 조절효과 가설을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향상초점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 소비자가 옵션 수 확장에 따른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친숙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이들 두 변수 모두 그 정도가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에 비해 옵션 수 확장에 따라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묶음제품 프레이밍이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ndle Framing on Purchase Intention)

  • 이소영;김향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233-241
    • /
    • 2014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묶음제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메카니즘을 이해하여 향후 보다 성공적인 묶음제품 전략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반응 조화설 및 프레이밍 이론, 조절 초점이론에 근거하여 같은 묶음 제품이라도 번들 구성 요소나 혜택을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느냐에 따라 고객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았으며, 특히 마음에 드는 옵션을 선택하는 상황과 마음에 들지 않는 옵션들을 제거해 나가는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그와 적합성이 맞는 프레이밍 방법을 사용하면 고객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묶음 제품 옵션의 선택/제거 상황에 따라 향상적 프레이밍 혹은 방어적 프레이밍이 각각 다른 효과를 미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젊은 성인 여성의 식생활 실태 및 관련 요인 - 사회인지론에 근거하여 - (Perception on Optimal Diet, Diet Problems and Factors Related to Optimal Diet Among Young Adult Wo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

  • 김혜진;이아름;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2-343
    • /
    • 2016
  • Objectives: Study purpose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n diet, diet problems and related factors among young adult wo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SCT). Methods: Eight groups of FGI were conducted with 47 female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Guide for FGI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perception on optimal diet, diet problems and cognitive,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SCT. FGI were video,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by themes and sub-themes. Results: Subjects showed irregular eating habits (skipping breakfast, irregular meal time) and selection of unhealthy foods as the main diet problems. Regarding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optimal diet, subjects mentioned positive outcome expectations (e.g., health promotion, skin health, improvement in eating habits, etc.) and negative outcome expectations (e.g., annoying, hungry, expensive, taste). Factors that promoted optimal diet were mainly received from information from mobile or internet and access to menu or recipes. Factors that prevented optimal diet included influence from friends, lack of time and cooking skills. Behavioral factors for optimal diet included behavioral capability regarding snacks, healthy eating and smart food selection. Subjects mentioned mass media (mobile, internet, TV) as the influential physical environment, and significant others (parents, friends, grandparents) as the influential social environment in optimal diet. For education topics, subjects wanted to learn about healthy meals, basic nutrition, disease and nutrition, and weight control. They wanted to learn those aspects by using mobile or internet, lectures (cooking classes), campaign and events. Conclusions: Study results might be used for planning education regarding optimal diet for young adult women. Education programs need to focus on increasing positive outcome expectations (e.g., health) and behavioral capability for healthy eating and food selection, reducing negative outcome expectations (e.g., cost, taste) and barriers, making supportive environments for optimal diet, and incorporating topics and methods found in this study.

친환경농산물의 인증마크가 소비자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Hallmark of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Consumer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 Centering ar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 Level)

  • 이승희;한상백;도현옥;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43-15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농산물의 구체적인 마케팅연구 일환으로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가 주는 메시지 효과에 대해 다루고자 하며 또한 조절초점에 따른 설득지식의 활성화, 즉 조절초점 적합성이론을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유기농산물 vs. 무농약농산물)에 적용시켜 봄으로서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에서도 소비자가치의 활성화 효과를 확인 해보았다. 연구결과,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유기농산물 vs. 무농약농산물)는 서로 다른 조절초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유기농산물 vs. 무농약농산물)에 따라 얻고자하는 목표가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해석수준이론에 다른 적합한 설득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개인의 성향적 맥락 하의 다양한 소비행동연구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